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3수준 태도변화 이론의 검증: 태도강도에 따른 내ㆍ외집단 전달자와 메시지 강약의 효과

Experimental Validation of 3-Level Attitude Change Model: Effects of In/Outgroup Sources and Message Strengths on the Changes of Weak, Moderate, and Strong Attitud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1, pp.65-90
나은영(Eun-Yeong Na)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강한 태도가 변화에 저항하는 과정은 주변경로처리도 아니고 객관적 중심경로처리도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이중처리과정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이를 확장한 3수준 태도변화 이론(나은영, 1998)에서는 지나치게 높은 동기에 의한 편파적 중심경로처리라는 제3의 경로를 가정하여, 각성수준 이론의 틀과 흡사한 하나의 패러다임 속에서 강한 태도의 처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두 실험을 통해 3수준 이론의 기본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험1은 태도강도(3)×메시지 강약(2) 피험자간 요인설계였으며, 실험2는 이 두 요인에 내·외집단 전달자(2) 변인을 첨가한 3요인 설계였다. 종속변인은 태도변화량과 인지반응 및 메시지에 대한 설득력 판단이었다. 실험1과 실험2의 내집단 전달자 자료에서, 3수준 이론의 예언처럼 중간 강도의 태도에서만 약한 메시지보다 강한 메시지가 태도변화를 더 많이 일으키는 객관적 처리가 일어났다. 약한 태도는 메시지 강약에 관계없이 변화량이 많았고, 강한 태도는 메시지 강약에 관계없이 변화에 대한 저항을 보였다. 특히 강한 메시지(실험1) 또는 외집단 전달자의 강한 메시지(실험2)를 받을 경우에는 태도변화에 대한 단순한 저항을 넘어 역태도변화가 일어났다. 두 실험 모두에서 반메시지 반응은 강한 태도집단이, 친메시지 반응은 중간 태도집 단이, 그리고 무관심 반응은 약한 태도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생성함으로써 3수준 이론을 지지했다. 역시 두 실험 모두에서 태도강도는 내재적 정서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최초의 태도에 대한 확신의 정도가 클수록 반태도 메시지에 대한 설득력을 평가절하하는 경향도 보였는데, 이 효과는 메시지가 유발하는 각성수준을 통제할 경우 유의하지 않은 수준으로 떨어져 각성수준이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입증하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a 3-level attitude change model proposed by Na(1998). Instead of "high involvement → high elaboration" hypothesis in ELM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 extended 3-level attitude change model assumes "moderate involvement → high elaboration → objective processing," similar to the framework of arousal-performance relationship. Not only low involvement but also extremely high involvement (and potentially high arousal level) intrinsic in strong attitudes may impede the objective processing. Thus, differential effect of strong and weak messages on attitude change is predicted only in moderate attitudes due to the optimum level of involvement and arousal. Experimental designs were 3(attitude strengths) x 2(message strengths)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for Experiment 1, and 3(attitude strengths) x 2(message strengths) x 2(ingroup vs. outgroup sources) for Experiment 2.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amount of attitude change, the types of cognitive responses, and the evaluation of message persuasiveness. As predicted by the 3-level model, only the moderate attitude holders demonstrated greater attitude change when given a strong rather than a weak message in Experiment I and in the ingroup source data of Experiment 2. Weak attitude holders showed considerable attitude change and strong attitude holders showed resistance regardless of message strengths. When given a strong message (Experiment 1) or when given a strong message from an outgroup source (Experiment 2), a boomerang effect was observed beyond a simple resistance. In both the experiments, counter-message arguments were relatively more generated by strong attitude holders, pro-message arguments more by moderate attitude holders, and indifference appeals more by weak attitude holders, supporting the 3-level model. Attitude strength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integral affect as predicted. Moreover, it was also proved that the effect of initial conviction on the de-valuation of message persuasiveness was mediated by the strength of negative emotions (i.e., arousal level) agitated by the counter-attitudinal messag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