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화유형에 따른 동기의 차이

Cultural Variations in Motiv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2, pp.233-273
조긍호(Geung-Ho Cho)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권의 인간이해 양식(관계중심적 인간관과 개체중심적 인간관)에서 나오는 세 차원의 강조점의 대비를 기본틀로 하여, 두 문화권에서의 동기의 차이를 개관하였다.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의존성ㆍ자기억제ㆍ행위가변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타인지향 동기, 사회지향적 성취동기, 욕구통제동기, 동조동기, 자기개선동기가 두드러지고,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자율성ㆍ자기표현ㆍ안정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개인지향동기, 개인지향적 성취동기, 환경통제동기, 자기고양동기, 일관성추구동기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개관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기본틀의 유용성, 동기의 문화구속성 및 두 문화권의 근본동기(자기확장동기와 자기실현동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diverging effects of different cultural views of person in general, especially the self, on characteristic motivations and motivated behaviors in everyday interactions. From the review of the massive articles concerning cultural influences on motivations, it was found that cultural views of person in general and the self as independent, separate and autonomous being, predominant in the individualistic cultures, or as interdependent and relational being, predominant in the collectivist cultures, foster and encourage cross-culturally divergent needs and incentives. In individualistic cultures, self-directed motive, individually oriented achievement motive, motive to control environment, self-enhancement motive and consistency motive are relatively salient; but in collectivist cultures, other-directed motive, socially oriented achievement motive, motive to control internal desires, self-criticism motive and conformity motive are relatively dominan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