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감정이 판단에 미치는 영향 : ' 정보로서의 감정 ' 모형과 판단수정 모형

Influences of Affects on Judgments : Mood Effect and Its Correc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0, v.14 no.1, pp.65-89
안신호(Shin-Ho Ahn)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빈성혜(Sung-Hye Bin)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판단에 미치는 감정의 효과가 '정서의 정보적 기능' 즉 당시의 감정을 판단의 결과 초래된 것으로 오귀인하기 때문이라는 Schwarz의 모델(Schwarz & Strack,1991)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를 쾌적한 방이나 불쾌한 방에 있게 하여 약한 쾌/불쾌 정서를 경험하게 한 후 행복, 삶의 만족, 및 주거와 용돈에 대한 만족정도를 답하게 하였다. 당시의 감정의 원인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정적 감정을 경험한 사람들이 부적 감정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자신의 삶을 더 행복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감정의 원인을 인식시킨 경우, 사람들은 감정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감정의 영향을 받지 말고 냉철하게 판단하도록 지시받은 참가자들에서는 감정효과를 수정하려 한 결과인 것으로 해석되는 반응, 즉 감정효과에 대하여 역방향의 반응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인 문제(주거 및 용돈에 대한 만족)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도 결과 양상은 비슷하였다. 실험 2에서는 참가자들이 선물을 받거나 의도적으로 무시됨으로써 비교적 강한 쾌/불쾌 정서를 경험한 상황에서 판단과제가 실시되었다. 감정의 원인을 강하게 인식시킨 조건과 약하게 인식시킨 조건 모두 판단에 있어 감정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오히려, 부적인 정서를 경험한 사람들이 정적인 정서를 경험한 사람보다(특히 주거나 용돈 같은 구체적인 영역에 있어) 더 만족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강한 감정상태에서도 감정효과를 수정하려는 현상이 나타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LeDoux의 최근 이론에 기초하여, 감정상태에서는 대상을 특정방향으로 해석하려는 '정서적 마음갖춤새'가 형성되어 감정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감정효과의 수정현상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earch for an explanation of mood effect on judgment. Some participants in Experiment 1 were made to feel good or bad for being in a cosy or dirty room. Some of them were made to be aware or unaware of the reason of their feeling; the others were instructed to be careful not to be influenced by their mood in their judgments on their general well-being and concrete issues (satisfaction of their residence and allowance). Mood effect was found in the Unawareness condition; clear correction effect in the Warning condition; tendency for correction effect in the Awareness condition. In Experiment 2, stronger emotions were induced by giving participants a praise and a book coupon(positive emotion) or an insult(negative emotion). Correction effect was found in both Clear and Weak Awareness conditions. These results were found for both concrete and global issues in both experiments. 'Emotional Set' hypothesis was proposed which maintains that an emotional state should form a set(perhaps in amygdala, based on LeDoux' theory) to color the evaluation of a target. Further research on the correction effect was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