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음성 정서표현의 음향프로파일 및 재인

Acoustic Profiles and Recognition in Vocal Emotion Ex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1, v.15 no.1, pp.39-52
남경식(Kyung-Sik Nam)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민경환(Kyung-Hwan Min)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음성 정서표현의 음향프로파일을 조사하고 재인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족, 환희, 슬픔, 비통, 불안, 공포, 짜증, 분노, 혐오, 경멸, 지루함, 죄책감, 자긍심, 흥미의 14 정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Banse와 Scherer(1996)의 절차를 따라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이들 정서에 대한 다양한 음향측정치를 구하여 정서별로 음향프로파일을 만들었다. 실험 1의 음향프로파일은 공포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Banse와 Scherer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실험 2에서는 음성자료만을 제시하였을 때 얼마나 정서를 잘 추정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재인율은 50%내외로 Banse와 Scherer의 결과와 비슷했으나 개별정서의 재인율에서는 일치도가 낮았다. 재인율이 높은 정서로는 비통, 분노, 지루함 등이었고 낮은 정서에는 만족, 환희, 불안, 혐오 등이 포함되었다. 동일방향의 정서가를 지닌 정서들간에 혼동률이 높았다. 여성음성자극에 대한 재인율이 높았고, 동성의 음성자극에 대한 재인율이 높았으며, 남녀 피험자간에 재인율에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keywords
음성 정서 표현, 음향 프로파일, 재인율

Abstract

The present study replicated Banse & Scherer(1996) to obtain acoustic profiles and estimate recognition accuracy in vocal emotion expression for Korean people. In experiment 1 professional actors' portrayals of 14 emotions(joy, elation, sadness, grief, anxiety, fear, irritation, anger, disgust, contempt, boredom, guilt, pride, interest) were subjected to digital acoustic analysis to obtain profiles of vocal parameters for different emotions. The Korean profiles in general replicated those obtained in Banse & Scherer with the exception of fear. In experiment 2 vocal emotional portrayals were presented to judge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recognition. The overall recognition rate was around 50%, close to the one in Banse & Scherer, but correspondence in recognition rates for the individual emotions was not high between the two studies. Vocal expressions of grief, anger, boredom were easily recognized while those of joy, elation, anxiety, disgust were not. Emotions with the same valence tended to be confused with each other. Female vocal expressions and vocal expressions of the same sex were more easily recognized than male ones and those of the different sex respectively. However differences in recognition accuracy between male and female judges were not found.

keywords
acoustic profile, recognition rate, vocal emotion express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1-14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0-02-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