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한국판 사회정체화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Identification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1, v.15 no.3, pp.33-48
성한기(Han Gee Seong)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한 집단에 소속하여 그 집단 멤버쉽을 자기 개념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정도를 측정하는 한국판 사회정체화 척도를 제작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요인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0문항의 예비척도에 대한 남녀 대학생 361명의 응답을 요인분석하여 19문항으로 된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집단자기존중감, 자기범주화 및 집단개입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244명의 다른 대학생들의 응답을 토대로 교차타당화 분석한 결과도 유사하제 나타났다. 3개의 하위척도의 신뢰도(α)는 .78~84로서 상당히 높았으며, 사회정체화와 관련된 개념을 측정하는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계수로 알아본 수렴 및 변별타당도는 비교적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그리고 사회정체화 수준은 남녀 대학생들의 학년, 학과 행사 참여도 및 학생회 간부 경력과 각각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전공강의 출석률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척도의 요인구조에 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및 척도의 활용 방안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사회정체성, 사회정체화 척도, 집단정체화, 자기범주화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orean Social Identification Scale which measures the extent that an individual accept his/her membership of a social group as a part of self-concept and identify to the group and examine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Based on the result of a factor analysis of the 361 college students' responses to a 30-item preliminary scale, a 19-item social identification scale was constructed. Three dimensions of social identification - group self-esteem, self-categorization and commitment to the group - could be distinguished as separate factors in a factor analysis of this scale. These results were cross-validated by an analysis of another 244 students' responses. The reliability of the three sub-scale(Cronbach's α=.78 ~ 84) was fairly high and both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were satisfactory. As expected, the level of social identif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d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departmental events and staff career of students' association, respectively. Finally,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tility of the scale were discussed.

keywords
social identity, social identification scale, group identification, self-categoriz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9-2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