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 쌍둥이 연구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elf-concept among children: A twin stud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5, v.19 no.2, pp.91-102
허윤미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 아동들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환경적 요소를 분석하는데 있다. 서울쌍둥이가족연구에 등록된 226쌍의 일란성 쌍둥이와 168쌍의 이란성 쌍둥이들이 우편으로 실시한 피어스-해리스 아동용 자아개념 검사와 난성검사에 응답하였다. 피어스-해리스 아동용 자아개념 검사는 여섯 개의 자아개념 척도, 즉, 행동, 외모 및 신체적 특성, 불안감, 지적능력 및 학교생활, 인기, 행복 및 만족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쌍둥이의 상관계수와 경로모델을 분석한 결과, 여섯 개의 자아개념 척도에 미치는 유전의 영향은 12%~35%였고, 공유환경의 영향은 14%~38% 사이에 있었으며, 비공유환경 요소는 38%~62% 사이에 있어서 자아개념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행동, 외모 및 신체적 특성과 불안감 영역의 자아개념은 유전의 영향이 매우 미약한 반면, 공유 환경과 비환경의 영향이 주된 역할을 하였으며, 인기, 행복 영역에 있어서는 공유환경의 영향이 약하고, 유전의 영향과 비공유환경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지적능력 자아개념의 개인차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유전의 영향 및 공유환경, 비공유환경 요소들이 모두 필요하였다.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 공유환경 및 비공유환경 요인의 의미에 관하여 토론해보고, 본 연구의 결과들을 해외에서 수행된 쌍둥이 연구결과들과 비교하여 검토해보았다.

keywords
Genetics, Environments, Self-Concept, Twins, Path Model, 유전, 환경, 자아개념, 쌍둥이, 경로모델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elf- concept among children in South Korea. A Korean version of the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and a zygosit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226 pairs of monozygotic and 168 pairs of dizygotic twins through a mail survey.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included six self- concept scales, that is, Behavior, Physical Appearance and Attributes, Anxiety, Intellectual Competence and School Status, Popularity,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traclass correlation and path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Mx(Neale, 1997). On the six self-concept scales, genetic influences ranged from 12% to 35%, shared environmental influences, from 14% to 38%, and nonshared environmental influences, from 38% to 62%. Shared and nonshared environmental factors were strong in Behavior, Physical Appearance and Attributes, and Anxiety, whereas genetic factors were important for Popularity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Genetic and shared and nonshared environmental influences were all necessary in explaining variations in Intellectual Competence and School Statu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revious findings based on Caucasian twin samples.

keywords
Genetics, Environments, Self-Concept, Twins, Path Model, 유전, 환경, 자아개념, 쌍둥이, 경로모델

참고문헌

1.

김기정, (1991) 자아개념의 발달적 변화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

김순혜, (1997) 고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 성향의 하위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3.

김영숙 , (1999)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

4.

남덕진 ; 이종승, (2002) 초기 가정환경변인과 자아개념의 관계, 교육학연구

5.

박영애, (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의 관계,

6.

상미현, (1999)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7.

신나나, (2000)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상호작용 효과,

8.

송인섭, (1989) 자아개념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9.

송인섭, (1997) 자아개념의 발달경향 분석,

10.

송인섭, (1999) 자아개념의 이론 측정 변화,

11.

윤영순, (2003) 쌍둥이 아동과 일반아동과의 자아개념 발달 비교연구,

12.

허윤미, (2000) 행동유전학을 통한 인간 행동의 이해,

13.

Akaike,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14.

Coopersmith, (1967) The antecedents of self- esteem,

15.

Goldsmith,H.H, (1991) A zygosity questionnaire for young twins:a research note,

16.

Harter,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17.

Harter, (1985) Competence as a dimension of self- evaluation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self-worth The Development of the Self, Academic Press

18.

Harter, (1988)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Adoles- cents UNiversity of Denver, Unpublished manuscript

19.

Hayduk,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0.

Hunter, (1981) Characteristics of high and low self esteem in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1.

Hur, Y-M.,, (20051981-2002) Changes in Twinning Rates in South Korea,

22.

Hur, (1998) The structure of self-concept in female preadolescent tw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3.

Ingham J, (1986) vulnerability and psychiatric disorder in the communit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4.

Jackson, (2001) Determination of twin zygosity A compar- ison of DNA with various questionnaire indices,

25.

Jackson, (2001) Determination of twin zygosity A compar- ison of DNA with various questionnaire indices,

26.

James,W, (1890) Principles of psychology, Holt

27.

Leckey, (1945) A theory of per- sonality, Island Press

28.

& Nichols, (1976) A study of 850 sets of twi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9.

Markus, (1991) Implications for cognition,

30.

Marx,R.W.,, (1978) Construct inter- pretations of three self-concept inventories,

31.

McCartney, (1990) Growing up and growing apart A developmental meta-analysis of twin studies,

32.

Neiderhiser, (1994) Genetic and environ- ment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self-worth and competence in adolescence A study of twins,

33.

McGuire, (1999) Perceived competence and self-worth during adolescence,

34.

McGue M, (1984) Adjustment of twin data for the effects of age and sex,

35.

Neale, (1997) Medical College of Vriginia Depart- ment of Psychiatry,

36.

Robson,P.J, (1988) Self-esteem- A Psychiatric view,

37.

Rogers, (1994) 학습의 자유-인간중심교육,

38.

Rosenberg,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The development of the self, Academic Press Inc

39.

Shavelson,R.J.,Hubner,J.J.,, (1976) Validation of construct interpretations,

40.

Wylie, (1989) Measures of self-concep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Lincol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