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교도소에 수용 중인 비행청소년 14명을 대상으로 15시간 총 10회기의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은 집단이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오리엔테이션과 적성검사, 직업윤리와 직업의 의의, 자신의 장점과 귀중한 것을 찾아보기, 사회적 조망과 공감, 긍정적 감정 표현하기, 부정적 감정 표현하기, 분노관리하기, 충동관리하기, 문제해결과 스트레스 관리, 미래의 자기 모습 그리기와 마무리하기 등이다. 프로그램에서는 시청각 자료와 역할연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자존감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교도소에 수용 중인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a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of fourteen juvenile delinquents in priso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total of fifteen hours of treatment and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included the following:orientation and attitude test; vocational ethics and the meaning of one's job; awareness of one's self merit and importance; social perspectives and sympathy;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s;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anger management; impulse management; problem solving and stress management; and the ability to envision a mental picture of one's future and goals. The procedures for a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included audio-visual materials and role-play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p assigned to a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had higher self-esteem scor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for improving the self-esteem has a positive impact for juvenile delinquents in prison.
고형일, 김학일, 최석만 (2004).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단전 호흡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 교육문제연구, 21, 119-142.
곽금주, 김근영 (1997). 자기지각 검사에 의한 자기개념연구(Ⅱ). 자기 가치감과 우울 및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0(1), 1-11.
김시연, 장진경 (2001). 공격성 감소와 자기표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보호관찰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3(1), 141-157.
김원중 (2004). 청소년 문제 행동의 변화 추이. 상담학연구, 5(4), 1169-1190.
김자경, 손정락 (2007). 의미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우울, 삶의 목적 및 비행충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6(1), 1-19.
김정진, 김미옥 (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연구-자존감의 향상과 우울감의 감소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4, 7-36.
노성호, 김성언, 이동원, 김지선 (1999). 청소년 비행의 이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류창현 (2006). 분노치료. 북카페.
문선모 (1979). 인간관계 훈련집단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논문집, 19, 195-204.
박상규, 손명자 (2000).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 629-643.
박상규 (2002). 마약류 중독자를 위한 자기사랑하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1, 693-703.
박상규 (2003). 자기사랑하기 프로그램의 효과. 상담학연구, 4(3), 437-446.
박상규 (2006). 정신재활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박현선 (2001). 비행청소년의 공격성 대체를 위한 다중모델적 개업의 효과. 한국아동복지학 12, 160-184.
법무부연수원 (2006). 2006년도 법무부연수원 통계자료.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1(4), 809-826.
설용자 (2005). 자기사랑하기프로그램이 소년원에 수용되어 있는 비행청소년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연구보고서.
양종국, 지용근 (2002). 비행청소년의 개인 배경변인 및 위험요인․보호요인과 재비행간의 관계. 한국의 청소년문화, 3, 349-381.
이경아, 이정윤, 양현정 (2005). 집단 따돌림이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 문제행동, 또래기술 및 자기존중감의 매개 중재 효과-. 상담학 연구, 6(2), 531-543.
이길전, 손정락 (2001). 자기지시훈련이 비행청소년의 역기능적 충동성과 연속수행검사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2), 229-244.
이수정 (2006). 최신 범죄심리학. 북 카페.
이재경 (2000). 비행청소년을 위한 문제해결훈련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6, 193-211.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77-290.
전석균 (1994).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영민 (2002). 알코올 의존자를 위한 자기사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1, 1-12.
정욱, 한규석 (2005). 자기고양 현상에 대한 조절변인으로서 자존감.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9(1), 199-216.
정진희, 전숙영 (2003). 2003 비행청소년의 생활세계. 서울특별시․자녀안심운동 서울협의회.
조아미, 권두승 (1998). 자아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5(3), 27-43.
차경호,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 요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5(1), 105-139.
최지혜, 김명, 최은진, 김혜경 (2003).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청소년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3), 19-35.
황혜리, 김경탁 (2005). 기독교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 -H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6(1), 275-286.
Bates, P. (1980). The effectiveness of interpersonal skills training on the social skill acquisition of moderately and mildly retarded adult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3, 237-248.
Chalmers, J. B., & Townsend, M. A. R. (1990). The effects of training in social perspective taking on socially maladjusted girls. Child Development, 61, 178-190.
Chandler, M. J. (1973). Egocentrism and antisocial behavior: The assessment and training of social perspective-taking skills. Developmental Psychology, 9(3), 326-332.
Chandler, M. J., Greenspan, S., & Barenboim, C. (1974). Assessment and training of role-taking and ref- erential communication skills in institutionalized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Developmental Psy- chology, 10(4), 546-553.
Cooke, D. J., & Michie, C. (2001). Refining the construct of psychopathy: Towards a hierarchial model. Psychological Assessment, 13, 531-542.
Grann, N, L. (2002). Psychopathy and violent recidivism among young criminal offenders. Acta Psychiatric Scandinvica, 106, 86-92.
Harrow, M., & Miller, J. G. (1980). Schizophrenic thought disorders and impaired perspectiv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9(6), 717-727.
Hilyer, J. C., Wilson, D. G., Dillon, C., Caro, L., Jenkins, C., Spencer, W. A., & Booker, W. (1982). Physical fitness training and counseling as treatment for youthful offenders. Journal of Counseling Psy- chology, 29(3), 292-303.
Horley, J. (2006). Personal construct psychotherapy: Fixed-role therapy with forensic clients. Journal of Sexual Aggression, 12(1), 53-61.
Leeman, L, W., Gibbs, J. C., & Fuller, D. (1993). Evalua- tion of a multi-component group treatment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Aggressive Behavior, 19, 281-292.
Lochman, J. E. (1992).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with aggressive boys: Three-year follow-up and preventive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3), 426-432.
Nas, C. N., Brugman, D., & Koops, W. (2005). Effects of the EQUIP programme on the moral judgement, cognitive distortions, and social skills of juvenile delinquents. Psychology, Crime & Law, 11(4), 421- 434.
Rigby, K., & Cox, I. (1996). The contribution of bullying at school and low self-esteem to acts of delinquency among australians teenagers. Personality and Indi- vidual Difference, 21(4), 609-612.
Rosenberg, F., & Rosenberg, M. (1978).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 279-291.
Slaby, R. G., & Guerra, N. G. (1988).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s. Assess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4, 580-588.
Vassileva, J., Kosson, D. S., Abramowitz, C., & Conrod, P. (2005). Psychopathy versus psychopathies in classifying criminal offenders. Legal and Crimino- logical Psychology, 10, 27-43.
Van Nieuwenhuizen, C. (2005). A treatment programme for sexually violent forensic psychiatric inpatients: Development and first results. Psychology, Crime & Law, 11(40), 467-477.
Wanberg, K. W., & Milkman, H. B. (1998). Criminal conduct and substance abuse treatment. SAGE Publications.
Wills, T. A., Murry, V. M., Brody, G. H., Gibbons, F. X., Walker, C., & Ainette, M. G. (2007). Ethnic pride and self-control related to protective and risk factors: Test of theoretical model for the strong african american families program. Health Psy- chology, 26(1), 5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