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개인주의적 및 집단주의적 요인

Two-factor Self-Esteem Scale: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Factor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7, v.21 no.4, pp.117-131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4.007
한유화 (충북대학교)
정진경 (한양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가 현재 집단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 문화로 변화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 사람들의 자아존중감 구성요인은 집단주의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의 자아존중감 구성요인을 모두 포함할 것으로 보고, 한국인의 자아존중감 구성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문화적 편향이 최소화된 자아존중감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인의 자아존중감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한 문항과 이론 추출 문항을 수집․작성하고, 문항 분석 결과 선정된 문항들로 새 척도를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사전 조사에서는 중고생, 대학생, 일반성인 총252명을 대상으로 자신이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되는 경우, 가장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묻는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18개 문항을 수집하고, 이론 추출 방법을 통해 5개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새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총 23개의 예비 문항을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SDS 자기평가 우울 척도, 개인주의-집단주의 척도와 함께 대학생 295명에게 실시하였다. 문항-총점간 상관계수와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새 척도에 포함할 12개의 문항을 선정하였고, 새 척도는 개인주의적 요인의 문항 6개, 집단주의적 요인의 문항 6개로 구성하여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로 명명하였다.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한 결과 한국인들은 개인의 성향에 관계없이 집단주의적 요인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개인주의적 요인에서보다 집단주의적 요인에서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의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e, Self-Esteem, 2-factor Self-Esteem Scale,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 자아존중감,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e, Self-Esteem, 2-factor Self-Esteem Scale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construct Koreans' self-esteem on the assumption that it would reflect both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dimensions. The study constructed an inventory for Koreans' self-esteem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pilot study, 252 respondents answered 4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feel proud of or worthy on theirselves. The answers were summarized into 18 categories that including 8 individualistic and 10 collectivistic categories. The preliminary items included these 18 items and 5 theoretical items. In the main study, 295 respon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5 scales(Rosenberg's Self-Esteem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DS depression scale, Individualism-Collectivism scale and preliminary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item-total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6 individualism related items and 6 collectivism related items were selected for the new “2-factor Self-Esteem Scale”. The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79. It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Rosenberg's Self-Esteem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which supports its usefulness as a self-esteem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the collectivistic factor is higher than the individualistic factor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ivistic factor is smaller than the individualistic factor.

keywords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e, Self-Esteem, 2-factor Self-Esteem Scale,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 자아존중감,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e, Self-Esteem, 2-factor Self-Esteem Scale

참고문헌

1.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 (2000).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2.

이종한 (1993). 남자와 여자 생산직 및 관리직 종사자의 분배원리 선호 경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 7(1), 245-253.

3.

전병제 (1974).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

4.

조긍호 (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 틀. 서울:나남출판.

5.

조선영, 이누미야, 한성열, 기무라 (2005). 한일대학생의 대인불안 규정요인의 비교:공적자기의식, 자아존중감, 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9(1), 1-12.

6.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3(2), 293-310.

7.

Baumeister, R. F., Tice, D. M., & Hutton, D. G. (1989).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s and personality differences in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57, 547-579.

8.

Brown, J. D. (1993). Self-esteem and self-evaluation:Feeling is believing. In J. Suls(Ed.),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self(Vol.4, 27-58). Hilsdale, NJ:Erlbaum.

9.

Daly, M. J., & Burton, R. L. (1983).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An exploratory investigation with implications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 361-366.

10.

DeVos, G. (1973). Socialization for achievement:Essays on the cultural psychology of the Japanese.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Diener, E., & Diener, M. (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653-663.

12.

Heine, S. J., Lehman, D. R., Markus, H. R., & Kitatama, S. (1999). Is there a universal need for positive selfregard? Psychological Review, 106, 766-794.

13.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Sage.

14.

Hofstede, G. (1995). 세계의 문화와 조직[Cultures and organizations:Software of the mind](차재호, 나은영 역). 서울:학지사(원전은 1991에 출판).

15.

Hsu, F. L. K. (1981). Americans and Chinese:Passage to differences. Honolulu:University of Hawaii Press.

16.

Hui, C. H., & Triandis, H. C. (1986). Individualismcollectivism:A study of cross-cultural researche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7, 225-248.

17.

James, W. (2005). 심리학의 원리[The principles of psychology](정양은 옮김). 서울:아카넷(원전은 1890에 출판).

18.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19.

Nakano, C. (1970). Japanese Society.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22.

Triandis, H., Bontempo, R., Villareal, M. J., Asai, M., & Lucca, M. (1988).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self-ingroup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4, 323-338.

23.

Triandis, H., & Gelfand, M. J. (1998).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4, 118-128.

24.

Triandis, H. C. (1989). The self and social behavior in differing culture contexts. Psychological Review, 96, 506-520.

25.

Triandis, H. C. (1994) Culture and Social Behavior. MacGraw-Hill. New York.

26.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l:Westview Press.

27.

Zung, W.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3, 508-5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