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에서는 역할불일치 이론(Eagly & Karau, 2002)에 근거하여 여성 리더들이 남성 리더들에 비해 리더지위 진출 및 리더 효율성이 부진한 이유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차별적 조직 문화에 따라 여성 리더들의 심리적 특성, 리더십 유형 및 효율성에 대한 지각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연구 1), 그리고 남녀 부하의 남녀 리더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 2). 연구 1의 결과 예상대로 성차별 문화가 높은 조직에서는 여성 리더가 남성 리더에 비해 멘토링 양상이 부정적이며 자신의 리더십 효율성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반면 성차별 문화가 낮은 조직에서는 남녀 리더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여성리더의 여성성은 남성리더와 달리 성차별이 높은 조직에서 낮은 조직에 비해 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2의 결과, 성차별 문화가 낮은 조직에서는 남녀 부하의 남녀 리더에 대한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성차별 문화가 높은 조직에서는 남성 부하는 남성 리더를 여성 리더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여성 부하는 여성 리더를 남성 리더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as well as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leaders, as suggested by the role incongruity theory.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gender prejudic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of the public sectors on male and female leaders' evaluation of themselves (Study 1)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subordinates regarding their male and female leaders (Study 2). The results of Study 1 demonstrated that as expected, in the high-prejudiced organizations female leaders showed lower collective self-esteem, had fewer mentors and evaluated themselves as being less effective than male leaders did, while no such gender differences emerged in low-prejudiced organizations. Female leaders tended to evaluate their femininity characteristics lower in the high-prejudiced organization than in the low-prejudiced organization, unlike male leaders. The results of Study 2 demonstrated that in the low-prejudiced organization male and female subordinates did not differ in their evaluation of male and female leaders, while in the high-prejudiced organization male subordinates evaluated male leaders more positively than female leaders and female subordinates evaluated female leaders more positively than male leader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강혜련 (1998). 리더십과 조직 적응:남녀 관리자의 비교 연구. 인사․조직 연구, 6(2), 81-123.
국민일보 (2008. 11. 27).
김남숙, 정진경, 박광배 (1997). 한국 성역할 검사의 수정점수 및 분류기준 산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1(2), 77-90.
김양희 (2000). 기업내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비교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김지경 (2002). 성차별 경험이 여성의 사회적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김혜숙 (1994). 한국집단자아존중척도. 한국심리학회지:사회, 8(1), 103-116.
김혜숙, 안한숙 (1995). 리더의 성, 리더십 유형과 직업 유형이 리더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아주 사회과학 논총, 10, 185-206.
김혜숙, 장재윤 (2002). 여성 공무원 리더의 효율성, 성 정체성, 삶의 만족도와 조직의 성차별 문화.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8(2), 191-208.
이선이, 윤소연, 김혜숙 (2007). 공공부문 여성 리더가 처한 조직 환경에 대한 인식:조직 유형별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2(4), 491-518.
장필화, 김혜숙, 장재윤, 정진웅, 황상민, 김효선, 노지향, 박수선, 허순희 (2002). 여성 공무원의 리더십과 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모듈 개발과 워크숍. 중앙인사위원회 보고서.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검사 (KSRI).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5(1), 82-9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6). 여성통계연보.
한국여성개발원 (2003). 여성백서.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 chology, 42, 155-162.
Burke, R. J., & Nelson, D. L. (2002). Advancing women's careers. Oxford:Blackwell.
Eagly, A. H. (1987). Sex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A social-role interpretation. Hillsdale, NJ:Erlbaum.
Eagly, A. H., & Johnson, B. T. (1990). Gender and leadership style: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08(2), 233-256
Eagly, A. H., & Karau, S. J. (2002). Role congruity theory of prejudice toward female leaders. Psychological Review, 109, 573-598.
Eagly, A. H., Karau, S. J., & Makhijani, M. G. (1995). Gender and effectiveness of leaders: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7, 125-145.
Eagly, A. H., Makhijani, M. G., & Klonsky, B. G. (1992). Gender and the evaluation of leaders: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1, 3-22.
Ely, R. J. (1994).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emo- graphics and social identity on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women. Administrative Science Quar- terly, 39, 203-238.
Fiedler, F. E. (1978). The contingency model and the dynamics of the leadership proces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2, 59-112.
Gutek, B. A., & Morasch, B. (1982). Sex ratios, sex role spillover, and sexual harrassment at women at work. Journal of Social Issues, 38, 55-74.
Heilman, M. E., Block, C. J., Martell, R. F., & Simon, M. C. (1989). Has anything changed? Current chara- cteriation of men, women and manag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 935-942.
Kanter, R. M. (1977).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New York:Basic Books.
Powell, G. N., Butterfield, D. A., & Parent, J. D. (2002). Gender and managerial stereotypes:Have the times changed? Journal of Management, 28(2), 177-19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Princeton University Press.
Van Velsor, E. (1987). Breaking the glass ceiling:Can women make it to the top at America's largest corporrations? Reading, MA:Addison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