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성공적 노년기의 자아통합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죽음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Ego-Integrity in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9, v.23 no.4, pp.115-130
https://doi.org/10.21193/kjspp.2009.23.4.007
김지현 (한림대학교)
강연욱 (한림대학교)
유경 (충북대학교)
이주일 (한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는 변인들을 밝히고, 성공적 노년기의 중요한 특징인 자아 통합감에 대한 죽음 태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별, 연령, 종교 유무, 및 건강과 같은 인구학적 변인들과 우울, 불안, 자살충동, 및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과 같은 적응 지표 뿐 아니라, 노년기 죽음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 노년기의 자아 통합감의 성취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예측 변인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또한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에서 노인들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65세 이상 408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면접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얻어졌다. 여성 노인들은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성공적 노년기를 보내는 데 있어서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성이 높았다. 또한 65세부터 74세까지의 전기 노년 집단과 75세 이상 후기 노년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죽음에 대한 접근적인 수용 태도가 성공적인 노년기 자아 통합을 성취한 사람들의 특징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년기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 건강을 포함한 인구학적 변인만을 포함하는 모델 1은 약 6.4%의 변산을 설명하고, 자살충동성을 포함하는 적응지표를 추가한 모델 2는 약 8.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죽음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모델 3은 성공적 노년기의 자아 통합감에 대한 인식의 약 41.4%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인식이 아닌 실태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의 결과인 노년기 자아 통합감의 인식과 실제 성취 정도를 예측하게 해주는 변인이라는 것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죽음에 대처하는 유능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죽음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ego integrity, death attitude, death fear, death acceptance, gender difference, 자아통합감,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공포, 죽음수용, 삶 만족, 성차, 연령차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nd examining the influence of death attitude on ego-integrity among the eld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s, psychological adaptation indices , and death attitude on the concept of ego-integrity as a result of successful aging. Another purpose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and aging effects in ego-integrity and death attitude among the elders. Using a sample of 408 elders over 65 years of age, the relationships among diverse variables and ego integrity concept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death attitude including death fear and death acceptance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health, and religiosity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indices including depression, state anxiety, suicidal tendency,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concept of ego-integrity in the elderly.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women tend to report significantly higher death acceptance than men among the eld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old-old adult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ath acceptance than the young-old adults group. The majo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s,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ath attitude on the concept of ego integrity as a result of successful aging.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s of those variables on ego-integrity were assess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superiority of death attitude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go-integrity in the elderly group. A number of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acknowledg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their practical importance on death education were discussed.

keywords
ego integrity, death attitude, death fear, death acceptance, gender difference, 자아통합감,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공포, 죽음수용, 삶 만족, 성차, 연령차

참고문헌

1.

김정순(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

김지현(2008). 죽음에 대한 공포와 수용 및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지현 ․ 민경환(2005). 청년 집단의 죽음 공포와 죽음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2), 11-36.

4.

오진탁 ․ 김춘길(2009).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9(1), 51-69.

5.

유 경 ․ 민경환 (2005).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1-18.

6.

윤진(1985).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7.

이지영․ 이가옥(2004). 노인의죽음에대한인식. 한국노년학, 24(2), 193-215.

8.

한성열(1990). 노년기 회상에 관한 성차 연구: 시간적 투자와 회상의 기능 및 내용을 중심으로. 고려대교육 논총, 20, 57-76.

9.

홍주연(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Aday, R. H. (1984). Belief in afterlife and death anxiety: Correlates and comparisons. Omega, 15, 67-75.

11.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12.

Berman, A., & Hays, J. E. (1975). Relation between death anxiety, belief in afterlife, and locus of contro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1, 318-321.

13.

Bugen, L. A. (1980-81). Copin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mega, 11, 175-183.

14.

Butler, R. N. (1963).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old age.Psychiatry, 26, 65-76.

15.

Dattel, A. R. & Neimeyer, R. A. (1990). Sex differences in death anxiety: Testing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hypothesis. Death Studies, 14, 1-11.

16.

Drolet, J. L. (1990). Transcending death during early adulthood: Symbolic immortality, death anxiety, and purpose of lif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6, 148-160.

17.

Durlak, J. A.(1994). Changing death attitudes through death education. In R. A. Neimeyer (Ed.) Death anxiety Handbook, (pp. 243-260). Washington DC : Francis & Taylor.

18.

Erikson, E. H.(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19.

Feifel, H., & Branscomb, A. B. (1973). Who's afraid of death?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1, 282-288.

20.

Flint, G. A., Grayton, W. F., & Ozmon, K. L. (1983). Relationship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death by elderly persons. Psychological Reports, 53, 290.

21.

Fortner, B. V., & Neimeyer, R. A. (1999). Death anxiety in older adults: A quantitative review. Death Studies, 23, 387-412.

22.

Fry, P. S. (2003). Perceived self-efficacy domains as predictors of fear of the unknown and fear of dying among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18, 474-486.

23.

Gesser, G., Wong, P. T. P., & Reker, G. T. (1988). Death attitudes across the life spa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eath Attitude Profile. Omega, 2, 113-128.

24.

Hamachek, D. (1990). Evaluating selfconcept and ego status in Erikson's last three psychosocial stag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July/August, 68, 677-683.

25.

Jeffers, F. C., Nichols, C. R., & Eisdorfer, C. (1961). Attitudes of older persons toward death.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16, 53-56.

26.

Klug, L., & Sinha, A. (1987). Death acceptance: A two-component formulation and scale. Omega, 18, 229-235.

27.

Kṻbler-Ross, E. (1981). Living with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28.

Kṻbler-Ross, E., & Kessler, D. (2000). Life Lessons. New York: Scribner.

29.

Neimeyer, R. A. (1994).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30.

Pollark, J. M. (1980). Correlates of death anxiety: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mega, 10, 97-121.

31.

Tomer, A. (1994). Death anxiety in adult life: The practical perspectives. In R. A. Neimeyer (Ed.), Death Anxiety Handbook, (pp. 3-28).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32.

Wong, P. T. P. Recker, G. T. & Gesser, G.(1994). Death Attitude Profile-Revise 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s toward death. In R. A. Neimeyer(Ed.) Death Anxiety Handbook, (pp.121-148).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