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교도소 수용자의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이 심리사회적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of Prison Inmates on Psychosocial Functioning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2, pp.73-88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4
박근영 (법무부)
이민규 (경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질환의 유-무와 정신건강(주관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수준으로 정신건강을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Keyes(2005)의 정신건강모형이 수형자 집단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모형에 따른 분류의 정확성을 규명하고, 집단 간 심리사회적 기능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 교도소 수형자 63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 척도, 긍정적 정서목록,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사회적 안녕감 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심리사회적 기능척도, 공격성척도를 사용 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은 상관을 가정한 2요인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별분석을 통해 Keyes(2005)가 제안한 정신건강모형에서 제시한 5개 집단 분류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신건강, 정신질환과 심리사회적 기능의 각 하위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집단 간 심리사회적 기능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모형을 통한 정신건강 진단의 시사점과 각 집단에 적합한 개입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model of mental health, well-being, mental illness, psychosocial functioning, prison inmates, 정신건강모형, 안녕감, 정신질환, 심리사회적 기능, 교정시설 수용자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mental health model divided into five types by Keyes(2002)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ental illness and the level of mental health (subjec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s suitable for groups of prison inmates, investigat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odels and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sychosocial functioning among those groups. To do th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30 inmates of J prison using the measurement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list of posi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ocial well-being scale, SCL-90-R, psychosocial functioning scale and aggression scale,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es that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constituted separate latent factors, and the two latent factors were correlated. The accuracy of the 5-group classification suggested in mental health models by Keyes (2002) was confirmed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and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discover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sychosocial functioning among groups. Lastly, implications on mental health examination through mental health models and necessity of intervention suitable for each group were referred to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tasks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model of mental health, well-being, mental illness, psychosocial functioning, prison inmates, 정신건강모형, 안녕감, 정신질환, 심리사회적 기능, 교정시설 수용자

참고문헌

1.

강윤지 (2007). 호텔직원의 직장-가족갈등, 가족-직장갈등이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3.

김광일, 김재환 (1989).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연구소.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19-32.

5.

김시업 (2006). 여성범죄자와 일반 여성의 분노특성 비교연구- 남편 살해 여성과 기혼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25-142.

6.

김윤희, 오상우 (2008). SCL-90-R의 요인구조: 정신과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용. 2008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622-623.

7.

노형진(2010). Excel 및 SPSS를 활용한 다변량분석 원리와 실천, 한올출판사.

8.

류정희, 이명자 (2007).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학교, 4(1), 55-77.

9.

민성길 (2008). 최신정신의학 제5판, 일조각.

10.

박동혁 (2007). 예방과 촉진을 위한 청소년 정신건강 모형의 탐색.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배다현(2008). 여성재소자들의정신건강상태와정신건강서비스욕구에관한연구.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석사학위논문.

12.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13.

성태제(2009). SPSS / AMOS 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14.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15.

신현숙, 류정희, 이명자 (2005). 청소년의 낙관성과 비관성: 1-요인 모형과 2-요인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79-97.

16.

연합뉴스, 2009.10.3 ‘출소자 25% 손 못 씻고 다시 교도소행’.

17.

염계화 (2005).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생성감과 심리적 웰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명자, 류정희 (2007). 청소년의 정신건강 모형 검증: 정신건강과 정신질환 축의 결합. 2007년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590-591.

19.

이명자, 류정희 (2008). 완전한 정신건강모형 검증. 교육연구 31, 47-68.

20.

이수정, 서진환, 이윤호 (2000). MMPI 점수로 본 교도소 수형자들의 정신건강 문제 실태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19(2), 43-62.

21.

이수정, 이인희 (2008). 수용자의 교정심리검사와 교정상담 평가의 예측타당도 연구 : 수용자의 5년 후 재범과 규율위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1(2), 1-16.

22.

이수정, 허재홍 (2004). 잠재적 범죄위험요인으로서의 정신병(psychopath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10(2), 39-78.

23.

이학식, 임지훈 (200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AMOS 6.0. 법문사.

24.

이철호 (2005). 교도소 수용자의 정신건강 및 분노조절 프로그램 효과: 자아존중감, 상태특성분노, 강인성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5.

이철호, 이민규 (2006). 교도소 수형자의 성격특성과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0(1), 77-91.

26.

이철호, 이민규 (200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1(1), 35-46.

27.

이철호, 이민규 (200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1(1), 35-46.

28.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29.

우희경 (2007).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수용처우 제고방안, 교정. 제51권 제10호 통권 제378호(2007년 10월), pp.84-115.

30.

윤성혜 (2007).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2.

한덕웅, 표승연 (2002).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7(3), 403-427.

33.

형사정책연구원 (2008),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34.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5.

Butterbaugh, G., Rose, M., Thomson, J., Roques, B., Costa, R., Brinkmeyer, M., Olejniczak, P., Fisch, B., Carey, M., (2005). Mental health symptoms in partial epilepsy.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 647-654.

36.

Derogatis, L. R & Cleary, P. A. (1977).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for the primary systom dimentions of the SCL-90-R. Brit. J. Clin. Psychol., 16 : 347-356.

3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38.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9.

Diener, E., Oishi, S., & Lucas, R. E. (2003).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403-425.

40.

Keller, M. B., Shapiro, R. W., & Wolfe, N. (1982). Relaps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alysis with the life event tab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9, 911-915.

41.

Kennedy, J. J. & Bush, A. J. (1985). An introduction to the design and analysis of experiments in behavioral. University Press of Ameria.

42.

Kessler, R. C., McGonagle, K. A., Zhao, S., Nelson, C. B., Hugher, M., Eshleman, S., Wittchen, H. U., & Kendler, K. S. (1994). Lifetime and 12 month prevalence of DSM-Ⅲ-R psychiatric disorders on the Unite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lorabil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1, 8-19.

43.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44.

Keyes, C. L. M. (2006). Subjective well-being in mental health and man development research worldwide: An Introduc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77, 1-10.

45.

Keyes, C. L. M. (2006b).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Is American's youth flourish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try, 76(3), 395-402.

46.

Keyes, C. L. M (2009). Keyes's model of mental health with personal growth initiative as a parsimonious predictor. Journal of Counscling Psychology, 56(2), 321-329.

47.

Keyes, C. L. M. (1996). Social functioning and social well-being.: Studies of the social nature of personal wellness(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6).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6, 7095.

48.

Keyes, C. L. M. (2002).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 207-222.

49.

Keyes, C. L. M, & Jonathan Haidt. (2002).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0.

Keyes, C. L. M. (2005).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3), 539-548.

51.

Keyes, C. L. M. (2007).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merical Psychologist, 62(2), 95-108.

52.

Keyes, C. L. M., & Lopez, S. J. (2002). Toward as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C. R. Snyder, & Shane.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53.

Keyes, C. L. M., Shmotkin, D., & Ryff, C. D. (2002).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1007-1022.

54.

Linley, P. Alex & Stephen Joseph (2004).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p 720), John Wiley & Sons, Inc.

55.

Link, B., & Steuve, A. (1995). Evidence bearing on mental illness as a possible cause of violent behavior. Epidemiology Reviews, 17, 172-181.

56.

Lucas, R. E., Diener, E. (1996). Discriminan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616-628.

57.

Penninx, B. W. J. H.,Guralnik, J.m., Siminsick, E, M., Kasper, J. D., Ferrucci, I., & Fried, L. P.(1998). Emotional vitality among disabled older women: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6, 807-815.

58.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549-559.

59.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ing, or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60.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rtention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61.

Shaffer, D., Fisher, P., Dulcan, M. K., Davies, M., Piacentini, J., Schwab Stone, M. E., et, al. (1996). The NIMH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version 2.3 (DISC,2.3): Description, acceptability, prevalence rates, and performance in the MECA study. Methods for the epidemiology of child and adolescent mental disorders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5, 865-877.

6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Promoting mental health: 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ce (Summary report). Geneva: Author.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