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대 간 분석

The Factors of Happy Life among Korean Wome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2, pp.89-104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5
유경 (충북대학교)
이주일 (한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연령 집단에 따른 여성의 행복 수준의 차이와 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대부터 60대까지의 여성 65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세대에 따라 청년기, 성인 초기, 성인 중기, 성인 후기로 구분하고 연령 집단에 따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16가지 요인들의 영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행복 수준은 성인 후기 집단이 가장 높고, 성인 초기, 성인 중기, 청년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 집단에 따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성인 후기 집단은 성취수용, 성인 중기 집단은 성취 수용, 배우자, 성인 초기 집단은 종교, 자녀성장, 배우자, 대인관계, 긍정적 인생관, 건강, 그리고 청년기는 성취 수용, 여가, 긍정적인 인생관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세대별로 갖는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행복, 여성의 삶, 세대 차, 노화, happiness, woman's life, generation gap, aging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age differences of Korean women's Happiness and examine the effects of 16 happy-related factors on happiness. From twenties to sixties 656 Korean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results, there were age differences among four age groups(late adulthood > pre-adulthood > middle adulthood > early adulthood). In regard of 16 happy-related factors, they ha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happiness among four group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achievement acceptance, leisure, positive one's view of life had effects on the happiness of pre-adulthood. In early adulthood, religion, raising of children, spouse/partner, relationship, positive one's view of life, health factors and in middle adulthood, achievement acceptance and spouse/partner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appiness. In late adulthood, achievement acceptance factor was effective. The important meanings of 16 happy-related factors an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women's happiness were discussed.

keywords
행복, 여성의 삶, 세대 차, 노화, happiness, woman's life, generation gap, aging

참고문헌

1.

구재선 김의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77-100.

2.

김경민 한경혜 (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24(3), 211-230.

3.

김명소 김혜원 (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심리적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5.

김명소 성은현 김혜원 (1999). 한국 기혼여성들의성격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4(1), 41-55.

6.

김명소 차경호 임지영 (2002). 대학생이 생각하는 바 람직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2002 한국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7.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8.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9.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호식 (2000).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119-145.

10.

김혜원 (1997).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 사회구조적 변인, 성역할태도, 역할의 질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111-127.

11.

박 경 (2003).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8(3), 581-593.

12.

박영신 김의철 (2009).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67-495.

13.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방식 및 갈등 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9(1), 65-83.

14.

유 경 (2007). 정서적 특성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15.

유 경 이주일 강연욱 박군석 (2009). 노년기 정서 경험의 변화와 주관적 안녕감: 종단연구 분석. 한국노년학, 29(2), 729-742.

16.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의사소통 패턴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17.

이지선 김민영 서은국 (2004). 한국인의 행복과 福:유사점과 차이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8(3), 115-125.

18.

전신현 (1996). 여성의 가정에서의 역할 긴장과 정신건강: 역할정체성 이론 관점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창간호, 103-125.

19.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1994).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6(2), 61-94.

20.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개인중심-집단중심주의 성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10(2), 193-216.

21.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06). 한국 노인의 삶의질 I. 춘천: 한림대학교출판부.

22.

Barret, L. F., Lane, R. D., Sechrest, L., & Schwartz, G. E. (1999). Sex difference in emotional aware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 1027-1035.

23.

Cameron, P. (1995). Mood as an indicator of happiness: Age, sex, social class, and situation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ist, 31, 117-124.

24.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5.

Carstensen, L. L. (1999). A life-span approach to social motivation. In J. Heckhausen & C. Dweck (Eds.), Motivation and self regulation across the life-span(pp.341-364).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Carstensen, L. L., Pasupathi, M., Mayr, U., & Nesselroade, J. (2000). Emotion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4), 644-655.

2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28.

Diener, E., Colvin, C. R., Pavot, W. G., & Allman, A. (1991). Motivation and Emotion. In J. E. Birren & K. W.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and aging(4th ed., pp.218-235). San Diago, CA: Academic Press.

29.

Diener, E., Smith, H., & Fujita, F. (1995). Personality structure of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130-141

30.

Diener, E., & Suh, E. M. (1998). Subjective well-being and age: An international analysis.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17, 304-324.

31.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2.

Erikson, E. H. (1976). Reflection of on Dr. Borg's life cycle. Daedalus, 105-1-28.

33.

Filipp, S. H. (1996). Motivation and Emotion. In J. E. Birren & K. W.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4th ed., pp.218-235). San Diago, CA: Academic Press.

34.

Gross, J. J., & John, O. P. (1995). Faces of emotional expressity: three self-report factors and their correl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 555-568.

35.

Gross, J. J., & Levenson, R. W. (1993). Emotional suppression: Physiology, self-report, and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6), 976-986.

36.

Haight, B. K., Michel, Y., & Hendrix, S. (1998). Life review: Preventing despair in newly relocated nursinghome residents short and long term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7(2), 119-142.

37.

Jones, C. J., & Meredith, W. (2000). Developmental paths of psychological health from early adolescence to later adulthood. Psychology and Aging, 15, 351-360.

38.

Lang, F. R., & Carstensen, L. L. (2002).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s,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Aging, 17, 125-139.

39.

Lawton, M. P. (1975). The Philadelphia Geriatrics Center for Morale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38, 181-189.

40.

Levinson, D. J. (1978, 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Knopf.

41.

Lubomirsky, S. (2007).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Grove/Atlantic, Inc.

42.

Lucas, R. E., & Gohm, C. L. (2000). Age and sex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ltures. In E. Diener & E. M. Suh (Ed.),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pp.291-317). London: The MIT Press.

43.

Marshall, N. L., & Barnett, R. C. (1993). Work-family strain and gains among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1, 64-78.

44.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