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년,1998년,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TrendsofValueChangesinKorea: Basedon1979,1998,and2010SurveyDa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4, pp.63-93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4.004
나은영 (서강대학교)
차유리 (서강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1979년,1998년의 가치관 조사에 이어 2010년의 조사 결과를 더함으로써 지난 30년 간 한국인의 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그 결과 세대 간의 생각의 차이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서울과 전국 6대 광역시 및 경기 시군부에서 2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각 100명씩 할당 표집 하여 800명에게 개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조사 문항은 1998년 조사 시와 동일한 가치관 21문항(자신과 가족 중심 개인주의, 탈권위주의,자기주장성,불확실성 회피,미래지향성,남녀평등의식,및 풍요로운 생활 차원에서 각 3문항씩)과 탈물질주의 측정을 위한 1문항이었다.분석 결과,1979년부터 1998년까지의 19년 동안과 마찬가지로 1998년부터 2010년까지의 12년 동안에도 자신과 가족 중심 개인주의와 남녀평등의식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탈권위주의와 자기주장성의 일부 문항에서는 후반 12년 간 윗사람에 대한 배려와 겸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대체로 급격히 변화하는 가치관들은 초반 19년간은 50대보다 20대가 더 빨리 변화하여 세대차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고,후반 12년간은 대세에 적응하기 위한 50대의 빠른 변화로 인해 세대차가 조금 줄어들었다.또한,1998년 조사에서는 IMF직후 물질주의로 약간 후퇴하던 전반적인 경향도 젊은 층이 더 빨랐으나,2010년에는 여전히 탈물질주의자의 비율은 젊은 층이 더 높지만 젊은 층의 물질주의자 비율이 증가하면서 혼합형이 줄어들었고,기성세대는 물질주의자의 비율이 감소하면서 혼합형이 증가하여,결과적으로 세대차가 감소하였다.2010년 조사에서 새로이 등장한 문제는 외국인이라고 하여 특별히 더 친절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증가한 점으로,다국적 외국인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21세기의 새로운 문화 환경을 반영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30년 간 지속적으로 남녀노소의 과반수 찬성을 얻은 가치 항목들도 소통의 공통기반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keywords
value, change, generation, difference, Korean, individualism, genderequality, power-distance, assertiveness, communication, 가치관, 변화, 세대, 차이, 한국인, 개인주의, 남녀평등, 탈권위주의, 자기주장성, 소통

Abstract

The present study presents the trends of value changes in Korea through the analyses of 1979, 1998, and 2010 survey data. In order to compare the data of three-wave surveys directly, the same value items were used in the 2010 survey as in 1998. Three items from each of the self- and family-centered individualism, anti-authoritarianism, assertiveness, uncertainty-avoidance, future orientation, gender equality, and rich life were selected. 800 Koreans (100 from each of 20's, 30's, 40's, and 50's males and females) were sampled from Seoul, 6 National Regional Cities, and proportional districts at Kyung-gi Province, and were survey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of ⑴ individualism emphasizing self and close family, and ⑵ egalitarian perspective toward women (permission of social activity, decrease of stick to chastity, etc.) between 1998 and 2010, as between 1979 and 1998. In addition, ⑶ the increasing tendency of assertiveness and anti-authoritarianism was a little weakened, because of a slight increase of humbl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terestingly, the 50's speed of change was a little faster than the 20's during the recent 12 years from 1998 through 2010, which resulted in somewhat decreased generational difference especially in the rapidly-changing value items.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at in 1998 survey, which had showed the faster change of 20's than 50's. It seems that during the recent 12 years (1998~2010) the 50's have been trying to adjust themselves to the widely-accepted values which had been led by the youngers during the previous 19 years (1979~1998). Relatively stable values which have gained support from over 50% of Koreans regardless of genders and generations throughout the investigated 30 years are also important as common ground of mutual communication for a united society.

keywords
value, change, generation, difference, Korean, individualism, genderequality, power-distance, assertiveness, communication, 가치관, 변화, 세대, 차이, 한국인, 개인주의, 남녀평등, 탈권위주의, 자기주장성, 소통

참고문헌

1.

김규남,신만수 (2001).한국,인도네시아,중국 종업원 조직몰입 특성에서 개인적 가치성향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경영학 연구,30(3),877-904.

2.

김의철,박영신,권용은 (2005),한국 세대별 어머니 집단의 가족관련 가치의식 비교 자녀가치와 양육태도 및 부모부양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11(1).109-142.

3.

김익수 (2007).한국인(韓國人)의 가치관과 국가관 ;공자(孔子)효사상(孝思想)의 한국적(韓國的)계승양상(繼承樣相):생존한 부모를 섬기는 도리를 중심으로.한국의 청소년문화,9.85-134.

4.

나은영,민경환 (1998).한국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4(1),75-93.

5.

나은영,차재호 (1999).1970년대와 1990년대 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 증감.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3(2),29-52.

6.

박은아,우석봉 (2007). 영 실버와 실버들의 의식주와 가치관.광고정보,8,76-79.

7.

변지은,이수정,윤소연,김근영,손승영,오경자 (1997). 개인의 윤리적 가치관과 조직 중심적 경향이 관료부패에 대한 용인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3(1),107-122.

8.

윤상우,김상돈 (2010).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사회과학연구,36(1). 91-117.

9.

이삼식 (2006).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보건사회연구,26(2),95-140.

10.

이삼식,최효진,박성재 (2009).다문화가족의 증가가 인구의 양적 질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저출산 고령사회 연구센터.

11.

이철우 (1999).최근 3년간 세대별 가치관의 변화 Ⅱ: 10대의 급격한 가치관 변화,20,30대의 무력감 주목해야.광고정보,9,127-134.

12.

이훈구 (1987).한국대학생의 가치관과 정치.사회심리학연구,3(2),25-43.

13.

인태정 (2009),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국제지역연구,13(2),339-369.

14.

임희섭 (1994).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서울:나남출판.

15.

장재천 (2007).한국인(韓國人)의 가치관과 국가관 ;충효례(忠孝禮)윤리의 인간교육적 가치,한국의 청소년문화,9,157-189.

16.

정명숙,김혜리 (2005).삶에 대한 가치관과 청소년의 일상행동에 대한 지각에서 세대 간 차이점과 유사점.한국심리학회지:발달,18(1),115-135.

17.

정옥분,정순화,김경은,박연정 (2007).가족가치관과 부모역할 인식에 판한 연구.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215-249.

18.

정진경 (2002).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탈북자 자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163-177.

19.

조소연,오윤자 (2001)부모의 가족 가치관 및 관련변수가 미혼성인 자녀의 가족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39(12),271-284.

20.

조준하 (2007).한국인(韓國人)의 가치관과 국가관 ;전통문화는 유교(儒敎)의 효문화(孝文化)이다,한국의 청소년문화,9,135-156,

21.

정철희 (1997).문화변동과 사회민주화:탈물질주의 가치와 공중-주도 정치.한국사회학,31,61-83.

22.

차재호 (1985).70년대 말에서의 가치,태도 및 신념으로 본 한국인의 세대차.사회심리학연구,2(2),129-168

23.

차재호,나은영 역 (1995).세계의 문화와 조직:문화간 협력과 세계 속에서의 생존.서울:학지사.

24.

최인영,최혜경 (2009).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한국가족관계학회지,14(1), 81-109.

25.

한덕웅,이경성 (2003),한국인의 인생관으로 본 가치관 변화:30년간 비교.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17(1).49-67.

26.

홍기원,전방지,차경호 (2001).남녀의 평등의식,고정관념적 성차의식,그리고 심리적 안녕감.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15(2),173-188.

27.

Dukes, W. F., & Dempsey, P. (1966). Judging complex value stimuli: An examination and revision of Morris paths of life.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26,871-882.

28.

Epstein, T. S. (2002). My sorevillagesre visited. In R. V. Kemper and A. P. Royce (eds.), Chronicling cultures: Long-term field research in anthropology(pp.59-80).Walnut Creek, CA: AltaMira.

29.

Esses, V. M., Dovidio, J. F. , Jackson, L. M., & Armstrong, T. L. (2001), The immigration dilemma: The role of perceived group competition, ethnic prejudice,and national identity, Journal of Social Issues,57(3).389-412.

30.

Fussell, W. (1996). The value of local knowledge and the importance of shifting beliefs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31(1),44-53.

31.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CA:Sage.

32.

Hofstede, G. (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 Hills.

33.

Inglehart, R. (1997).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Inglehart, R., Welzel, C. (2005).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and democracy : The human development sequ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Lewicki, R., Barry, B., Saunders, B. & Minton, J. (2008). 협상의 즐거움 [Essentials of Negotiation (4th ed)].(김성형 역).서울:스마트비즈니스.(원전은 2006에 출판).

36.

Makita, T., & Ida, M. (2001). Highlights of value change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13(4),426-432.

37.

Morris, C., & Jones, L. (1955). Value scales and dimensions. Journal of Abnormal Social Psychology,51,523-535.

38.

Na, E. Y., & Duckitt, J. (2003). Value consensus and diversity between generations and genders. Social Indicators Research,62-63,411-435.

39.

Newcomb, T. M., Turner. R. H. & Converse. P. E. (1970). Social Psychology,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40.

Noelle-Neumann, E. (1998). A shift from the right to the left as an indicator of value change: A battle for the climate of opin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10(4),317-334.

41.

Ritsher, J. E. B., Warner, V., Johnson, J., Dohrenwend, B.(2001).Inter-gener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class and depression: A test of social causation and social selection model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178,s84-s90.

42.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Y: Free Press.

43.

Tranter, B., & Western, M. (2010). Overstating value change: Question ordering in the post material values index.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6(5),571-58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