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전국적인 설문조사(n = 1014)를 통해 시민들이 갖고 있는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 정부에 대한 신뢰,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우리사회 공공갈등에 대한 평가와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민들의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공공갈등이 민주주의 발전에 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고, 앞으로 공공갈등이 더 줄어들고 더 잘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와 공공갈등의 해결전망의 인식에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성별, 연령,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뒤 각 신뢰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부 신뢰와 시민단체 신뢰가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와 정부 신뢰가 공공갈등의 증가전망과 해결전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rust in generalized others, trust in government, and trust in civic organizations affect the perception of public conflicts through a nation-wide survey(n = 1014).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rust in generalized others and government are more likely to value the role that public conflicts play in developing democracy, to expect the decrease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and to expect the rational and peacefu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while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rust in civic organizations recognize that public conflicts have helped to develop democracy and will be resolved more rationally in the future. Also, when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e.g., gender, age, education), trust in government and civic organizations predicted the perceived contribution of public conflicts to democracy, and trust in generalized others and government predicted the expectation of decrease of public conflicts and the expectation of rational and peacefu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강영진 (2000). 갈등분쟁 해결 매뉴얼. 성공회대.
가상준, 안순철, 임재형, 김학린 (2009).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 및 특징: 1990-2007. 한국정치학회보, 4(2),51-87.
구자숙 (2005). 조직내 신뢰: 개념화와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69-83.
김영수 (2004). 시민단체의 갈등중재역할. 한국학술정보.
김인영 (2008). 한국사회와 신뢰: 후쿠야마와 퍼트남논의의 재검토. 세계지역연구논총, 26(1), 5-29.
김유환 (2008).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제도정비방향. 홍준형 (편), 공공갈등의 관리, 과제와 해법 (pp.79-115). 법문사.
김태준 (2004). 교육현장에서 세대간 갈등과 해소 구조의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 57-80.
김학린, 강명헌 (2009a). 공공분쟁해결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영향: 시민단체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7, 67-89.
김학린, 강명헌 (2009b). 공공분쟁 해결전략의 결정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인과구조에 대한 탐색.경영사학, 24, 213-237.
김현구, 이승종, 최도림 (2009). 정부신뢰의 지표체계개발 및 적용: 외부신뢰와 내부신뢰의 비교분석.행정논총, 47(3), 1-24.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편(2005).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상). 논형.
박상필 (2000). 이익집단 갈등과 사회자본: 경실련의한약분쟁 조정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34(2),121-138.
박상필 (2001). 직능단체와 시민단체간의 갈등: 사법개혁과 의약분업을 중심으로. 시민정치학회 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박영신, 김의철 (2005).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1-55.
양건모 (2007). 정부신뢰 개념의 이론적 논의 및 타당성 검증.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양계민,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97-115.
이공희, 신은종 (2010). 노동분쟁에서 조정의 성공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협상전략, 갈등 수준 및 조정인의 신뢰를 중심으로. 산업관계연구, 20(2),125-152.
이재열 (1998). 민주주의, 사회적 신뢰, 사회적 자본. 계간 사상, 여름호, 65-93.
임성만, 김명언 (2000). 조직에서의 신뢰: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3(2), 1-19.
임재형 (2007).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정치정보연구, 10(2), 219-235.
장수찬 (2002). 한국사회에 나타난 악순환의 사이클:결사체 참여, 사회자본, 그리고 정부신뢰. 한국정치학회보, 36, 87-112.
장용석, 정장훈, 조문석 (2009). 한국의 사회적 자본과갈등: 사회적 자본의 다면적 속성에 대한 재조명.조사연구, 10(2), 45-69.
전형준 (2010). 미디어 이용과 공공갈등 인식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언론학보, 54(3), 167-184.
정수복 (1996). 참여민주주의를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과 정책과제. 박영률출판사.
조기숙, 박혜윤 (2004). 신뢰의 측정: 실험과 설문조사의 차이. 한국정치학회보, 38(2), 95-116.
주성수 (2006). 한국 시민사회의 ‘권익주창적’ 특성:CIVICUS 시민사회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0(5), 233-250.
최대정, 박동건 (2002). 가상화된 조직의 환경특성, 신뢰 및 협력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 조직, 15(2), 123-149.
최상진, 김기범, 강오순, 김지영 (2005). 한국문화에서대인관계 신뢰-불신의 기반과 심리적 기능에 대한문화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20.
최상진, 김의철, 김기범 (2003). 한국사회에서의 대인관계 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으로서의 마음에 대한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9(2), 1-17.
하혜영 (2007). 공공부문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요인연구.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Allen, J. C. (2001). Community conflict resolution: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within aninteractional field. Journal of Socio-Economics,30, 119-120.
Boss, R. W. (1978). Trust and managerial problemsolving revisited. Group & OrganizationsStudies, 3, 331-342.
Brown, L. D. & Ashman, D. (1996). Participation,social capital, and intersectoral problem solving:African and Asian cases. World Development,24, 1467-1479.
Campbell, Simpson, Boldry, & Rubin (2010). Trust,variability in relationship evaluations, andrelationship proces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Social Psychology, 99, 14-31.
Carnevale, D. G. (1995). Trustworthy government:Leadership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building trust and high performance. JosseyBass.
Cho, Kisuk & Choi, Byung-il (2000). A cross-societystudy of trust and reciprocity: Korea, Japan, andUS.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3, 31-43.
Coser, L. A. (1964). The functions of social conflict.NY: Free Press.
Deutsch, M. (1973). The resolution of conflict:Constructive and destructive processes. NewHaven: Yale University Press.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Press.
Inglehart, R. (1990). Culture shift in advance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Press.
Kim, U. (2002). Democracy, leadership and politicalculture in Korea: With specific focus on politicalefficacy and trust. Korean Journal of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8, 137-170.
Kramer, R. M., & Carnevale, P. J. (2001). Trust andintergroup negotiation. In R. Brown & S.Gaertner (Ed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psychology: Intergroup processes. MA:Blackwell.
Larson, D. W. (1997). Trust and missed opportunitiesin international relations. Political Psychology,18, 701-734.
Lee, S. J. (2000). Trust, and civic participation inKorea.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3, 59-77.
Levi, M. (1998). A state of trust. In V. Braithwaite& M. Levi (Eds.), Trust and governance. NewYork: Russell Sage.
Lewicki, R. J. (2006). Trust, trust development, andtrust repair. In M. Deutsch, P. T. Coleman, & E.C. Marcus (Eds.), The handbook of conflictresolution: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Jossey Bass.
Lewicki, R. J., McAllister, D. J., & Bies, R. J. (1998).Trust and distrust: New relationships andrealit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438-458.
Loh, J., Smith, J. R., & Restubog, S. L. (2010). Therole of culture, workgroup membership, andorganizational status on cooperation and trust: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Journal ofApplied Social Psychology, 40, 2947-2968.
Lount, R. B. (2010). The impact of positive mood ontrust in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interaction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98, 420-433.
Miller, A. H. (1974). Political issues and trust ingovernment 1964-1970. American PoliticalScience Review, 68(3), 951-972.
Molden, D. C., & Finkel, E. J. (2010). Motivationsfor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the role oftrust and commitment in interpersonalforgivenes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Psychology, 46, 255-268.
Nadler, A., & Liviatan, I. (2006). Intergroupreconciliation: Effects of adversary's expressionsof empathy, responsibility, and recipients' trust.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459-470.
Pruitt, D. G., & Carnevale, P. J. (1993). Negotiationin social conflict. UK: Open University Press.
Putnam, R. D. (1993). Making democracy work: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University Press.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Touchstone.
Rothbart, M., & Hallmark, W. (1988). Ingroupoutgroup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fficacy ofcoercision and conciliation in resolving socialconfli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55, 248-257.
Tam, R., Hewstone, M., Kenworthy, J., & Cairns, E.(2009). Intergroup trust in North Ireland.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5,45-59.
Righetti, F. & Finkenauer,, C. (2011, February 14). Ifyou are able to control yourself, I will trust you:The role of perceived self-control ininterpersonal trust. Journal of Personality andSocial Psychology, Advance online publication.doi: 10.1037/a0021827
Vigoda-Gadot, E., & Talmud, I. (2010).Organizational politics and job outcomes: Themoderating effect of trust and social support.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0,2829-2861.
Voci, A. (2006). The link between identification andin-group favouritism: Effects of threat to socialidentity and trust-related emotions. British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5, 265-284.
Worchel, P. (1979). Trust and distrust. In W. G.Austin & S. Worchel (Eds.), The social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CA:Wadsworth.
Yamagishi, T. (2001). 신뢰의 구조: 동, 서양의 비교.(김의철, 박영신, 이상미 역). 서울: 교육과학사.(원전은 1998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