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한국 청소년의 정서, 가정, 또래 및 학교환경 특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탐색

Effects of Korean Adolescents’ Emotion (Affect), Family, Peer,and School Environment on Juvenile Delinquenc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4, v.28 no.2, pp.119-140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7
박혜숙 (호남대학교)
김양곤 (대구보호관찰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위비행, 중비행, 사이버비행의 유발요인과 관련하여 세 가지 비행이 일반비행의 하위요인으로 본 모형과 세 가지 유형을 독립적으로 보는 두 개의 모형을 설정하고 어느 모형이 더 적절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자료의 중학생 코호트를 사용하였다. 21개의 독립변수가 다수의 0을 가진 세 가지 비행을 예측하는 Zero-inflated poisson 모형을 만들었고, 분석 시 Mplus 6.12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세 유형의 비행을 일반비행(General Delinquency)의 하위요인으로 간주하는 모형이 개별 유형의 비행요인을 독립적이라고 가정하는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Zero inflated poisson 모형은 두 가지 결과를 보여준다. 1) 비행 유무와 관련하여 비행을 전혀 하지 않을 그룹(비위험집단)에 관한 로짓모형 결과이며, 이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낮은 경우는 공격성이 높은 경우, 지위비행 친구가 있는 경우, 그리고 그 효과는 작지만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경우로 나타났다. 2) 비행 빈도가 있는 그룹(위험그룹)을 대상으로 한 possion모형 분석 결과, 비행의 유형에 따라 성별, 정서/성격, 가정환경, 또래환경이 개별 비행유형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였다. 세 유형의 비행 발생 빈도와 관련하여 공통점은 남학생인 경우와 폭력 피해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비행 발생이 더 높았다. 그러나 비행을 전혀 하지 않을 그룹(비위험집단)과 그렇지 않을 그룹(위험집단)을 분류하는 정확도가 높지 않기에 해석에 있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status delinquency, severe delinquency, cyber delinquency, parenting, peer attachment, depression, aggression, 지위비행, 중비행, 사이버비행, 양육태도, 또래 애착, 우울, 공격성

Abstract

With regard to investigating the cause of deviant/delinquent behaviors, this study tested the two models: 1) three types of deviant behaviors, such as status, severe, and cyber delinquency as the constituents of general deviance and 2) the three delinquencies are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using hybri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ata used are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 cohort of Korean Children-Youth Panel Survey(KCYP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plus (V.6.12). Since the three delinquencies with many zeroes were predicted by 21 independent variables, zero-inflated poisson models were constr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with the three delinquencies as constituents of general deviances fit better. The poisson model shows two outputs: First, the logit model outcome shows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structurally zero group (non risk grou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having friends with status deviances, and high family income, but associated positively with parental abuse. Second, with the possion model,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predicting the frequency of committing deviant behavior depends on types of deviances. The effects of emotion/affect, personality, family/parenting styles, school environment (teacher, peer relations) varied. However, male students and those who were recipient of violence were associated positively with the probability of committing the three types of delinquencies. However, caution is needed interpreting the log-odds of belong to a non-risk group since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is not so high. Suggestions were made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ies.

keywords
status delinquency, severe delinquency, cyber delinquency, parenting, peer attachment, depression, aggression, 지위비행, 중비행, 사이버비행, 양육태도, 또래 애착, 우울, 공격성

참고문헌

1.

곽금주, 문은영 (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2), 29-43.

2.

경찰청, 경찰범죄통계 (2013).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197.

3.

기광도 (2012). 청소년 폭력비행에 관한 경험적연구: 가정, 학교, 친구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1(2), 61-86.

4.

김소정 (2010). 인터넷 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1(3), 57-79.

5.

김용석, 박명숙 (2000). 청소년문제행동의 공통요인으로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2, 83-106.

6.

김웅수, 김성진 (2010). 소년보호과정 청소년의비행인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2(2), 1-22.

7.

김윤정 (1999). 우울성향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김정원, 오경자 (1993).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인지적 몰락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2(2), 126-141.

9.

김준호․노성호․고경임․최원기 (1990).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연구-공부압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0.

김지혜 (2013). 청소년의 우율과 공격성이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4, 31-59.

11.

김향초 (2009). 가출청소년의 이해와 상담. 서울: 학지사.

12.

김헌수, 김현실 (2004). 한국 청소년의 공격성 관련변인 및 표출 경로. 신경정신의학회, 43(1), 75-84.

13.

김효선, 이동귀, 배병훈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방어기제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3(6), 2641-2656.

14.

남재봉 (2010). 학교 유형과 청소년 비행. 사회학연구, 27(2), 59-90.

15.

남재봉 (2011). 청소년 비행의 유형별 관련요인. 사회과학연구, 28(2), 1-23.

16.

박종효, 박효정, 정미경 (2007). 학교폭력에 대한교사 스트레스 연구. -발생건수, 심각성 지각과 대처 효능감의 관련성-. 한국교육, 34(2). 한국교육개발원.

17.

박현정 (2001). 비행청소년의 애착유형과 방어기제 특성.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백혜정 (2009). 성별에 따른 청소년들의 가정환경과 비행경험 관계에서의 부모의 지지와자기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2(4), 37-56.

19.

신혜섭 (2005). 가정폭력 요인과 가족구조 요인이 남녀 학생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7(2), 63-88.

20.

심응철 (1999).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24-34.

21.

여성가족부 (2012). 2012 청소년백서(http://www. mogef.go.kr/korea/view/policy/)

22.

옥 정, 오윤희, 정현옥 (2001). 애착유형과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재소중인 비행집단, 위험집단, 정상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2), 259-270.

23.

유안진,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17(1), 173-188.

24.

이득연, 박자양, 이동훈 (2006). 청소년의 역기능적 심리특성과사이버 관련 비행의 관계모형검증-인터넷 중독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7(1), 103-115.

25.

이상균 (2005).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경험에대한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한국아동복지학, 19, 141-170.

26.

이성식, 전신현 (2012). 인터넷사용, 일상긴장, 비행의 관계: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23(3), 293-318.

27.

이재경 (2012). 청소년기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청소년복지연구, 14(2), 51-73.

28.

이주리 (2008). 중고등학생의 부모, 교사 및 친구애착과 비행.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563-574.

29.

이주리 (2011). 부모 및 친구애착과 비행 간 관계: 종단연구. 놀이치료연구, 15(2), 21-30.

30.

이희정, 박혜숙, 전명남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의 징계경험과 지위비행 및 관련변인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종단적 추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3(4), 81-96.

31.

임진섭 (2009). 청소년비행과 공격성의 관계에관한 연구-2SLS을 이용한 분석. 사회복지연구, 40(4), 101-126.

32.

정옥분, 임정하, 정순화, 김경은, 박연정 (2008).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 및 부모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5(4), 67-91.

33.

정익중, 이은주 (2012).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3(2), 217-242.

34.

진혜민, 배성우 (2012).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관한 메타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4(2), 193-221.

35.

최정아 (2010). 초기 청소년기의 비행과 우울의상호 인과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통한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1(4), 143-169.

36.

황성현 (2012). 초,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대한 상호작용론적 연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청소년학연구, 19(10), 23-43.

37.

Acock, A. C. (2009). Categorical and Zero Inflated Growth Models. http://oregonstate.edu/~acock/growth (retrieved 2014. 1. 10).

38.

Atkins, D. C., & Gallop, R, J. (2007). Re-thinking how family researchers model infrequent outcomes: A tutorial on count regression and zero-inflated model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 726-735.

39.

Berndt, T. J. (1992). Friendship and friends’influence in adolesce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 156-159.

40.

Bowlby, J. (200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U.S.A: Basic Books.

41.

Brendgen, M., Vitaro, F., & Bukowski, W. M. (2000). Stability and variability of adolescents’affiliation with delinquent friend: Predictor and consequences. Social Development, 9, 205-225.

42.

Chiles, J. A., Miller, M. L., & Cox, G. B. (1980). Depression in an adolescent delinquent popul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7, 1179-1184.

43.

Conger, R.D., Patterson, G.R., & Ge, X. (1995). It takes two to replicate: A mediational model for the impact of parents' stress on adolescen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 80-97.

44.

Dwyer, K. P., Osher, D., & Hoffman, C. C. (2000). Creating responsive schools: Constextualizing early warning, timely response. Exceptional Children, 66, 347-365.

45.

Ennett, T., Foshee, A., Bauman, E., Hussong, A., Cai, L., Reyes, M., Faris, R., & Hipp, J., & Durant, R. (2008). The social ecology of adolescent alcohol misuse, Child Development, 79(6), 1777-1791.

46.

Fergusson, D. M., & Horwood, L. J. (1998). Exposur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 childhood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young adulthood. Child Abuse and Neglect, 22(5), 339-357.

47.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

Hix-Small, H, Duncan, T.E, Duncan, S.C., & Okut, H. A. (2004). A multivariate associative finite growth mixture modeling approach examining adolescent alcohol and marijuana us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 255-270. Retrieved from http://www.springer. com/psychology/journal/10862.

49.

Institute for digital research and education (http://www.ats.ucla.edu/stat/ retrieved Feb 5th, 2014).

50.

Kazdin, A., Bass, D., Sigel, T., & Thomas, C. (1989).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relationship therapy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referred for Antisoci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4), 522-35.

51.

Kovacs, M, Gatsonis, C., Paulauskas, S. L,& Richards, C. (1989). Depressive disorders in childhood. IV. A longitudinal study of comorbidity with and risk for anxiety disorders. Arch Gen Psychiatry. 46(9), 776-82.

52.

Ma, C. Q., & Hubner, E. S. (2008).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Some relationship matter more to girls than boys. Psychology in the school, 45(2), 177-190.

53.

Malaspina, D., & Rimm-Kaufman, S. (2008). Early predictors of school performance declines at school transition points. Research in Middle Level Education, 31(9), 1-16.

54.

Milton, B. S., Dugdill, L., Porcellato, L. A., & Springett, R. J. (2008). Kids who smoke think that they can be adults as well: Children's smoking and transitions to adulthood. Children & Society, 22(4), 291-302.

55.

Muthen, L. K., & Muthen, B. O. (2010). Mplus, Statistical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Users’Guide. LA, CA: Muthen & Muthen.

56.

Puig-Antich J. (1982). Major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in prepubert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2), 118-128.

57.

Sanders, W. B. (1981). Juvenile Delinquency: Causes, patterns, and reaction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58.

Schwart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59.

Sutherland, E. H. (1939). Principles of Criminology. Chicago: Lippincott, J. B. company.

60.

Tittle, C., & Villemez, W. (1977). Social class and criminality. Social Forces, 56, 474-502.

61.

Wiesner, M., Silbereisen, K., & Weichold, K. (2008). Effects of deviant peer association on adolescent alcohol consumption: A growth mixture modeling analysi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5), 537-551.

62.

Young, K. S., & Rodgers, R. C.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1), 25-2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