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자기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남자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충동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on Self-control, Impulsiveness, Aggression of Juvenile Delinquent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4, v.28 no.2, pp.157-175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9
성상희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홍창희 (부산대학교)
김귀애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능력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성, 공격성 및 비행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Gottfredson과 Hirschi의 자기통제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것이다. 부산 소재의 청소년폭력예방재단에 대안교육으로 의뢰된 30명의 남학생들 중 15명이 치료집단에 할당되어 5일 동안 자기조절능력향상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15명이 비교집단에서 기존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또한, 같은 도시의 P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대안교육에 의뢰될 예정인 15명의 학생이 무처치 통제 집단에 할당되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행청소년들의 심리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자기통제력, 충동성, 공격성, 공격 신념 및 비행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치료집단의 학생들은 6주 후의 추수연구에도 참여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반복측정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비행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충동성과 공격성은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6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self-regulation, juvenile delinquents, self-control, impulsiveness, aggression, 자기조절, 비행청소년, 자기통제력, 충동성, 공격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gulation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and evaluate its eff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juveniles' self-control and to decrease their impulsiveness, aggression, and delinquency behavior. This study was expected to decrease juvenile delinquents' recidivism and help their adaptation to a real life. Students in Adolescent Violence Prevention Center in Pusan Metropolitan 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n=15) and a comparison group(n=15). A non-treatment group(n=15) was also composed juvenile delinquents in P high school at the same city. The treatment group took a self-regulation program, the comparison group was with previous program for the center, and the non- treatment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program. One or two group leaders participated in the treatment group for each session twice a day during 5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elf-control in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mparison and control groups. Second, the level of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other groups. Third, the effects of improved self-control, and decreased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remained after 6 weeks.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self-regulation, juvenile delinquents, self-control, impulsiveness, aggression, 자기조절, 비행청소년, 자기통제력, 충동성, 공격성

참고문헌

1.

기광도 (2001). 사회계층과 자녀양육 및 비행간의 관계분석. 형사정책연구, 12(3), 139-164

2.

김경희, 이희정 (2002).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4), 1-23.

3.

김민동 (2002). 애착유형과 자기개념,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성: 일반청소년 집단과 재소중인 비행청소년 집단과의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형선 (2002).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유형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대검찰청/법무연수원 (2014). 2013 범죄백서. 서울: 대검찰청

6.

대검찰청/법무연수원 (2011). 2010 범죄백서. 서울: 대검찰청

7.

박상규 (2007). 교도소에 수용 중인 비행청소년에 대한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3), 1-12.

8.

박윤아, 박지연 (2008).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정서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공격성 및 정서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ㆍ행동장애연구, 24(1), 23-42.

9.

박정순, 김춘경 (2000). 공격적 아동을 위한 사회적 관심 증진 놀이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놀이치료연구, 4(1), 83-101.

10.

박현수, 정혜원 (2010). 초기 비행청소년과 후기비행청소년의 비행경로 비교: 비행친구, 부모애착, 자기통제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2), 5-34.

11.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12.

양옥승 (2006).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61-187.

13.

원호택 (1991). 청소년 범죄행동 유발요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4.

이수정, 이인희 (2005). 청소년의 비행실태와 원인에 대한 이해. 學生生活硏究, 20, 39-81.

15.

이영순, 이현림, 천성문 (2000).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53-82.

16.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소 및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정선 (2010).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종일, 김경빈, 진혜경. (1998). 청소년 품행장애와 부모양육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9(1), 67-81.

19.

이종화 (2011). 성격유형이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범죄에 미치는 영향: 명리학적 성격이론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창호, 양미진, 이희우, 이은경 (2005).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요인 연구. 서울: 청소년상담원.

21.

이현수 (1992). 충동성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22.

이현정, 신윤오, 안동현, 홍성도, 이원태 (2005). 비행청소년들의 충동성과 뇌기능에 대한 연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44(5), 604-611.

23.

장혜정 (2008).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성역할정체감, 자기 통제 및 공격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유진, 유미숙 (2012).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K-BS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99-417.

25.

주영신, 양승남 (2005). 인지-행동프로그램이 보호관찰청소년의 공격성, 충동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社會科學硏究, 26(1), 153-176.

26.

진미희 (2009). 아동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기통제력, 공격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오영, 손정락 (2011). 자기 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온라인 게임 중독 대학생들의 게임중독, 공격성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23-745.

28.

하창순, 김병석 (2005). 한국판 자기 통제력(Selfcontrol)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상담학연구, 6(4), 1175-1188.

29.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1996). 형사정책연구소식. 37, 25-35

30.

한동주 (2006). 멘토링을 활용한 비행예방집단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허명금 (2012). 가정환경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반청소년과 보호관찰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논문.

32.

황진규 (2010). 보호관찰 청소년 자기조절 프로그램 연구. 보호관찰, 10(2), 287-324.

3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DSM-Ⅳ).

3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ition(DSM-5).

35.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New Jersey: Prentice-Hall, 6-21.

36.

Barratt, E. S. (1983). The biological basis of impulsiveness: The significance of timing and rhythm disorde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 387-391.

37.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38.

Deffenbacher, J. L., Oetting, E. R., Lynch, R. S., & Morris, C. D. (1996). The expression of anger and its consequenc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4, 575-590

39.

Diaz, R. M., Neal, C. J., & Amay-Williams, M. (1990). The social origins of self-regulation. In L.C. Mall. (Ed).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Eysenck, S. B. G., Eysenck, H. J., & Barrett, P. (1985). A revised version of the psychoticism scale Department of Psychology, Institute of Psychiatry, De Crespigny Park, Denmark Hill, London SE58AF, England, UK

41.

Geller, B., & Greydanus, D. E. (1981). Aggression in adolescents: aspects of pathologenesis. Adolescent th Care, 1, 136-243.

42.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43.

Grasmick, H. G., Tittle, C. R., Burski, R. J., & Arneklev, B. K. (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0, 5-29.

44.

Huesmann, L. F. (1988).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14, 13-24.

45.

Huesmann, L. R., & Guerra, N. G. (1997). Children's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408-419.

46.

Kellner, M. H.., Bry, B. H.,, & Colletti, L. A. (2003). Increasing anger log use during school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25(3), 7-21.

47.

Lahey, B., Loeber, R., Hart, E., Frick, P., Applegate, B., Zhang, Q., Green, M., & Russo, F. (1995). Four-year longitudinal study of conduct disorder in boys: Patterns and predictors of persistenc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1), 83.

48.

Lochman, J. E. (1992).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with aggressive boys: Three-year follow-up and preventive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3), 426-432.

49.

Loeber, R., & Hay, D. F. (1997). “Key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and violence from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8, 371-410.

50.

Loeber, & Stouthamer-Loeber. (1987). Prediction. In H. C. Quay(Ed.). Handbook of Juvenile Delinquency. New York: Wiley, 325-382.

51.

Moffit, T. E. (1993). Adolescence-limited and life course 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 474-505.

52.

Monks, C., Ruiz, R., & Val, E. (2002). Unjustified aggression in preschool’, Aggressive Behavior, 28(6), 458-476.

53.

Sampson, Robert, J., & John, H. Laub. (1993). Crime in the Making: Pathways and Turning Points through Lif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4.

Sethi, A., Aber, J. L., Shoda, Y., Rodriguez, M. L., & Mischel, W. (2000). The role of strategic attention deployment in development of self regulation: Predicting preschooler’s delay of gratification from mother-toddler interac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36, 767-777.

55.

Slaby, R. G., & Guerra, N. G. (1998).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s:1. Assess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4, 580-58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