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형 피의자 권리 고지문에 대한 이해도 평가

Evaluation of Miranda Comprehension: A Comparison between Adults and Adolescents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4, v.28 no.4, pp.23-43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4.002
김민지 (숙명여자대학교)
피세영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경찰이 외국인에게 피의자 권리를 효과적으로 고지하기 위해 스마트폰용 미란다 경고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보급하였지만 한글과 영문 고지문의 내용 및 사용 단어 간의 차이, 어려운 법률 용어의 사용으로 그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과 미성년자(중고등학생)를 대상으로 한국형 피의자 권리 고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피의자 권리 이해도 평가 척도와 미란다 퀴즈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들에 비해 미성년자의 피의자 권리 고지에 사용된 단어나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의자 권리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단어나 문장을 적절하게 수정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미성년 피의자 용 권리 고지문을 새롭게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형 피의자 권리 고지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Miranda rights, Miranda warnings, comprehension, adolescent suspect, Miranda Quiz, 피의자 권리 고지, 미란다 경고, 이해도, 미성년 피의자, 미란다 퀴즈

Abstract

Korea National Police recently developed a Miranda Rights mobile application to assist police officers, so that they can provide Miranda warnings in appropriate languages to foreign suspects. However, some differences in trans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Korean and English warnings. Furthermore, Miranda warnings for Juveniles do not exis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Korean Miranda warning comprehension level of adolescents and adults(undergraduate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have lower Miranda comprehension and more likely to misunderstand their rights than adults. Implications for the study will be discussed. The study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foundation for improving comprehension of Miranda warning and the inform procedure in Korea.

keywords
Miranda rights, Miranda warnings, comprehension, adolescent suspect, Miranda Quiz, 피의자 권리 고지, 미란다 경고, 이해도, 미성년 피의자, 미란다 퀴즈

참고문헌

1.

김경한 (2002). 미란다 규칙의 의의와 한국적 수용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

김민지 (2012). 한국형 미란다 경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형사정책연구, 23(3), 53-89.

3.

김재원 (2007). 묵비권과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 미란다 판결의 법사회학적 분석. 성균관 법학, 19(2), 583-597.

4.

신윤철 (2012, 4. 30). 경기지방경찰청, “외국인 범죄용의자 미란다원칙 고지! 이젠 스마트폰을 활용하세요.”, 이뉴스투데이, http:// 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 html?idxno=258819 에서 검색.

5.

신의기, 강은영 (2002). 범죄수사 절차상 피의자의 인권침해 현황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6.

신현중, 탁종연, 김택수, 이영미, 김동범 (2007). 수사, 재판, 형집행 과정에서의 장애인차별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7.

안성수 (2008). 진술거부권과 진술거부권 불고지의 효과. 법학논총, 19, 97-132.

8.

안성훈, 이지은 (2012). 형사사법절차상 사법통역의 개선방안 연구. 연구총서, 5, 1-315.

9.

차준호 (2006). 국내 피의자 권리 고지 실태 및 일반 청소년과 소년범의 피의자 고지 이해도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논문.

10.

통계청 (2012). 2012 청소년 통계.

11.

Cooper, V. G., & Zapf, P. A. (2008). Psychiatric patients’ comprehension of Miranda rights. Law and Human Behavior, 32, 390-405.

12.

Feld, B. C. (2006). Juveniles' competence to exercise Miranda rights: An empirical study of policy and practice. Minnesota Law Review, 91, 26-100.

13.

DeClue. G. (2007). Oral Miranda Warnings: A checklist and a model presentation, Journal of Psychiatry & Law, 35, 421-441.

14.

Holtz L. E., (1987). Miranda In a Juvenile Setting: A Child's Right to Silence. The Journal of Criminal Law & Criminology, 78(3), 534-556.

15.

Kassin, S. M., Drizin, S. A., Grisso, T., Gudjonsson, G. H., Leo, R. A., & Redlich, A. D. (2010). Police-induced confessions: Risk factors and recommendations. Law and Human Behavior, 34, 3-38.

16.

Miranda v. Arizona, 1966.

17.

McLachlan, K., Roesch, R., Douglas, K. S. (2011). Examining the role of interrogative suggestibility in Miranda rights comprehension in adolescents. Law and Human Behavior, 35, 165-177.

18.

Rogers, R. (2008).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Emerging Miranda research and professional roles for psychologist. American Psychologist, 63(8), 776-787.

19.

Rogers, R., Correa, A. A., Hazelwood, L. L., Shuman, D. W., Hoersting, R. C., & Blackwood, H. L. (2009). Spanish translations of Miranda warnings and the totality of the circumstances. Law and Human Behavior, 33, 61-69.

20.

Rogers, R., Harrison, K. S., Shuman, D. W., Sewell, K. W., & Hazelwood, L. L. (2007). An analysis of Miranda warnings and waivers: Comprehension and coverage. Law and Human Behavior, 31, 177-192.

21.

Rogers, R., Harrison, K. S., Hazelwood, L. L., & Sewell, K. W. (2007). Knowing and intelligent: A study of Miranda warnings in mentally disordered defendant. Law and Human Behavior, 31, 401-418.

22.

Rogers, R., Hazelwood, L. L., Harrison, K. S., Sewell, K. W., & Shuman, D. W. (2008). The language of Miranda in American jurisdictions: A replication and further analysis. Law and Human Behavior, 32, 124-136.

23.

Rogers, R., Rogstad, J. E., Gillard, N. D., Drogin, E. Y., Blackwood H. L., & Shuman, D. W. (2010). “EVERYONE KNOWS THEIR MIRANDA RIGHTS”: Implicit Assumptions and Countervailing Evidence.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6(3), 300-318.

24.

Rost, G. C., McGregor, K. K. (2012). Miranda Rights Comprehension in Young Adult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1, 101-108.

25.

Ryba, N., Brodsky, S. L., & Sholsberg, A. (2007). Evaluation of capacity to waive Miranda rights: A survey of practitioners' use of the Grisso instruments. Assessment, 14(3), 300-3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