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비행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Damage on Risk of Delinqu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 Health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5, v.29 no.2, pp.41-56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2.003
이혜지 (경기대학교)
이수정 (경기대학교)
윤희진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간접적으로 가정폭력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경우 범죄 피해자로 인식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가정폭력이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쳐 비행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은 기정사실이지만, 정작 그 영향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고, 그러한 정신건강과 비행위험성의 관련성이 인과적인 영향력을 지니는 것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일반 학생과 소년원 또는 분류심사원에 수감 중인 남, 여 청소년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가정폭력 피해경험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PAI에 나타난 정신건강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일반 학생들과 형사사법기관에 수감되어 있는 청소년들로 나누어 가정폭력 피해경험 여부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일반 학생들보다 형사사법기관에 수감되어 있는 청소년들에게서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PAI 검사 결과 피해경험이 없는 청소년들보다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 불안(ANX), 정신분열병(SCZ), 경계선적 특징(BOR), 공격성(AGG), 자살관념(SUI), 비지지(NON), 치료거부(RXR), 지배성(DOM), 온정성(WRM) 척도에서 비교적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좀 더 세부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비행위험성 간의 매개효과를 보이는 정신건강에 대해 확인해 본 결과 불안, 정신증, 대인예민성, 자살사고, 수동적 대인관계 성향이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폭력은 정신건강 상의 문제에 의해 매개되어 피해 청소년들의 비행, 즉 가해자화가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keywords
가정폭력 피해경험, 정신건강, 비행위험성, Victimization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Mental health, Risk of delinquency, The mediating effect.

Abstract

The domestic violence damage not only spouse who is exposed directly to assault but also their children. However, there is possibility that the juvenile who are exposed domestic violence can not be recognized as the crime victims. Although domestic violence affect harmful effects, only a few researches are identifie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negative effects which are caused by the domestic violence to juvenile's mental health and whether the relation with their mental health and the risk of delinquency has a causality. The subjects were 215 juvenile who were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Some of them were normal students, the others were youth detention centre or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board. We separated group by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checked the difference of mental health which was displayed on PAI and did a comparative analysis to subjects for whether they had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the juvenile who were imprisonment had mor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an the others. Also the PAI showed more ANX, SCZ, BOR, AGG, SUI, NCN, RXR, DCM, WRM levels than the others. In the relation with victimization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and risk of delinquency, the mental health shows mediating effects. In this case, mental health is anxiety(ANX), psychosis(SCZ), interpersonal problem(BOR), suicidal ideation(SUI), pass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WRM).

keywords
가정폭력 피해경험, 정신건강, 비행위험성, Victimization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Mental health, Risk of delinquency, The mediating effect.

참고문헌

1.

권자영 (1991). 신체적 학대가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요보호 아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고제원, 이규호, 이민희 (2010).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별 PAI 프로파일. 법학연구, 39, 157-176.

3.

기광도 (2005).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청소년 범죄간의 관계분석. 피해자학연구, 13(2), 209-240.

4.

김광일 (1985). 구타당하는 아내 50 례의 정신의학적 연구. 정신의학연구, 3, 235-256.

5.

김소명, 현명호 (2004). 가정폭력이 집단 괴롭힘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와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17-32.

6.

김영환, 오상우, 임영란, 김지혜, 홍상황 (2001). PAI 표준화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2), 311-329.

7.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경, 홍상황 (2006). 청소년 성격평가 질문지 실시요강. 서울:학지사.

8.

김재엽, 송아영, 한 샘 (2010). 청소년 자녀의 가정폭력목격경험과 자녀학대피해경험 중복피해에 따른 우울 및 폭력비행행동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7(12), 1-26.

9.

김재엽, 양혜원 (1998). 자녀학대 피해 청소년의정신건강 연구. 연세사회복지연구, 5, 37-62.

10.

김재철, 최지영 (2011). 부모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0(1), 19-32.

11.

김주현 (2006).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2.

김지연 (201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report and peer rating measures in APSD among young adolescents in Korea.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남영옥 (2008).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중재효과. 미래청소년학회, 5(3), 199-218.

14.

박우현, 이수정 (2013). 청소년의 비행심각도에영향을 미치는 범죄피해경험과 보호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7(2), 89-128.

15.

박주희, 신현숙 (2014). 가정폭력이 아동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발달자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291-315.

16.

신선인 (2008).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3, 153-182.

17.

신은주 (1997). 가정폭력에 대한 지역사회의 역할과 대응: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성평등연구, 1, 195-217.

18.

양현아 (2006). 가정폭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젠더 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가족법연구, 20(1), 1-45.

19.

이남희, 이봉건 (2009).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에따른 재범 위험성 차이에 관한 연구-비행촉발요인 조사서와 PAI 검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127-140.

20.

이수정, 김혜선 (2008). 가정폭력 위험성 평가도구 활용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472-273.

21.

이수정, 이혜선, 이수경, 김현정 (2008). 아내학대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2(1), 79-98.

22.

이수정, 조은경 (2005). 경찰단계에서의 소년범위험성 평가를 위한 비행촉발요인 조사도구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27-43.

23.

이윤호, 배정환 (2012). 청소년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적대감의 매개효과 검증. 형사사법연구, 2(1), 79-110.

24.

이옥희, 박중규 (2011). 심리적 폭력경험과 심리적 증상과의 관계에서 인지요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4), 445-460.

25.

이은희, 공수자, 이정숙 (2004).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분노조절과 비행친구 접촉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23-145.

26.

장유정 (2010). 반사회적 성격 평가도구의 타당도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황성현, 이강훈 (2013).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사회학습, 사회유대, 일반긴장이론적 접근. 한국청소년연구, 24(3), 127-145.

28.

Akers, R. L. (1998). Social learning and social structure: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deviance.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Company.

29.

Agnew, R. (1992).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1), 47-87.

30.

Agnew, R., & White, H. R. (1992). An empirical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30(4), 475-500.

31.

Baldry, A. C. (2003). Bullying in schools an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Child abuse &neglect, 27(7), 713-732.

32.

Bandura, A. (1971). Principles of behavior modification. NY: Holt, Rinehart & Winston.

33.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34.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35.

Carrie, A. M., Todd, I. H., Cindy S., Emiko, A. T., Roy C. H., & Russo, M. J. (2010).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adolescen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Family Violence, 25(1), 53-63.

36.

Chakin, L. B. (2002). An offender typology based on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8, 121-142.

37.

Frick, P. J., & Hare, R. D. (2001). 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 technical manual. NY: Multi-Health Systems.

38.

Gleason, W. J. (1993). Mental disorder in battered women: An empirical study. Violence and Victims, 8(1), 53-68.

39.

Hillberman, E. (1980). Overview: The “wife-beater’s wife” reconsidered. American Journal of Psychiartry, 137, 1336-1347.

40.

Jaffe, P. G., Wolfe, D. A., & Wilson, S. K. (1990). Children of battered women. Newbury park, CA: Sage.

41.

Rounsaville, B. J. (1978). Theories in marital violence: Evidence from a study of battered women. Victimology, 3(1-2), 11-31.

42.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43.

Skrondal, A., & Rabe-Hesketh, S. (200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ategorical variables. NY:John Wiley & Sons.

44.

Sternberg, K. J., Lamb, M. E., Greenbaum, C., Cicchetti, D., Dawud, S., Cortes, R. M., Krispin, O., & Lorey, F. (1993).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dep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44-52.

45.

White, L. J. (1996). Review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 A new psychological test for clinical and forensic assessment. Australian Psychologist, 31(1), 38-3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