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호오(好惡) 인물들에 관한 신념의 수와 평가강도

Number of Beliefs and Strength of Evaluations of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Person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6, v.3 no.1, pp.117-131
홍대식(Dae-Shik Hong)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1) 負的 人物보다 正的 人物에 대한 속성들과 공통점들에 관한 신념들이 더 많고, (2) 따라서, 負的 人物보다 正的 人物에 대한 평가치가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각각 52명의 남자와 여자 대학생들에게 正的, 負的, 中性的 人物들에 관한 속성들이나 공통점들을 쓰도록 하였고, 이들 신념에 대한 호오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속성들, 共通性들 및 이 둘의 합계의 면에서, 正的 人物들에 관한 신념수들이 負的 人物들이나 中性的, 人物들에 관한 신념수들보다 더 많았고, 信念들에 부여 된 評價値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형태의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었다. 여자 피험자들은 남자 피험자들보다 호오인물들에 대해 더 많은 신념들을 갖고 있었으나, 이 신념들에 부수된 評價値들에서는 남녀 피험자들 간에 차이가 없었다. 피험자들은 동성보다 이성 인물들에 대해 더 높은 評價를 하였으며, 이성인물들보다 동성인물들에 대해 더 많은 공통점들을 지각하였다. 三元關係에 관한 理論의 수정과 확장에 대한 이러한 결과들의 의미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1) the number of beliefs about attributes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ve other persons are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ose beliefs of the negative other persons and (2) thus, evaluative strength of the positive other persons are greater than that of negative other persons. Fifty-two male and fifty-two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esponded a questionnaire form by writing the name of the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other persons of same and opposite sexes, writing down the attributes and common charateristics or common bonds of the persons, and rating those beliefs in terms of likableness and dislikableness. The numbers of attributes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ve persons are greater than those of the negative and neutral persons. The same pattern of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evaluative strength of those beliefs. These results provide the support for present hypotheses. The female students gave greater number of beliefs than male students, but evaluative strength of those beliefs are not differ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tudents gave higher evaluative ratings to the opposite sex persons than to the same sex persons and perceived more common charateristics of same-sex persons than those of opposite-sex person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the mod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theories of triadic social rel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