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호감도가 성과귀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king or Dialiking on Causal Attribution of Work Performanc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6, v.3 no.1, pp.95-116
이희수(Hoon-K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구(Hee-S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상사가 부하직원에게 느끼는 호감도가 그 부하직원의 직무성과에 대한 귀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연세대학교에서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1, 2학년 남학생 36명을 대상으로 2x2 완전 무선 요인 설계에 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피험자와 실험 협조자가 한 조가 되어 함께 실험에 참가하는데, 그 중 한 명은 상사의 역할을 하고(항상 피험자), 나머지 한 명은 부하직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성격 검사라고 칭한 호감도 조작단계에서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을 갖게 되도록 조작한 후에, 실험 협조자에게 교정 작업을 하게 하고, 피험자에게 그 작업 결과에 대해서 평가와 귀인을 하게 하였다. 이 실험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이 좋아하는 부하직원의 성공에 대해서는 외부귀인보다 내부귀인을 더 많이 시킨다. 둘째, 자신이 좋아하는 부하직원의 실패에 대해서는 내부귀인보다 외부귀인을 더 많이 시킨다. 세째, 자신이 싫어하는 부하직원의 성공에 대해서는 내부귀인보다 외부귀인을 더 많이 시킨다. 네째, 자신이 싫어하는 부하직원의 실패에 대해서는 외부귀인보다 내부귀인을 더 많이 시킨다. 이 실험의 결과는 가설 1,2,4는 강력히 지지되었고, 가설 3은 예상했던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하직원의 성과가 좋을 때보다는 좋지 않을 때 호감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것임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likings or dislikings of subordinates on their causal attributions of subordinates' work performance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y is two by two, liking or disliking and success or fail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6 male students of Yon sei University taking an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and assigned randomly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task of subjects is to evaluate proofreadings of another subject(confederate). The liking or disliking between the confederate and the subject is manipulated by the confederate's agreement or disagreement with the subject's opinions on attitudinal issues which are introduced as a personality test to the subjects. The hypothese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upervisor will attribute the successes of the liked subordinate more internally. Second, in contrast, to the failures of the liked subordinate the supervisor will make more external attributions. Third, the supervisor will attribute the successes of the disliked subordinate more externally. Fourth, to the failures of the disliked subordinate the supervisor will make more internal attributions. Th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1st, 2nd, and 4th hypotheses but not 3rd hypothesi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