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반박증거의 제시시점에 따른 배심원의 판단 변화

Influence of Inconsistent Evidence on Juror's Change of Min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6, v.30 no.3, pp.77-94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3.005
표지민(Jimin Pyo)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박광배(Kwangbai Park)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관성 기반 논증(coherence-based reasoning)" 이론에 의하면 배심원들은 판단 초기에 사건에 대하여 잠정적인 가설 혹은 정신적 표상을 구성하고 이 가설 혹은 표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증거들을 해석하고 판단하여 유무죄 판단에 반영을 하는데, 표상에 반대되는 증거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의사결정에 관한 심리학적, 신경생물학적 이론들을 토대로 반박증거(incoherent evidence)가 판단이 이루어진 후에 제시되면, 아직 판단이 형성되고 있는 과정에 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배심원의 판단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쳐 소위 마음 바꾸기(change-of-mind)가 더 많이 일어날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배심원으로서의 자격이 주어지는 300명의 성인 남녀가 4 가지 실험 조건 - 2(반박증거 제시시점: 초반 v. 후반) x 2(반박증거 종류: 유죄탄핵증거 v. 무죄지지증거) 중 하나에 무작위로 할당되어, 유죄심증이 강한 한 형사사건의 공판내용과 9개의 유무죄 증거들을 읽은 후 피고인에 대하여유무죄 판단을 내리도록 지시를 받았다. 참가자들은 모두 과제의 초반부에 잠정적인 유무죄 판단(1차 판단)을 내렸는데 조건에 따라 강력한 무죄증거(반박증거)를 1차 판단 직후, 혹은 최종 유무죄 판단 직전에 읽었다. 또한 반박증거는 조건에 따라 유죄를 탄핵하는 증거 혹은 무죄를 지지하는 증거로 나뉘어서 제시되었다. 반박증거가 앞에 제시되는 조건의 참가자들이 뒤에 제시되는 조건의 참가자들에 비해서 최종판단에서 유죄에서 무죄로 마음을 더 바꾸는 경향이 있었으며, 반박증거가 유죄증거를 직접적으로 탄핵하는 경우에 참가자들의 마음이 더 많이 바뀌는 경향이 있었다.

keywords
juror decision-making, change of mind, metacognition, 반박증거의 제시시점에 따른 배심원의 판단 변화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test whether the coherence of a juror’s mental model of a case is a function of the decisional phase (pre- or post-decision) in which inconsistent evidence is presented. Based on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theories of decision-making, it was hypothesized that inconsistent information could cause a shift in juror's verdict preference more often when the information is presented after the decision is almost shaped than when it is presented while the decision is still shaping. With an actual criminal case in which the evidence was generally skewed toward the guilty verdict, three hundred collage students established an initial verdict preference and rated the likelihood of guilt of the defendant after reading a description of the facts and the first two pieces of strongly incriminating evidence. Participants then read the rest of the evidence, and decided on a final verdict and re-rated the likelihood of guilt. One of the two types of inconsistent evidence, one weakening the prosecution's case and the other supporting the defense's case, was presented either soon after the initial verdict preference was made or just before the final verdict was made. The initial guilty preference shifted in the final verdict more often, and the rated likelihood of guilt decreased more with the late presentation than with the early presentation of the inconsistent evidence. Implications for juror's decision-making in court are discussed.

keywords
juror decision-making, change of mind, metacogni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16-04-25
수정일Revised Date
2016-08-2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6-08-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