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에서는 범죄 유형별로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이 참가자들의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23명(여성 179명, 남성 144명)을 연령에 따라 네 집단(20대, 30대, 40대, 50대)으로 나눈 후, 강간과 폭행 사건을 읽고 각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비난 및 책임에 대한 판단을 하게 하였다. 또한 양가적 성차별의식과 대인 폭력 허용도를 함께 측정하여 성별과 연령대가 범죄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범죄 유형에 따라서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간 사건에서는 참가자들의 연령대에 따라 피해자 비난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높은 연령대의 참가자들이 낮은 연령대의 참가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자 비난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가 강간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은 적대적 성차별의식에 의해 매개되었다. 반면 폭행 사건에서는 남성 참가자들이 여성 참가자들보다 가해자 비난을 덜 하였으며 이는 대인 폭력 허용도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피해자 비난 등 범죄에 대한 인식에서 성범죄와 비 성범죄를 비교한 최초의 연구이며, 판단자들의 성별뿐만 아니라 연령대에 따른 인식 차이를 함께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blaming the victim and perpetrator by participants’ sex and age in different types of crime. A total of 323 participants(179 female, 144 mal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age(20~29, 30~39, 40~49, 50~59) read a case of rape and assault and rated on victim and perpetrator blaming and perpetrator sentencing.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ambivalent sexism scale and accepta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scale in order to examine how their ambivalent sexism and accepta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affected evaluations of victim and perpetra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blaming victim and perpetrator between rape and assault cases. In a rape case, the age of participants had an effect on victim-blaming, such that the older the participants, the more they blamed the victim. This effect was mediated by hostile sexism. In an assault case, male participants blamed the perpetrator less than female participants did, which was mediated by accepta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in South Korea that compared judgment toward victim and perpetrator between sexual violence and non-sexual violence, considering participants’ age as well as their sex.
권혜림 (2019).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671-681. doi:10.5392/JKCA.2019.19.01. 671
김예정,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1): 가해자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0), 27-42.
김은지, 박지선 (2011).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한국심리학회지:법, 2(2), 171-183.
김재엽 (1998). 가정폭력의 태도와 행동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 87-114.
김재은, 김지현 (2016).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강간통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1), 187-205.
김혜선, 박지선 (2018). 동물학대의 재범방지 및처벌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성별 및 폭력허용도를 중심으로. 교정연구, 28(3), 51-82.
문지혜, 정혜정 (2015).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장기 폭력 경험과 폭력허용도 및 데이팅 폭력의 관계. 가족과 가족치료, 23(4), 627-653.
박명숙, 한인영, 유서구 (2008). 성폭력에 대한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6(2), 123-146.
박명진, 양난미, 이명신 (2014). 대학생 성폭력이차피해 민감성 척도 타당화 연구. 여성연구, 87, 99-126.
변화순, 원영애, 정숙경 (2000). 성의식과 여성에대한 폭력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58(1), 48-76.
서윤정, 박지선 (2013).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범죄 사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7(1), 33-60.
안상수, 백영주, 김인순, 김혜숙, 김진실 (2007). 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양동옥, 국혜윤, 백현경, 윤가현 (2012). 참가자의성별, 피해 여성의 옷차림 종류와 음주량수준에 따른 성폭력 책임 귀인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23-345.
연성진, 김왕배, 원영신, 이경용, 홍영오 (2008). 한국사회 폭력문화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오재림 (2006). 교육부문에서 성평등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과 과제. 아시아여성연구, 45(1), 235-265.
오주령, 박지선 (2019).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법, 10(1), 47-65.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윤진, 양승연, 박병금 (2012). 가정폭력경험,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 열등감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9(6). 79-107.
이선경, 허용회, 박선웅 (2015). 성별과 나이에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1), 65-81.
이수연, 김인순, 김현정, 김민정 (2017). 양성평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전망을 위한 세대별 가치관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은숙, 강희순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경험. 동서간호학연구지, 20(1). 48-56. doi: 10.14370/jewnr.2014.20.1.48
이정원, 김혜숙 (2012). 강간사건 판단에 주변 단서들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6(1), 47-73.
이정원, 안상수, 김혜숙 (2009).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관련 정책및 강간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1), 208-209.
이정인, 김창대 (2015). 관점채택을 통한 공감이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또래폭력 허용도에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6(5), 253-266.
임인혜, 윤민지, 유성경, 김은석, 손은영, 윤은주 (2018). 한국판 가부장 신념 척도 (PBS-K)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9(4), 125-143.
장희숙, 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실태와 위험요인들. 한국가족복지학, 8, 179-204.
정순둘, 배은경, 최혜지 (2012). 세대별 부양의식및 성역할인식 유형. 한국가족복지학, 17(2), 5-23.
조무용, 김정인 (2016). 성평등의식과 성차별주의가 스토킹통념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109-134.
진경선, 김수연, 정유경, 송현주, 송 민 (2017).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89-313.
최유진, 이택면, 황정임, 마경희, 주재선, 김은지, 문희영, 이현재 (2016). 2016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분석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최인섭, 이순래, 노성호, 박순진, 박형민. (2005). 한국인의 갈등해소방식: 폭력을 중심으로.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최인숙, 김정인 (2015). 성폭력 통념수용, 대인폭력수용 및 성역할-관련 태도가 공격적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277-300. doi:10.19158/kjwp.2015.09.20. 3.277
허원무 (2013).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한국비즈니스리뷰, 6(3), 43-59.
홍영은, 박지선 (2018).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3), 1-18.
홍주현 (2017).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계(hierarchy)에 따른 매체가시성(media visibility)의 양과질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520-534. doi:10.5392/JKCA.2017.17.08. 520
Abrams, D., Viki, G. T., Masser, B., & Bohner, G. (2003).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111-125. doi:10.1037/0022-3514.84.1.111
Adams-Price, C. E., Dalton III, W. T., & Sumrall, R. (2004). Victim blaming in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Variations on the severity effec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1(4), 289-295. doi:10.1023/B:JADE.0000044532.83720. 74
Anderson, C. A., Benjamin Jr, A. J., Wood, P. K., & Bonacci, A. M. (2006).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Velicer attitudes toward violence scale: Evidence for a four‐factor model. Aggressive Behavior.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on Aggression, 32(2), 122-136. doi:10.1002/ab.2011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ell, S. T., Kuriloff, P. J., & Lottes, I. (1994). Understanding attributions of blame in stranger rape and date rape situations: An examination of gender, race, identification, and students’social perceptions of rape victim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19), 1719-1734. doi:10.1111/j.1559-1816.1994.tb01571.x
Bieneck, S., & Krahé, B. (2011). Blaming the victim and exonerating the perpetrator in cases of rape and robbery: Is there a double standard?.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6(9), 1785-1797. doi: 10.1177/0886260510372945
Bradbury, T. N., & Fincham, F. D. (1990). Attributions in marriage: Review and critique. Psychological Bulletin, 107(1), 3-33.
Brems, C., & Wagner, P. (1994). Blame of victim and perpetrator in rape versus theft.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4(3), 363-374. doi:10.1080/00224545.1994.9711741
Cameron, C. A., & Stritzke, W. G. (2003). Alcohol and Acquaintance Rape in Australia: Testing the Presupposition Model of Attributions About Responsibility and Blam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5), 983-1008. doi:10.1111/j.1559-1816.2003.tb01935.x
Davies, M., Gilston, J., & Rogers, P. (2012).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rape myth acceptance, female rape myth acceptance, victim blame, homophobia, gender roles, and ambivalent sexism.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7(14), 2807-2823. doi:10.1177/0886260512438281
Felson, R. B., & Palmore, C. (2018). Biases in blaming victims of rape and other crime. Psychology of Violence, 8(3), 390-399. doi:10.1037/vio0000168
Field, A. (2013).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4th ed.). London: Sage.
Finch, E., & Munro, V. E. (2007). The demon drink and the demonized woman: Socio-sexual stereotypes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rape trials involving intoxicants. Social & Legal Studies, 16(4), 591-614. doi:10.1177/0964663907082737
Funk, J. B., Elliott, R., Urman, M. L., Flores, G. T., & Mock, R. M. (1999). The attitudes towards violence scale: A measure for adolesc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4(11), 1123-1136. doi:10.1177/0886260990140 11001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3), 491-512. doi:10.1037/0022-3514.70.3.491
Glick, P., & Fiske, S. T. (2001). An ambivalent alliance: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American Psychologist, 56(2), 109-118. doi:10.1037/0003-066X.56.2.109
Grubb, A., & Harrower, J. (2008). Attribution of blame in cases of rape: An analysis of participant gender, type of rape and perceived similarity to the victim.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3(5), 396-405. doi:10.1016/j.avb.2008. 06.006
Grubb, A., & Turner, E. (2012). Attribution of blame in rape cases: A review of the impact of rape myth acceptance, gender role conformity and substance use on victim blaming.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7(5), 443-452. doi:10.1016/j.avb.2012.06.002
Hayes, A. F. (2009). Beyond Baron and Kenny: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in the new millennium. Communication Monographs. 76(4), 408-420.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White paper]. Retrieved from http://www.afhayes.com/public/process2012.pdf
Hayes, A. F. (2013).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doi.org/10.1111/jedm.12050
Hockett, J. M., Smith, S. J., Klausing, C. D., & Saucier, D. A. (2016). Rape myth consistency and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ing rape victims: A meta-analysis. Violence Against Women, 22(2), 139-167. doi:10.1177/1077801215607359
Lerner, M. J. (1980). The belief in a just world. The Belief in a just World (pp. 9-30). Boston:Springer. doi:10.1007/978-1-4899-0448-5
Maurer, T. W., & Robinson, D. W. (2008). Effects of attire, alcohol, and gender on perceptions of date rape. Sex Roles, 58(5-6), 423-434. doi:10.1007/s11199-007-9343-9
O’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546-568. doi:10.1177/088626097012004005
Schult, D. G., & Schneider, L. J. (1991). The role of sexual provocativeness, rape history, and observer gender in perceptions of blame in sexual assaul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6(1), 94-101. doi:10.1177/088626091006001007
Simonson, K., & Subich, L. M. (1999). Rape perceptions as a function of gender-role traditionality and victim-perpetrator association. Sex Roles, 40(7-8), 617-634. doi:10.1023/A:1018844231555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Stormo, K. J., Lang, A. R., & Stritzke, W. G. (1997). Attributions About Acquaintance Rape:The Role of Alcohol and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7(4), 279-305.
Tontodonato, P., & Crew, B. K. (1992). Dating violence, social learning theory, and gender: A multivariate analysis. Violence and Victims, 7(1), 3-14.
Viki, G. T., & Abrams, D. (2002). But she was unfaithful: Benevolent sexism and reactions to rape victims who violate traditional gender role expectations. Sex Roles, 47, 289-293. doi:10.1023/A:1021342912248
Wiener, R. L., Hurt, L., Russell, B., Mannen, K., & Gasper, C. (1997). Perceptions of sexual harassment: The effects of gender, legal standard, and ambivalent sexism. Law and Human Behavior, 21(1), 71-93. doi:10.1023/A:1024818110678
Yamawaki, N. (2007). Rape perception and the function of ambivalent sexism and gender-role traditional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2(4), 406-423. doi:10.1177/0886260506297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