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서 발달 과정에서 정서의 차원 도출을 위한 대표 정서 단어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Tool of Representative Emotional Words to Derive the Emotional Dimensions in the Process of Emotional Developmen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0, v.34 no.3, pp.29-58
https://doi.org/10.21193/kjspp.2020.34.3.002
장혜진 (인제대학교)
김영근 (인제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대표성을 가진 정서 단어의 분류를 통해 정서 차원의 분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정서 발달이 어떠한가를 규명한 경험 연구이다. 정서 단어에 내재된 차원을 탐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대표 정서 단어의 선정이므로, 그 기초 자료로서 먼저 정서 단어 목록에 포함시킬 적합한 단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서 단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정서 차원을 분석하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하고 적절한 단어를 수집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정서 단어들을 토대로 정서 단어 총집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로 다른 방식을 통해 정서 단어 목록을 선정한 다섯 편의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387개의 정서 단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8차례에 걸친 유사성에 따른 정서 단어 분류 과제와 그 결과에 따른 단어 분류를 반복 시행하여 387개의 단어를 216개, 61개, 52개, 48개로 축약하였다. 또한, 생소한 정서 단어로 인한 분류 결과의 오류를 배제하기 위해 다양한 연령 집단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단어를 선별하고자 1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축약된 48개의 정서 단어를 재선별 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36개의 대표 정서 단어가 선정되었다.

keywords
emotion, emotional words, emotional dimensions, emotion differentiation, emotional development, 정서, 정서 단어, 정서 차원, 정서 분화, 정서 발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study the emo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by classifying representative emotion words and exploring th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of emotional dimensions. In this research, 387 emotion words were gathered based on 5 preceding studies that selected a list of emotion words with different methods. In addition, 400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o repeatedly perform 8 classification tasks of emotion words based on similarities as well as classification of the resultant words, and 387 words were contracted into 216, 61, 52 and 48 words. In order to exclude errors caused by unfamiliar emotion words, the contracted 48 emotion words were resorted with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that common words for groups of various ages could be selected. As a result, 36 representative emotion words were finally chosen.

keywords
emotion, emotional words, emotional dimensions, emotion differentiation, emotional development, 정서, 정서 단어, 정서 차원, 정서 분화, 정서 발달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2.

김태용, 안도현 (2011).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들의 극성-각성 좌표화를 통한 해독격차 분석 및 수렴화 프로세스 제안. 한국언론학보, 55(6), 436-465.

3.

김혜리, 손정우, 엄진섭, 정명숙, 박민, 박영옥, 천영운, 문은옥 (2012). 얼굴표정 자극에 대한 아동의 안면모방과 정서공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4(4), 433-452.

4.

문혜신, 김진관, 오경자 (1998). 감성개념 차원구조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1998, 59-64.

5.

민경환, 구자숙 (2002). 한국어 정서단어의 구조분석과 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정서의 내용분석. 성곡논총, 33(3), 287-351.

6.

박인조, 민경환 (2005).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09-129.

7.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71-581.

9.

박수진, 정찬섭 (1998). 우리말 감성 어휘의 범주-차원 모형: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하여. 한국감성과학회, 2(1), 77-94.

10.

서상규 (1998). 현대 한국어의 어휘 빈도. 서울: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1.

손선주, 박미숙, 박지은, 손진훈 (2012).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추출과 범주화. 감성과학, 15(1), 105-120.

12.

신영숙 (2008). 정서의 이차원 모델에서 유아들의 정서발달연구. 아동교육, 17(3), 5-13.

13.

안신호 (1988). 정서발달에 관한 고찰. 서애 송대현교수 화갑기념논문집, 1988, 65-78.

14.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1993). 정서의 구조: 한국어 정서단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7(1), 107-123.

15.

이만영, 이흥철 (1990). 형용사 서술 의미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 118-138.

16.

이미지 (2014). 말뭉치 분석을 활용한 감정표현 어휘 교육 연구. 동남어문논집, 38, 383-402.

17.

이수미, 조경자, 김혜리 (2012).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읽기 능력의 발달적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55-72.

18.

이수상 (2016). 한글 감정단어의 의미적 관계와 범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2), 51-70.

19.

이수정, 유재호 (2000). 정서의 잠재적 차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139-154.

20.

이혜진 (2017).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이해와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9), 457-483.

21.

정비영 (2016). 유아의 정서단어 획득과 정서이해 발달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상녀, 김경숙 (2010). 3세 유아의 기본정서 인식 및 표현에 대한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499-537.

23.

최해연 (2012). 한국의 대학생과 직장인이 경험하는 긍정정서의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4), 73-88.

24.

한덕웅 (1996). 대인관계에서 4단 7정 정서의 발생 경험.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6(1), 389-409.

25.

한덕웅 (2000). 대인관계에서 4단 7정 정서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45- 166.

26.

한덕웅, 강혜자 (2000). 한국어 정서 용어들의 적절성과 경험 빈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2), 63-99.

27.

한의환, 차형태 (2017). 러셀 모델의 확장을 통한 감정차원 모델링 방법 연구. 감성과학. 20(1), 75-82.

28.

허명회, 양경숙 (2001). SPSS 다변량자료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9.

홍영지, 남예은, 이윤형 (2016). 정서가, 각성가 및 구체성 평정을 통한 한국어 정서단어 목록 개발. 인지과학, 27(3), 377-406.

30.

황매향 (2008). 한국인의 정서적 발달과업 탐색: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5(3), 163-189.

31.

Allport, G. W., & Odbert, H. S. (1936). Trait-names: A psycho-lexical study. Psychological Monographs, 47, 1-171. doi:10.1037/h0093360

32.

Averill, J. R. (1975). A semantic atlas of emotional concepts. JSAS Catalogue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5, 330.

33.

Cacioppo, J. T., Berntson, G. G., Larsen, J. T., Poehlmann, K. M., & Ito, T. A. (2000). The psychophysiology of emotion. Handbook of emotions, 2, 173-191.

34.

Bush, L. E. (1972). Empirical selection of adjectives denoting feelings. JSAS Catalogue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2, 67.

35.

Denham, S. A., & Couchoud, E. A. (1990). Young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Study Journal, 20, 171-192.

36.

Ekman, P., & Oster, H. (1979).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0, 527-554.doi:10.1146/annurev.ps.30.020179.002523

37.

Gable, S. L., & Haidt, J. (2005). What (and why) is positive psycholog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 103-110.https://doi.org/10.1037/1089-2680.9.2.103

38.

Green, R. S., & Cliff, N. (1975). Multidimensional comparisons of structures of vocally and facially expressed emotions.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17, 429-438.

39.

Heider, K. G. (1991). Landscapes of emotion: Mapping three cultures of emotion in Indonesia.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James, W. (195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 3. New York, NY: Dover Publications.

41.

Johnson-Laird, P. N., & Oatley, K. (1989). The language of emotions: An analysis of a semantic field. Cognition and emotion, 3, 81-123. doi:10.1080/02699938908408075

42.

Kagan, J. (2007). What is emotion?: History, measures, and meaning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43.

Kalat, J., & Shiota, M. (2005). Emotion. Boston, MA: Thomson Learning (Thomson Wadsworth).

44.

Keltner, D., Sauter, D., Tracy, J., & Cowen, A. (2019). Emotional expression: Advances in basic emotion theory.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43, 133-160.

45.

Levenson, R. W. (2011). Basic emotion questions. Emotion review, 3, 379-386.doi:10.1177/1754073911410743

46.

Lewis, M., Alessandri, S. M., & Sullivan, M. W. (1992). Differences in shame and pride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d task difficulty. Child Development, 63, 630-638.doi:10.1111/j.1467-8624.1992.tb01651

47.

Mauss, I. B., & Robinson, M. D. (2009). Measures of emotion: A review. Cognition and Emotion, 23, 209-237. doi:10.1080/02699930802204677

48.

Mroczek, D. K., & Kolarz, C. M. (1998). The ef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happ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333-1349. doi:10.1037/0022-3514.75.5.1333

49.

Paulson, B. L., Truscott, D., & Stuart, J. (1999). Clients' perceptions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317-324. doi:10.1037/0022-0167.46.3.317

50.

Plutchik. R. (1980). A general psychoevolutionary theory of emotion. In R. Plutchik & H. Kellerman (Eds.),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Vol. 1. Theory of emotion (pp. 3-31). New York, NY: Academic Press.

51.

Plutchik, R. (2003). Emotions and life: Perspectives from psychology, biology, and evolu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2.

Ridgeway, D., Waters, E., & Kuczaj, S. A. (1985). Acquisition of emotion-descriptive languag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norms for ages 18 months to 6 years. Developmental Psychology, 21, 901-908.doi:10.1037/0012-1649.21.5.901

53.

Russell, J. A. (1978). Evidence of convergent validity on the dimensions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1152-1168.

54.

Russell, J.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1161-1178. doi:10.1037/h0077714

55.

Schlosberg, H. (1952). The description of facial expressions in terms of two dimens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4, 229-237.doi:10.1037/h0055778

56.

Schlosberg, H. (1954). Three dimensions of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61, 81-88.doi:10.1037/h0054570

57.

Sroufe, L. A. (1996). Emotional development: The organization of emotional life in the early year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Sowell, E. R., Thompson, P. M., Tessner, K. D., & Toga, A. W. (2001). Mapping continued brain growth and gray matter density reduction in dorsal frontal cortex: Inverse relationships during postadolescent brain maturation. Journal of Neuroscience, 21, 8819-8829.doi:10.1523/JNEUROSCI.21-22-08819.2001

59.

Widen, S. C., & Russell, J. A. (2008). Children acquire emotion categories gradually. Cognitive Development, 23, 291-312.doi:10.1016/j.cogdev.2008.01.002

60.

Wundt, W. M. (1907). Über Ausfrageexperimente und über die Methoden zur Psychologie des Denkens. Psychologische Studien 3, 301-36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