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남북통합 행동의도에서 한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의 상호작용: 집합적 죄책감을 매개로 하는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Gui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National Identity, and Reconciliatory Behavior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the Two Koreas: A Test of Moderated Medi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3, v.37 no.1, pp.89-100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1.005
박찬 (성균관대학교)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초록

한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의 상호작용이 남북 관계에서 경험되는 집합적 죄책감을 매개로 통합지향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인구비례할당표집을 통해 대한민국 거주 일반인 1,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설과 일관되게 응답자들의 한민족 정체성이 높고 국가 정체성이 낮을수록 남북 관계에서 집합적 죄책감을 강하게 느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사회 정체성의 상호작용은 집합적 죄책감을 매개로 북한에 대한 이해의도와 핵문제 해결을 위한 경제적 희생의도를 각각 예측했다. 남북통일 및 통합에 관한 심리학 연구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 및 장래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사회 정체성, 한민족 정체성, 국가 정체성, 집합적 죄책감, 남북통합지향 행동, social identity, ethnic identity, national identity, collective guilt, reconciliatory behavior

Abstract

The present study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stipulates an interaction of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in predicting South Koreans’ feelings of collective guilt about the current situations involving the two Koreas, which in turn predicting their intentions to engage in reconciliaroty behaviors. A total of 1,300 South Korean adults participated in a survey via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Results indicated, as expected, that the stronger the ethnic identity, the more likely the participants reported collective guilt, and this relationship was stronger for individuals who are low in national identity compared to those who have strong national identity. We also found support for the predict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predicting the participants’ intention to learn about the positions and perspectives of the outgroup (i.e., North Korea) on the current North-South situations and their willingness to sacrifice the current economic advantages of South Korea as a means to resolve the nuclear crisis on the peninsula.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research on issues related to the two Korea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사회 정체성, 한민족 정체성, 국가 정체성, 집합적 죄책감, 남북통합지향 행동, social identity, ethnic identity, national identity, collective guilt, reconciliatory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