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남성성역할 고정관념과 남성의 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남성성역할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했다. 이 척도는 성인 남성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성역할 관련 스트레스 측정한 것으로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인 Eisler와 Skidmore(1987)의 MGRS 척도와도 일치되는 문항이 많은 것으로 보아 범문화적인 남성성역할 스트레스를 측정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주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서울지역거주 415명의 성인남자(20세~49세)를 대상으로 성역할 검사를 실시하여 4가지 성역할지향집단을 분류하였으며 각 집단간의 남성성역할 스트레스 차이를 밝혔다. 그 결과 응답자가 4가지 성역할지향집단에 골고루 분포되었고, 비문화집단이 스트레스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문화의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서구와는 다른 독특한 점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 남성성역할 척도의 요인분석과, 남성성역할 특성과 불안ㆍ우울증적 경향과의 관련성 및 기타 성역할 사회화요인의 관계등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male sex-role stereotypes and male psychological stress.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a male sex-role stress scale was developed. This scale is consisted off 40 items which evaluate the stress concerning sex-ole in the daily life. For this scale includes several common items which belong to the previous study for male gender role stress(MGRS) by Eisler er and Skidmore(1987), it is possible to apply for universality and cross-cultural aspects of the male sex-role stress. In the second stage, the sex-role orientation off 415 males(age 20-49) were measured, and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sex-role orientation groups. And also the differences in the male sex-role stress between the groups were tested. The results were that the respondents were evenly divided into four different sex-role orientation groups and among them the undifferentiated sex-role orientation group has the hast male sex-role stres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the unique factor in Korean sex-role stereotype, contrasted to Western trends. It is also suggested for further studies that the factor analysis for male sex-role stress scale, the relations between male sex-role stress and anxiety/depression tendencies, and several sex-role socialization factors have to be expl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