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애적 성격과 자기복합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 Complexi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3, v.7 no.1, pp.28-36
김윤주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한성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격 특성과 자기복합성과의 관계를 상관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우선 자기애적 성격에 대해 성격 장애로만 보려는 이론위주의 병리적 견해보다는 일반인에게 자주 나타나는 정상적인 성격특성이라는 관점(Lasch, 1979Millon, 1981 ; Emmons, 1987)에서 바라보았으며, 개인의 인지된 자기모습의 다양성을 분리된 자기(split self)라는 병리적인 개념이 아닌 Linville이 제시한 자기복합성이라는 자기개념에 대한 다양성과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의 긍정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그 두 개념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r=.34, p<.001). 이 사실은 자기애적 성향을 지닌 개인일수록 자신의 사회적 역할이나 대인관계, 성격특성, 행동, 선호성 등에 있어 자기의 모습을 보다 다양하고 유연하게 인지하여 행동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Maddi가 제시한 성격심리학의 충족모델을 통해 본 연구의 일반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 complexity. Specifically, I was interested in how narcissistic person represents one's own numerous self aspects and discriminate them. The basic hypothesi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more narcissistic the man is, the more self complexity he has. For this research, 228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I used two survey methods to validify the hypotheses : one was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NPI) for narcissism, the other Trait Sort Technique for self complex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self complexity was meaningful and positive (r=.34, p<.001), and the hypothesis was validified. That is to say, the man who is more narcissistic would have more self aspects in roles, traits, physical features, behaviors, relationships, and each aspect is more discriminated.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 think the researches on validity of the two survey methods are not only needed, but, in relation to narcissism and self complexity, the consideration to the affect-extemity, self concepts, and artist's personality should be give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