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청소년 비행 연구의 동향과 심리학적 과제

Research Trend and Task for Studies of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3, v.7 no.1, pp.12-27
곽금주(Keum-Joo Kwak)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윤진(Gene Yoo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문은영(Eun-Young Mu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청소년 비행연구들을 개관하여 여러 학계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심리학적 연구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970년부터 1992년 8월까지 25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석사ㆍ박사학위논문들 중에서 비교적 체계적인 경험적 연구 176편을 개관하였다. 전반적인 연구흐름을 보면, 공식 통계에 의존하여 청소년비행을 기술해오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행의 원인이나 관련변인을 밝히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에 대해 연구대상, 비행측정문제, 연구방법, 그러고 비행의 관련요인으로 환경요인과 개인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외 심리학적 연구만을 개관해 본 결과, 크게 발달심리학적 입장에서 부모의 훈육태도, 자아개념, 자아중심성, 사회정보처리과정, 도덕성발달, 인지적 사고과정에 관한 연구와, 비행집단을 판별하거나 이들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치료하고자 하는 임상, 상담심리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진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아직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많은 추후연구가 요구된다. 즉 타당하고 신뢰성 높은 비행척도를 개발하여,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에 걸친 비행행동의 유형과 정도를 측정하고, 또 각 연령에 따른 비행원인을 탐색하기 위한 장기종단적 연구를 실시하며, 비행청소년의 교정뿐 아니라, 비행으로 발전하기 이전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학계내 여러 분야에서의 공동작업 뿐만 아니라 타학문 분야와의 학제적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Abstract

This review article covers the 176 studies on juvenile delinquency published between 1970 and 1992 in Korea. The major research trend in 1970s was the general description of delinquent behavior patterns and statistics. However, the causes, measurement and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related variables - bot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ones - of juvenile delinquency were studied since 1980.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studies, child-rearing practice, self-concept, adolescent egocentrism,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ral development were studied throughly. But also, in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ical areas, the prediction and screening tools for the delinquency, treatment, and rehabituation techniques were consistently studied. However, this review has found that there still are limitation and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works. Therefore, not only the basic psychological researches o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s, but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s, programs for prevention, behavior modifica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re the major tasks for the future studies in Korea.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