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종교정향에 따른 종교인의 유형연구 : 천주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ypes of Religious Attitude by Religious Orien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4, v.8 no.2, pp.85-107
백승치(Seung-Chi Baek) (서강대학교)
김동기(Dong-Gi Kim) (강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인들이 지향하는 종교정향을 발견하고, 그 정향에 해당하는 집단의 유형에 명칭을 부여하여 그 유형들 간에 종교적 상황에 대한 귀인이나 신앙태도들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는지를 보고자 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전체 435명 (평신도 220, 수도자 153명, 성직자 62명)이고, 연령은 18세-62세)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첫째, 피험자들에게 종교정향척도를 검사하여 종교정향 문항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하여 각 요인에 명칭을 붙이고 둘째, 피험자 집단들을 군집분석을 하여 유형화한 뒤 각 요인-유형에 명칭을 붙혀 그 유형집단간 변량분석을 하여 차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첫째, 수도자 성직자가 피험자로서 척도에 응답하였기에 요인유형의 변별이 Batson 연구보다 명백해졌다. 둘째, Batson이 주장하는 종교정향(3개의 정향)을 목적적 수단적 추구적으로 구분하는 것보다 본 연구에서는 더 세분화된 종교정향(6개의 유형)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연령과 신앙경력이 종교적 상황에 대한 귀인이나 신앙태도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상호작용을 하였다. 넷째, 연령이 가장 민감하게 상호작용적 차이를 미치는 것은 기도순서에 대한 신앙태도였다. 다섯째, 신앙경력이 가장 민감하게 상호작용적 차이를 미치는 것은 귀인에서 합리화와 마술주의였다. 여섯째, 평신도 내에서 사도직 활동의 정도는 상호작용적 차이가 없었고, 신앙태도가 상호작용적 차의 의미를 나타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religious orientations of those who believe in Catholicism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types in the attribution for religious situation and in the religious attitude.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for the present study, was 453 who consist of 62 Roman Catholics priests, 153 Roman Catholics sisters and 220 Roman Catholics Christians.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proceeded, first, by taking the religious orientation scale testing for all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accordance with Batson's method and giving them new facter analized orientation questionnaires. Next,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regrouped by the types how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and each type from the regrouping was identified by the clustering analysis. Finally,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among the types of new grouping ware investigated by analysis of variance. The high lights of the present study is (1)to have priests and sisters who together take almost 50% of all the participants and it makes the present factor-type classification clearer than the performed in Batson's study, (2)to identify 6 types of religious orientation('Orthodoxy', 'Ethics', 'Flexibility', 'Worship', 'Rationale', 'Wish'), which are more than the Batson's 3 types('end', 'means', 'quest') employed, (3)to find that the birth age and baptism age have different interactional effects in the attribution of the religious situation and also in the religious attitide, (4)to learn that it is the birth age which shows the interactional effect more sensitively than the other in the religious attitude for different orders of pray, while (5)to conform that it is the baptism age which shows the interactional effect more sensitively in the attribution of the religious situation between rationalism and magism, and finally (6)to assure that, to those Catholic Christians, the interactive effect shows clearly by their religious attitudes, not by the extent of their apostolic activiti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