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성공노화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특징

Social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essful aging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6, v.11 no.3, pp.457-475
박군석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한덕웅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이주일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 노인들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을 예측하는데 중요하다고 가정한 사회심리 예측변인들을 사용하여 신체가 건강하고 주관안녕도 높은 성공노화 노인들, 신체가 건강하지 못하고 주관안녕 수준도 낮은 비성공노인들, 그리고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이 모두 중간 수준인 보통노인들을 판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들을 알아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춘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이 되는(평균 72.41세) 노인들 1,826명의 면접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종교신앙 요인을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요인들 가운데 11개 요인들이 성공노인들과 비성공노인들을 99.3% 수준에서 유의하게 판별하였다. 또한 보통노인들과 비성공노인들을 판별한 결과에서도 92.9% 수준에서 동일한 요인들이 판별에 기여했다. 그러나 성공노인들과 보통노인들을 판별한 경우에는 경제상태, 결혼만족, 자녀만족, 사회지원, 자존욕구, 긍정정서 및 부적정서만이 두 집단을 87.8%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판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성공노인들은 비성공노인들에 비하여 경제상태, 결혼만족, 자녀만족, 사회지원, 자존욕구의 충족, 운동행동, 음주행동 및 긍정정서의 경험 수준이 높으며, 과거질병의 경험, 자녀에 대한 기대와 부적정서 경험 수준은 낮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국내외에서 수행된 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하고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도 제안하였다.

keywords
한국노인, 성공노화, 신체건강, 주관안녕, 행복, 사회심리 변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ortant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elderly. We assumed in this paper that two cardinal criteria of the successful aging would be both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ain hypotheses of this study was that the important 12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would contributed to discriminate among the successful aging elderly from both of the average and the unsuccessful aging elderly. We collected the survey data from 1,826 elderly(mean age of 72.41 years old)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 in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11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except the religious attitude contributed to discriminate among the successful aging elderly, average group and the unsuccessful aging elderly. The successful aging elderly were higher level of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offsprings, social support, fulfillment of social and self-esteem need, exercise, drinking alcohol 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but lower level of past illness, expectation of support from the offsprings and negetive emotion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at least 83.6% percentage of the exact classification hit to discriminate among the successful elderly, the average elderly and the unsuccessful aging elderly. The conceptional assumption about successful aging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evi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and abroa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proposed.

keywords
Korean old people, Korean culture, physical health, subjective well-being, successful aging,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6-05-01
수정일Revised Date
2006-08-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6-08-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