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주관적 삶의 질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아 관련, 대인관계 및 가족, 학업, 여가 활동 그리고 환경 등 5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7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59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된 75 문항의 질문지에 답변하게 하여 얻은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준거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활 만족도 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최종 척도는 총 29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여가, 대인관계, 가족, 학업, 환경 등 5요인이 추출되었다. 2)본 척도의 요인별 내적 신뢰도는 .60-.84로 적절하였다. 3)본 척도의 점수와 생활 만족도 척도 점수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척도가 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he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s, 75 preliminary items were constructed in the five categories; self, interpersonal and family, job, leisure & environment. Initial items were distributed to 598 undergraduate studen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ubject Quality of Life Scale was administrated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main results were: 1)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is scale showed that the five factor was meaningful. Each factors labeled leisure, interpersonal, family, job, environment. The number of items of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Scale reduced to 29 items. 2)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of each factors in it showed .60-.84. 3)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Scal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it seemed that they have significantly correl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scale will be helpful to appraise and evaluat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Subjective Quality of Life'.
김남재 (1995). 대인불안의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73-81.
김덕진 (2002).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유형과 활동만족, 활동 제약 및 대학생활 만족간의 관계. 제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김수연, 이은영 (1996). 대학생의 삶에 대한 만족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생활 연구, 32(1), 74-93.
김은정 (1992). 대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연세상담연구, 8, 85-114.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김종현 (2002). 검도수련 참여와 여가만족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노유자 (1988). 서울 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류연지 (1996).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박아청 (1996). 한국청소년 정체감 발달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9(2), 68-78.
서경희 (1995). 경험적 접근에 의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서봉연 (1975).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신도철 (1981). 한국인의 삶의 질 연구-주관적 지표에 의한 시론. 한국 국제 문화 협회, 아시아 총론, 106(8), 76-97.
신도철 (1981). 한국인의 삶의 질 대연구: 주관적 지표에 의한 분석. 정경문화, 5, 26-47.
신윤오, 조수철 (1995). 한국형 가정환경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4(1), 280-290.
안범희 (1985).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양명환 (2000). 여가 스포츠 참여동기, 제약요인 및 만족도에 대한 분석: 윈드서핑. 한국체육교육학회지, 5(1), 469-478.
유현정 (2004). 한국 성인의 삶의 질 척도개발과 집단별 비교연구. 인하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이수연 (1999).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 및 가족관계의 만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이은실, 홍성화 (2002). 대인관계 친밀감 척도 타당성 및 개발 연구. 학생연구(영남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33, 47-57.
이현송 (1997). 한국인의 삶의 질: 객관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1, 269-301.
이훈구 (2004). 사회심리학적 안녕: 사회불안, 신뢰, 그리고 행복, 서울: 범문사.
이훈진과 원호택 (1995).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77-290.
임희섭 (1996). 삶의 질의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전귀연 (199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7-124
정석환 (1989). 카운슬링 가이드, 서울: 기독 지혜사.
정영권 (1997). 생활체육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정옥분 (2005).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정혜윤 (2005). 대학생의 생활스포츠 참여와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1994). 청소년의 삶의 질. 한국 사회과학, 16, 61-94.
조호경 (2001). 대상관계이론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이 자기지각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최영민, 이정호, 이기철, 전성일 (1998). 기독교 신앙이 대기업 사무직 직장인의 스트레스 과정에 미치는 완충효과. 신경정신의학, 37(5), 894-902.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현진원 (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 수준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Aaronson, N. K., Beth, E. M., Bard, N., Bloom, J. R., Fawzy, F. I., Feldstein, M., Fink, D., Holland, J. C., Johnson, J. E., Lowman, J. T., Patterson, W. B., & Ware, J. E. (1991). Quality of Life Research in Oncology-Past Achievements and Future Priorities, Cancer, 67, 839-843.
Andrews, F. M., & Robinson, J. P. (1991).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London: Academic Press.
Andrews, F. M., and S. B. Withey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Bennett, M. K. (1951). International Disparities in Consumption Level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632-649.
Blunden, R. (1988). Quality of life in person with disabilities: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services, in Brown. R.I(eds). Quality of life for handicapped people. Groom Helm, 37-57.
Bradford, R., Rutherford, D. L. & John, A. (2002). Quality of life in young people: ratings and factor structure of the Quality of Life Profile-Adolescent Version. Journal of Adolescence, 25, 261-274.
Bran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Ch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Champbell, A., Converse, P.E., & Rodgers, W.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5), 42-575.
Diener, E., Emmons, R., Larsen, R.,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very wealthy. Social Indicators Research, 16, 263-274.
Dittmann-Kohli, F. (1995). Das personliche Sinnsystem. Ein Vergleich zwischen fruhem und spatem Erwachsenenalter, Hogrefe, Gottingen.
Dubos, R. (1976). The state of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The Western Jorunal of Medicine, 125(1), 8-9.
Eiser, C., Havermans, T. & Eiser, J. R. (1994). What do children mean by "quality of life"? Health Psychology Update, 16, 10-13.
Fabian, E. S. (1991). Using quality of life indicaters in rehabilitation program evalu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34(4), 334-356.
Filce, D., & Perry, J. (1996).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Schalock and Siperstein(eds). Quality of Life, Vol. I, AAMR: DC, 63-72.
Francis, L. J. & Katz, Y. J.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religiosity in an Israeli sample. Journal for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1, 153-162.
Lewis, C. A., & Joseph, S. (1994). Religiosity: psychoticism and obsessionality in Northern Irish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 685-687.
Lewis, C. A., & Maltby, J. (1995). Religiosity and personality among U.S.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 293-295.
Liu, Ben-Chieh. (1974). Quality of Indicator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1, 187-208.
Maltby, J. (1999). Religious orientation and Eysenck's personality dimensions: The use of the amended religious orientation sca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psychoticism,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79-84.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Neugarten, B., Havighurst, S., & Tobin,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n, M., & Wilson, M. (1985). Family inventoryes. st.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Ryff, C. D. (1989). In the eye of the beholder: View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6, 286-295.
Shin, D. C., and D. M. Johnson (1978).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5, 475-492.
Suh, E., E. Diener, & F. Fujita (1995).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sions.
Taylor, S. J., & Bogdan, R. (1996). Quality of Life and the Individual's Perspective in Schalock and Siperstein(eds). Quality of Life, Vol. 1, AAMR; DC, 11-22.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Westerhof G, J., F. Dittmann-Kohli, & Thissen, T. (2001). Beyond life satisfaction: Lay conceptions of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56, 179-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