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Application of Eastern Self-Discipline as Treatment for Drug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7, v.12 no.4, pp.715-73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ly Eastern Self-discipline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rug addiction such as the cause of drug addiction and classification, the drug abuser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intervention.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the two representative Eastern self-disciplines. Confucian principles value morals and courtesy by emphasizing benevolence and morality.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Buddhist principles is showing mercy to neighbors and emancipating oneself. Confucian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are the practices of mindfulness by controlling one's body and attitude, the Nine manners and the Nine mental attitude as well as overcoming oneself to recover one's true nature. Buddhist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are the Noble Eightfold Path, mindfulness meditation, and an approach with predisposition. Constant and sustainable work is needed to succeed with Eastern Self-discipline. In this study, the desirable attitude of the therapist to treat addicts was identified and the limitation and future study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using Eastern Self-discipline was discussed.

keywords
Drug Addict, Eastern Self-discipline, Confucian performances, Buddhist performances, Drug Addict, Eastern Self-discipline, Confucian performances, Buddhist performances, 마약류 중독, 동양적 수행법, 유교적 수행법, 불교적 수행법

Reference

1.

강성군, 김교헌, 박상규, 서경현, 이형초, 전영민 (2007).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삼육대학 교 출판부.

2.

강희복 (2005). 한국사상과 문화, 30, 239-267.

3.

고형일, 김학인, 최석만 (2004).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단전 호흡명상 프로 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 교육문제연구, 9(21), 119-142.

4.

금장태 (2003). 유교의 실천론적 체계-‘중용․성․균평’개념을 중심으로 종교학 연구, 1-23.

5.

광덕스님 역 (1995). 육조단경. 불광출판사.

6.

김갑중, 김종성 (2006). 알코올 중독의 우리 전통. 행동․인지치료. 하나의학사.

7.

김갑중 (2007). 예 치료 공동체-구성주의와 수양론적 접근 경험-. 중독증 전문 치료센터 네 트워크 제 2차 워크숍 및 심포지움 자료집.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중독증 전문치료 센터네트워크, 45-55.

8.

김명권, 조옥경 (2002). 요가의 심리치료적 가치-아스탕가 요가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3(1), 255- 277.

9.

김병채, 이순자 (1999). 몸, 정서, 마음 및 영의 건강을 위한 의식호흡 프로그램. 학생생활 연구: 창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2), 1-32.

10.

김열권 (2004). 보면 사라진다. 정신세계사.

11.

김영채 (1998).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박영사.

12.

김용남 (2003). 중국철학: 불교의 수행위차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34, 403-429.

13.

김용재 (2004). 조선시대의 유교교육- 유교사상의 ‘지식교육’과 ‘전인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26, 231-261.

14.

김재은 (1997). 기의 심리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5.

김재성 (2006). 심리치료로서의 불교. 불교와 심리학, 창간호, 91-162.

16.

김채희, 조옥경, 김영란 (2005). 요가자세법, 호흡법 수련과 신체심리치료의 비교연구. 상담학 연구, 6(4), 1483-1401.

17.

김학주 (2006). 중용. 서울대학교출판부.

18.

박상규 (2003). 마약류 중독자를 위한 자기사랑하기 프로그램. 학지사.

19.

박상규 (2004). 마약류 의존자의 심리적 특성, 상담학 연구, 5, 899-910.

20.

박상규 (2006). 정신재활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1.

박후남, 유숙자 (2005).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 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학회지, 14. 304-312.

22.

박홍식 (2007). 유교의 본질과 역사, 그리고 미래 전망. 동양철학연구, 50, 113-127.

23.

방기연 (2000). 불교상담. 조계종출판사.

24.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 688.

25.

백지연, 김명권 (2005).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치료적 가치: 사띠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6(2), 665- 685.

26.

사문수완 (2003). 마음챙김. 북하우스.

27.

서미희 (2003). 요가 니드라 프로그램이 약물남용 환자의 불안완화에 미치는 영향. 창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신성만, 권정옥, 손명자 역 (2006). 동기강화상담. 시그마프레스.

29.

신원봉 (2000). 주역강의. 문예출판사.

30.

신창호 (2001). ‘배려(caring)'의 동양적 의미와 교육적 함의. 안암교육학연구, 7, 27-43.

31.

양병모 (2004). 중독의 목회신학적 소고,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8, 95-116.

32.

원두리, 김교헌 (2006).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71-886.

33.

유권종 (2003). 퇴계의 예 교육과 인격형성의 원리. 유교사상연구, 18, 33-65.

34.

윤홍식, 오병문 (2006). 한국 큰 스님들에게 배우는 마음챙김의 지혜 100. 봉황동래.

35.

이광진 (2005). 퇴계 경 사상의 교육적 의의. 중등교육연구, 53, 71-90.

36.

이동식 (1974).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일지사.

37.

이선경 (2006). 수양의 관점에서 본 율곡의 순언이해. 한국철학논집, 18, 71-91.

38.

이완재 (2001). 공자에서 퇴계까지. 이문출판사.

39.

이원섭 (1980). 법구경의 진리. 기린.

40.

정용안, 김대진 (2006). 약물 중독 환자의 뇌신경계 핵의학 영상. 핵의학분자영상, 40, 1-8.

41.

정용환 역 (2001). 뚜웨이밍의 유학강의. 청계.

42.

정재각 (1980). 불교성전. 동국역경원,

43.

조긍호 (1998). 유학심리학. 나남출판.

44.

조남국, 조남욱 (1982). 성학과 경. 양영각.

45.

조성남 (2005). 마약류 남용자의 치료재활 활성화 정책방안. 2005 마약류 퇴치 심포지움 자료. 25-33.

46.

조성희, 신수경 역 (2007). 중독과 동기면담. 시그마프레스.

47.

최상진, 윤호균, 한덕웅, 조긍호, 이수원 (1999). 동양심리학. 지식산업사.

48.

최훈동 (2006). 지관의 심리치료적 의미고찰-수행자와 치료자의 필요충분조건. 불교와 심리학, 창간호, 51-90.

49.

한덕웅 (2006). 한국문화에서 사회규범에 따른 행동들이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363-3

50.

홍순목 (2006). 공자의 유교윤리에 있어서 도덕교육단계론. 도덕윤리과교육, 22, 313-336.

51.

홍승표 (2007). 유교 여가관의 탈현대적 함의에 대한 연구. 한국학논집, 34, 251-270.

52.

Beck, R, T., Wright, F. D., Newman, C. F., & Liese, B. S. (1993). Cognitive Therapy of Substance Abuse. The Guilford Press.

53.

Campbell, B. K., & Stark, M, J. S. (1990).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forms of substance abus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 25, 467-474.

54.

Deatherage, G. (1975). The clinical use of mind-fullness mediation technique in short-term psychotherapy.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7(2), 133-144.

55.

Dubin, W. (1991). The use of mediative techniques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3(1), 65-86.

56.

Hains, A. A. (1980). The development of social cognitive process among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peers. Unpublished doctor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s.

57.

Im, S., Yoo, E., Kim, J., & Kim, G. (2007). Adapting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in treating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Perspective in Psychiatric Care, 43(4), 183-192.

58.

Jarvis, T, J., & Tebbutt, J., Mattick, R. P., & Shand, F. (2006). Treatment approaches for alcohol and drug dependence. John Wiley & Sons, Ltd.

59.

Levinthal, C, F. (2002). Drugs, behavior, and modern society 3rd. Allyn and Bacon.

60.

Snyder, M. (1974).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4), 526-537.

61.

Urbanowski, F. B., & Miller, J. M. (1996). Trauma, psychotherapy, and mediation.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8(1), 31-48.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