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7, v.12 no.4, pp.969-98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8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character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 on depression. 12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dministered JTCI and MMPI.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such as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the three dimensions of character such as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and self-transcendence and depression scale of MMPI were calc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self-directedness and self-transcendence were import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harm avoidance had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on dep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 harm avoidance and low self-directedness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the influences of temperament on depression may partially depend on the maturity of character in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limitation and furth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기질, 성격, 우울, 대학생, temperament, charcter, depression, college students

Reference

1.

고광우 (2000). MBTI 성장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잠재적 비행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숙경 (1994). MBTI에 나타난 성격유형과 잠재적 비행경향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곽금주, 문은영 (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6(2), 29-43.

4.

김경희 (2004). 아동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 및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355-368.

5.

김보경, 민병배 (2006).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임상, 25(1), 221-236.

6.

김영호 (2003). 기질성격검사(TCI)와 우울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환, 김재환, 김중술, 노명래, 신동균, 염태호, 오상우 (1989). 다면적 인성검사(MMPI). 서울: 한국가이던스.

8.

김정민, 윤진 (1992). 청소년기 기질적합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5(1), 55-72..

9.

김중술 (2004).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박주용, 오현숙 (2005). 기질 및 성격 검사에서 밝혀진 영재기관 영재의 특성이 영재 선발에 주는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43-156.

11.

배영미 (2001). 청소년 미혼모의 기질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8(3), 45-70.

12.

서국희, 조맹제 (1997). 지역사회거주 청소년의 우울 증상 유병률. 정신의학, 22(2), 113-123.

13.

심혜숙, 김명권 (1997). MBTI에 나타난 비행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행동특성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 치료, 10(1), 227-250.

14.

오현숙, 민병배 (2004). 기질 및 성격검사. 서울: 마음사랑.

15.

윤호열, 이희백, 천성문 (1997). 스트레스 관리훈련과 통제소재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 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1), 367-407.

16.

이동우, 최정임, 김정, 김명선, 신연희, 공석원, 류인균, 권준수(1999). 기질 및 성격 척도를 이용한 강박증에서의 기질 및 성격 특성의 연구. 정신의학회, 8(2), 182-188.

17.

이민규 (2000). 강박증상을 보이는 내담자. 청소년, 대학생 내담자의 주요 증상과 치료적 접근.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 담연구소 제 13차 학술세미나, 38-59.

18.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48.

19.

이정균, 김용식 (2000). 정신의학 4판. 일조각.

20.

임진현 (2005). 우울-품행장애 성향 청소년의 기질과 자기개념 및 정서특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조성진, 전흥진, 김장규, 서동우, 김선욱, 함봉진, 서동혁, 정선주, 조맹제 (2002). 중․고등학교 청소년 자살사고 및 자살 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1(6), 1142-1155.

22.

최명구, 오윤자 (2001). 대학생을 위한 상담교육 접근방법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 -환상이 있는 대학생 사례를 중심으 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5(4), 357-386.

23.

한소영, 이민규, 신희천 (2005). 남녀 대학생의 음주 문제 위험요인: 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요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03-1019.

24.

한창환 (2003). 생물유전적 기질과 가정환경이 청소년기 우울, 품행장애성향 및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성격, 자 아상 및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Abrams, K. Y., Yune, S. K., Kim, S. J., Jeon, H. J., Han, S. J., Hwang, J., Wung, Y. H., Lee, K. J., & Lyoo, I. K. (2004). Trait and state aspects of harm avoidance and its implication for treatment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dysthymic disorder, and depressive personality disorder,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8, 240-248

26.

Akiskal, H. S., & Hirschfield, R. (1983).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o affective disorder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0, 801-810.

2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8.

Brown, S. L., Svrakic D. M., Prybeck, T. R. & Cloninger, C. R. (1992).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o mood and anxiety states: 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sychiatry, 26, 197-211.

29.

Chien, A. J., & Dunner, D. L. (1996). The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in major depression: state versus trait issue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0, 21-27.

30.

Cloninger, C. R., Svrakic, D. M., Przybeck, T. R., & Wetzel, R. (1994). A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St. Louis, Center for Psychobiology for Personlity, Washington University.

31.

Cloninger, C. R, Svrakic D. M., & Przybeck T. R. (1993).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0(12), 975-990.

32.

Engel (1977).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 a challenge for biomedicine. Science, 196, 129-136.

33.

Felsman, D. E., & Blustein, D. L. (1999). The role of peer relatedness in late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Youth & Adolescence, 27, 121-139.

34.

Hains, A. A., & Szyjakowski, M. (1990). A cognitive stress-reduc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1), 79-84.

35.

Havinghurst, R. (1948).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McKay, New York.

36.

Minge, M. R., & Bowman, T. F. (1967). Personality differences among non-clients and vocational and personal counseling cli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4, 137-139.

37.

Tome, M. B., Cloninger, C. R., Watson, J. P., & Isaac, M. T. (1997). Serotonergic autoreceptor blockade in the reduction of antidepressant latency: Personality variables and response to paroxetine and pindolol.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44(2), 101-109.

38.

Young, L., Bagby, M., Cooke, R., Parker, J., Levitt, A. & Joffe, R. (1995). A comparison of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dimensions in bipolar disorder and unipolar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139-143.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