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노인의 생존 및 사망집단의 판별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

Psycho-social predictors of existence or death in Korean elderl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9, v.14 no.2, pp.345-362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8
박군석 (성균관대학교)

초록

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생존 및 사망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202명이 본 연구의 대상이었다. 그 결과, 17개 질병 각각의 경험 상태는 생존집단과 사망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자존욕구의 충족, 정적정서 등 14개 사회심리 요인들을 중심으로 두 집단을 판별한 결과 67.9%의 정확분류율을 보였다. 한편 생존집단과 사망집단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을 각각 설명해보고자 13개 요인들을 단계별로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존집단의 주관안녕은 경제상태, 부적정서, 자존욕구의 충족이란 3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고(70.9%), 사망집단의 경우에는 과거질병 요인이 추가되어 전체적으로 60.8%를 설명하였다. 생존집단의 신체건강 지각에는 과거질병과 경제상태 요인 외에 운동행동 요인만이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며(44.7%), 사망집단의 경우에는 과거질병, 경제상태 및 부적정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45.6%).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도 제안하였다.

keywords
Korean elderly, existence, death, dicriminant analysis, psycho-social factors., Korean elderly, existence, death, dicriminant analysis, psycho-social factors., 한국 노인, 생존, 사망, 판별분석, 심리사회적 요인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ath and the existence of elders in Korea in the stream of the rapid change into the aging socie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t different about the experience of 17 diseases discriminated between the group of the death and of the existence. When 14 factors, such as, fulfillment of social and self-esteem nee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etc.,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increased upto 67.9%. To explai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for both the death and the existence group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13 factors was implemented. Economic statu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fulfillment of social and self-esteem need significantly explained the subjective well-being (70.9%) for the existence group, and past illness was added (60.8%) for the death group. The perception of the physical health for the existence group was explained by only economic status and marital satisfaction (44.7%), whereas illness, economic status,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had the explanation variance (45.4%) for the death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proposed.

keywords
Korean elderly, existence, death, dicriminant analysis, psycho-social factors., Korean elderly, existence, death, dicriminant analysis, psycho-social factors., 한국 노인, 생존, 사망, 판별분석, 심리사회적 요인

참고문헌

1.

구재선, 김의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77-100.

2.

구재선, 이아롱, 서은국 (2009). 행복의 사회적 기능: 행복한 사람은 인기가 있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29-47.

3.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2004).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4.

김태련 (1988). 노인의 삶과 죽음에 에 대한 태도: 미국 나성 교포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 30-47.

5.

노현정, 조은영, 전경숙, 정태연 (2006). 한국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심리학회 학술발표회, 294-295.

6.

동아일보 (2005. 2. 28). 한국, 2050년 세계 최고령 국가. 1면.

7.

박군석 (2009).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2), 291-318.

8.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9(2), 441-470.

9.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5a). 건강하고 행복한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특징들. 한국건강심리학회 제 1차 학술대회 및 워크샵, 156-173.

10.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5b). 한국 노인의 생과 사에 기여하는 요인들. 한국건강심리학회 2005년 제 4차 학술대회 논문집, 11-18.

11.

박군석, 한덕웅, 최훈석 (2005).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termenants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elders in Korea. The 2nd Asian Congress of Health Psychology.

12.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6). 한국 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성공노화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1(3), 457-475.

13.

박영신, 김의철 (2009).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95-132.

14.

서석희, 박애선 (2007).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9(1), 107-130.

15.

이주일, 정지원, 이정미 (2006).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69-203.

16.

이주일, 박군석, 유경, 김영범, 장숙랑, 윤현숙, 유희정, 김동현 (2008).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 서울 : 박학사.

17.

최영임, 장휘숙 (2007). 대학생과 노인의 죽음공포와 죽음불안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74-75.

18.

통계청 (2008). 2007년 사망원인통계결과.

19.

Diener, E. (1994). Assesing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20.

Feifel, H. (Ed.) (1959). The meaning of death. New York. MacGraw-Hill.

21.

Field, M. J., & Cassel, C. K. (1997). Approaching death: Improving care at the end of lif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

Fredrickson, B. L. (2005).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23.

Glaser, B. G., & Strauss, A. L. (1965). Awareness of dying. Chicago IL: Aldine.

24.

Hooyman, N. R., Kiyak, H. A. (2005).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Boston: Pearson Education.

25.

Kastenbaum, R. (1966). Death as a research problem in social gerontology. The Gerontologist, 7, 67-69.

26.

Lawton, M. P. (1987). Lawton's PGC morale scale. Polisher Research Institut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27.

Lawton, M. P. (2001). Quality of life and the end of life. In Birren, J. E., & Warner Schaie, K.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pp. 592-616). San Diego: Academic Press.

28.

Lawton, M. P., Moss, M., & Glicksman, A. (1990). The quality of last year of life in older persons. Milbank Quarterly, 68, 1-28.

29.

Lynn, J., Teno, J. M., Phillips, R. S., Wu, A. W., Desbiens, N., Harrold, J., Claessens, M. T., Wenger, N., Kreling, B., & Connors, A. F. (1997). Perceptions by family members of the dying experience of older and seriously ill patient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6, 97-106.

30.

Seale, C., & Cartwright, A. (1994). The year before death. Aldershot, UK: Avebury.

31.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32.

Weisman, A. D. (1974). The realization of death. New York: Jason Arons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