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 화병 증상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Hwa-byung of Me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1, pp.19-33
https://doi.org/10.17315/kjhp.2010.15.1.002
김민정 (중앙대학교)
현명호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남성의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변인 간의 두 가지 모형을 설정하여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스트레스와 화병 증상 간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각각 매개하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두번째 모형에서는 스트레스와 화병 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매개하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기혼 남성 368명으로 이들에게생활스트레스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화병 진단 척도를 완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와 남성 화병 증상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두 번째 모형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첫 번째 모형의 경우에도 수정지수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간의 직접 경로를 포함하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와 화병 증상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남성 화병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남성화병의 효과적인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화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hwa-byung,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hwa-byung of men.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two models are established. In the first model, the link between stress and hwa-byung is set to be mediated by each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dependently. In second model, the link between stress and hwa-byung is set to be mediated by the process in which social support affects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68 married men, and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e Stress Scale related to the life events,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Self-Esteem Scale and The Symptom of the Hwa-byung Scale. Accordingly, the second model is supported by the result. The first model is compatible when the link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s added to the model using modification index.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link between stress and hwa-byung of men is mediat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social support affects self-esteem. These model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hwa-byung of men and can be applied to the useful treatment and prevention in terms of hwa-byung of men induced by stress.

keywords
화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hwa-byung,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참고문헌

1.

김미례 (2007).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61-777.

2.

김보균, 김종우, 지상은, 임재환, 김광호, 황의환 (2000). 홧병 인식과 자아존중감 관계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1(2), 141-148.

3.

김애경 (2003). 부모의 갈등 및 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이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0(3), 351-372.

4.

김양호 (2005). 중년남성의 건강과 사회관계망 특성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103-126.

5.

김연희, 박경자 (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6.

김종우 (1997) 홧병. 서울 : 여성문화사.

7.

김종우 (2003). 남성 화병 ‘가족애’로 다스려야. 동아일보 12월 1일.

8.

김종우, 현경철, 황의환 (1999). 화병의 기원에 관한 고찰: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0(1), 205-215.

9.

김지영 (2004). 스트레스,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화병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0.

김혜영 (1996).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매일경제 (2005, 2, 18). 기러기 아빠 ‘화병’ 위험.

12.

문화일보 (2003, 11, 26). 남성들 ‘홧병’ 늘었다.

13.

문화일보 (2009, 3, 10). 화병, 정리해고 등 스트레스...남성에 확산.

14.

민성길 (1989). 홧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8(4), 604-616.

15.

박애순 (1998). 홧병 집단과 우울증 집단의 부부갈등, 인지적 평가 및 대처 방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지환, 민성길, 이만홍 (1997).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6(3), 496-502.

18.

송대현, 박한기 (1992). 한국 노인들의 자존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2(1), 79-96.

19.

유희정, 황성훈, 홍진표, 김헌수, 이철, 한오수 (2000). IMF에 관련된 경제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회지, 39(1), 65-77.

20.

이기숙, 김현지(2002). 중년기 남성의 사회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 대한가정학회지, 40(6), 133-144.

21.

이난, 김헌수 (2008).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23(2), 77-97.

22.

이시형 (1977). 홧병에 대한 연구. 고려병원잡지 : 고의, 1(2), 63-69.

23.

이영자 (1994).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윤희 (2003). 화병의 발생기제: 생활 스트레스와 화의 경험 및 표현, 그리고 성격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평숙 (1985).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임재환, 김종우, 환의환 (2000). 한의학적 홧병 치료에 따라 나타나는 홧병 환자의 스트레스지각 정도와 임상양상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동의신경 정신과학회지, 11(1), 47-57.

27.

전겸구, 황의환, 김종우, 박훈기 (1997). 홧병과 정서적 스트레스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168-185.

28.

전병제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24.

29.

통계청 (2008. 9). 2007년 사망 및 사망 원인통계 결과.

30.

하은호, 이영휘 (2004). 무료양로시설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6(1), 47-54.

3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32.

Akin, T., Cownan, D., Dunne, G., Palomares, S., Schilling, D., & Schuster, S. (1990). The best self-esteem activities: For the elementary grade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34, 346-359.

33.

Baumeister, R. F. (1998). D. T. Gilbert, S. T. Fiske, & G. Linzey(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4th ed., pp. 680-740). NY: Oxford University Press.

34.

Benassi, V. A., Sweeny, P. D., & Dufour, C. L. (1988). Is there a relation between locus of control orientation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7(3), 357-367.

35.

Campbell, J. D., Chew, B., & Scratchley, L. S. (1991).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s: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 complexity. Journal of Personality, 59, 473-505.

36.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37.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3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San Francisco : Freeman & Co.

39.

Ganster, D. C., & Victor, B. (1988).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48(2), 169-182.

40.

Garnefski, N., & Diekstra, R. (1996).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school, and peers: relationship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5(12), 1657-1664.

41.

Grant, I., Patterson, T. L., & Yager, J. (1988).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physical health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 1254-1258.

42.

Helsen, M. Vollebergh, W., & Meeus, W. (2000).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and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3), 319-335.

43.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ison-wesley.

44.

Jackson, D. N., & Paunonen, S. V. (1980). Personality structure and assess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1, 503-552.

45.

Johnson, S. L., Meyer, B., Winett, C., & Small, J. (2000).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predict changes in bipolar depression but not man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58, 79-86.

46.

Kemis, M. H., Grannemann, B. D., & Mathis, L. C. (1991). Stability of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1), 81-84.

47.

Kessler, R. C., Price, R. H., & Wortman, C. B. (1985).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 531-572.

48.

Potter, A. E., & Williams, D. E. (1991). Development of a measure examine children's roles in alcoholic famili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2, 70-77.

49.

Rosenberg, M. A.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0.

Sandler, I. G., Miller, P., Short, J., & Wolchik, S. A. (1989).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 in stress. In D. Belle (Ed.), Children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s (pp. 277-307). NY: Willey.

51.

Steiner, B. (1973). The crisis of middle ag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09, 1017.

52.

Thoits, P. A. (1986).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416-423.

53.

Trzesniewski, K. H., Donnellan, M. B., & Robins, R. W. (2003). Stability of self-esteem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205-220.

54.

Weigel, C., & Wertieb, D., & Feldstein, M. (1988). Perceptions of control, competence, and contingency as influences on the stress-behavior symptom relation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3), 456-464.

55.

Wenz-Gross, M., Siperstein, G. N., & Untch, A. S. (1997). Stres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7(2), 129-151.

56.

Wethington, E., & Kessler, R. C. (1986).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1), 78-89.

57.

Whisman, M. A., & Kwon, P. (1993). Life stress and dysphoria : The role of self-esteem and hopeless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5), 1054-1060.

58.

Wills, T. A. (1990).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In E. Blechman(Ed.), Emotions and the Family (pp. 75-98). Hillsdale, NJ: Erlbau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