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많은 고등학생들이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크고 작은 만성통증을 경험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명상이라는 비교적 용이하고 단순한 접근법으로 고등학생들의 통증과 스트레스관리를 도울 수 있을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평가를 통하여 근골격계 증상이 만성적으로 심한 여고생 10명을 선발한 뒤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 5명 씩 할당하였고 연구자가 무선적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런 뒤 학생들의 겨울방학 동안 마음챙김 명상 집단프로그램을 총 8회, 각 80-90분씩 처치집단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에 주요 변인인 통증 및 스트레스와 아울러 치료과정 변인인 심리적 수용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처치집단이대기-통제집단에 비해 근골격계 통증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마음챙김 명상의 통증경감 효과를 시사한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 심리적 수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Many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report some kind of musculoskeletal pain which possibly is associated with academic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 easily obtainable method, on the musculoskeletal pain and academic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uffering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Randomly selected 5 among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a group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waitlist-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8 sessions (1~2 sessions per week) of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for 5 weeks during winter break.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major dependent variables, that are pain and academic stress, and a process variable-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more relief in musculoskeletal pain for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than the wait-control group, suggesting the effect of relieving pain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Concerning these resul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강윤규 (2003). 근골격계 만성 통증의 평가와 치료. 가정의학회지, 24, 103-111.
김미리혜, 김정호, 김수진 (2003).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심리건강에 미치는효과. 학생생활연구, 19, 37-52.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김수진 (2003). 마음챙김명상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과 기능장애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9.
김정호, 김미리혜, 김수진 (2003). 호흡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에 미친 효과: 예비적연구. 인지행동치료 3, 69-80.
김정호, 김선주 (1998).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김종남, 권정혜 (2005). 유방암 환자를 위한 집단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1-17.
김청송, 김시업, 박경숙 (2002). 불안과 통증대처 반응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45-55.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470-477.
서지영, 김미애 (2006).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신체 증상 및 대처방식. 아동간호학회지, 12(4), 470-477.
손정락 (2002). 만성통증에 대한 구성 개념화: 만성 통증 환자들의 구성개념적 대안주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3), 437-455.
신호철 (2002). 섬유근통 증후군과 근막동통 증후군: 가정의학(임상편). 계축문화사.
안상섭 (2007). 한국형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만성통증에 미치는 효과-근로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원두리 (2007). 마음챙김, 의미부여 및 자율적 행동조절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원호택, 이민규 (1987).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1), 22-32.
은영 (1995). 만성 통증 환자의 통증 조절.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1), 17-40.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 (2000).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 스트레스, 자아존중간,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이주연 (2007). 마음챙김명상 중심의 건강 프로그램이 비만 여자 중학생의 폭식행동, 비만행동, 자기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027-1040.
임성견, 김정호 (2008). 호흡마음챙김명상이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4), 217-236.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2(4), 833-850.
조현진,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흡연 중학생의 금연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24, 65-80.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최중립 (1992). 중사각근과 관련한 배부통과 흉통에 관한 연구. 대한통증학회지, 5(1), 63-68.
한준상 (1996). 학교 스트레스. 연세대학교 출판부.
홍성영 (2006). 마음챙김명상이 비만 여대생의 스트레스, 섭식조절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Ahles, T. B., Yunus, M. B., & Riley, S. D. (1984).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rimary fibromyalgia syndrome. Arthritis Rheum, 27, 1101-1106.
Benson, H. (1975). The relaxation response. New York: William Morrow.
Bond, F. W., & Bunce, D. (2000). Mediators of change in emotion-focused and problem-focused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156-163.
Bond, F. W., & Bunce, D. (2003). The role of acceptance and job control in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 1057-1067.
Cleeland, C. S. (1989). Measurement of pain by subjective report. In C. R. Chapman, & J. D. Loeser (Eds.), Issues in pain measurement. New York: Raven Press.
Flor, H., & Birbaumer, N. (1994). Psychophysiological method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J. G. Carlson, A. R. Seifert, & N. Birbaumer (Eds.), Clinical applied psychophysiology . New York: Plenum Press.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Hayes, S. C., Follette, V. M. & Linehan, M. M. (2004). Mindfulness and acceptance:Expanding the cognitive behavioral tradition. New York: Guilford Press.
Kabat-Zinn, J. (1982).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 pain p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 33-47.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ta.
Kabat-Zinn, J., Lipworth, L., Burney, R., & Sellers, W. (1987). Four years of meditation based program for the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Treatment outcomes and compliance.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 159-173.
Kaplan, R. H., Goldberg, D. L., & Galvin-Nadeau, M. (1993). The impact of a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fibromyalgia.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5, 284-289.
McCracken, L. M. (1993). Behavioral constituents of chronic pain acceptance: Result from factor analysis of the chronic pain acceptance questionnaire.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13, 93-100.
Turk, D. C., & Gatchel, R. J. (1999). Psychosocial factor and pain: Revolution and evolution. In R. J. Gatchel,, & D. C. Turk (Eds.), Psychosocial factors in pai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Wall, P. D., & Chapman, C. R. (1982). Defeating pain. New York: Plenum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