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1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K-CAMS-R)로 측정한 마음챙김이 개정된 다차원 대처척도로 측정한 적응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으로 이루어진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적응적 대처로 알려진 정서적 진정, 긍정적 해석 및 적극적 대처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수용되었다. 즉,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은적응적 대처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주관적 웰빙 수준도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이 주관적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적 대처방식들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적응적 대처방식들 간의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 및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on the stress cop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hypothetical model where adaptive stress coping(measured by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indfulness(measured by K-CAMS-R) and subjective well-being(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tested for 210 adolescent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adaptive coping which involves emotional pacification, positive interpretation, and active coping.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thereby accepted.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ping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where mindfulness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the relations among the adaptive coping strategies were specifi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강광순 (2010).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유방암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식 및 반응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권경희 (1985). 한국도시주부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정서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23-58.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9.
문성원, 한종철 (1996).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7(2), 233-246.
박정현, 서은국 (2005). 사람의 내-외적인 모습에 두는 상대적 비중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 19-31.
서경현, 전겸구 (2004).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33-350.
서은국 (2004). 주관적 안녕감: 최근의 연구동향.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 pp. 2-18. 11월 6일. 가톨릭대학교.
서은국, 성민선 (2006). 일상재구성법(DRM)으로 살펴본 대인관계별 정서경험의 형태.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74-75. 8월 18일.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52.
이훈진 (2009). 수용이 심리적 증상,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9, 1-23.
장현갑, 배재홍 (2006).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MBSR-K)이 정신신체증후(SCL 90-R)에 미치는 효과. 2006년 한국건강심리학회 제 1차 학술발표대회 및 워크샵 자료집, pp. 47-50. 3월 31일. 충남대학교 산학연.
전겸구 (1992). 대처 기제 이해를 위한 포괄적 시론: 제어 이론적 조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176-195.
전겸구, 김교헌 (1996).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통합적 모델의 탐색: 제어 이론적 조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34-65.
전겸구, 김교헌, 조신웅, 노명래, 손정락 (1994). 다차원적 대처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3(1), 114-135.
조성은 오경자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97-812.
조용래 (2009).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8(3), 667-693.
한상철 (200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1-2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Arch, J. J., & Craske, M. G. (2006). Mechanisms of mindfulness: Emotion Regulation following a focused breathing inductio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 1849-1858.
Arbuckle, J. L., & Wothke, W. (1999). Amos 4.0 user's guide. Chicago: SmallWaters Corporation.
Baer, R. A., Smith, G. T., Hopkins, J., Krietemeyer, J., & Toney, L. (2006).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13(1), 27-45.
Bishop, S. R., Lau, M., Shapiro, S., Carson, L., Anderson, N. D., Carmody, J., Segal, J. V., Abbey, S., Speca, M., Velting, D., & Devins, G. (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 Practice, 11(3), 230-241.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Chambers, R., Gullone, E., & Allen, N. B. (2009). Mindful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9, 560-57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Feldman, G., Hayes, A., Kumar, S., Greeson, J., & Laurenceau, J. (2007). Mindfulness and emotion Regulation: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CAMSR).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9, 177-190.
Hayes, A. M., & Feldman, G. (2004). Clarifying the construct of mindfulness in the context of emotion regul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rapy. Clinical psychology: Science & practice, 11(3), 255-262.
Kabat-Zinn, J. (1998). 명상과 자기치유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장현갑과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a, D. A., Schwarz, N., & Stone, A. A. (2004). A survey method for characterizing daily life experience: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Science, 306, 1776-1780.
Keyes, C. L. M., & Lopez, S. J. (2002). Toward science of mental health.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59). NY: Oxford University Press.
Kashdan, T. B., Barrios, V., Forsyth, J. P., & Steger, M. F. (2006). Experiential avoidance as a generalize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Comparisons with coping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 1301-1320.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ed.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3, 549-559.
Ryff, C. D., & Singer, B. H.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research.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5, 14-23.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Weinstein, N., Brown, K. W., & Ryan, R. M. (2009).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mindfulness on stress attribution, coping, and emotional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3, 374-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