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경의 웰빙인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the Recollecting the Well-Being Cognitions from the Bible and Well-Being/St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4, pp.673-685
https://doi.org/10.17315/kjhp.2010.15.4.006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은희진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성경의 웰빙인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서울 시내 10여개 교회의 청년부(20살 이상부터 결혼 전의 남녀)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통해 수집되었다. 구체적으로 하루에 성경구절을 얼마나 자주 떠올리는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 관련 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루에 성경구절을 떠올리는 횟수와 삶의 만족, 삶의 기대, 긍정 정서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우울, 불안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관찰되었다. 성경구절회상횟수의 효과를 주관적 웰빙의 수준에 따라 분석했을 때 주관적 웰빙이 낮은 경우, 즉 현재의삶이나 미래의 삶에 대해 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성경구절 회상횟수의 효과가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motivational states theory, motivation, well-being cognition, subjective well-being,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tress, well-being, 동기상태이론, 동기, 웰빙인지, 주관적 웰빙, 주관적 안녕, 삶의 만족, 삶의 기대, 스트레스, 웰빙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well-being cognitions from the Bible and well-being/str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1 men and women who belong to the young people divisions of 10 churches in Seoul.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frequency of recollecting the well-being cognitions from the Bible in a day and well-being/str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recollecting the well-being cognitions from the Bib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en we reanalyzed the data accord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we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frequency of recollecting the well-being cognitions from the Bible were bigger in the case of the people who think their life is less satisfied or will be less satisfied than whose who think their life is satisfied or will be satisfied.

keywords
motivational states theory, motivation, well-being cognition, subjective well-being,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tress, well-being, 동기상태이론, 동기, 웰빙인지, 주관적 웰빙, 주관적 안녕, 삶의 만족, 삶의 기대, 스트레스, 웰빙

참고문헌

1.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77-190.

2.

김정호 (1985). 합치도 원리: 약호화 특수성 원리에 대한 대안. 행동과학연구, 7, 65-76.

3.

김정호 (1991). 효율적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위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안-밖 합치도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3, 117-130.

4.

김정호 (2000).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5.

김정호 (2002). 스트레스관리. 대한산업보건협회(편), 스트레스관리(pp.9-81). 서울: 대한산업보건협회.

6.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53-484.

7.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25-345.

8.

김정호 (2007b). 한국판 긍정 및 부정정서 척도.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미간행.

9.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 1-22.

10.

김정호 (2009).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 677-697.

11.

김정호 (2010). 마음챙김과 긍정심리학 중재법의 통합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369-387.

12.

김정호, 김선주 (1998).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13.

김현정, 오윤희, 오강섭, 서동우, 신영철, 정지영 (2006). 긍정적 사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767-784.

14.

신정원, 이인혜 (2003). 낙관주의 성향과 유도된 기분상태가 만성 통증 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457-472.

15.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25-145.

16.

이주영, 김지혜 (2002). 긍정적 사고의 평가와 활용: 한국판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utomatic Thought Questionnaire - Positive: ATQ-P)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 647-664.

17.

이희경(2007).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 751-766.

18.

이희경, 김혜선 (2006).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수준과 희망이 부모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 57-72.

19.

조현석, 권석만, 임영진 (2010). 한국판 향유신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 349-365.

20.

최유희, 이희경, 이동귀 (2008).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 1-16.

21.

Baddeley, A. (1990). Human memory: Theory and practice. London: LEA.

22.

Goodhart, D. E. (1985). Some psychological effects associat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thinking about stressful event outcomes: Was Pollyanna righ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216-232.

23.

Kim, J.-H. (1986a). Some difficulties of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5, 154-166.

24.

Kim, J.-H. (1986b).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A general framework for memory research. Research Review (Duksung Women's University), 6, 69-103.

25.

Kim, J.-H. (1992). Inner-Outer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Functionalism and Computationalism.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4, 165-177.

26.

Kim, J.-H., Kim, S.-J., & Kim, M. (1999, August). On the definition of stress and well-being:An extension of Lazarus Model. The 3rd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Taipei, Taiwan.

27.

Lyubomirsky, S., Caldwell, N.D., & Nolen-Hoeksema, S. (1998). Effects of ruminative and distracting responses to depressed mood on retrieva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66-177.

28.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29.

Wegner, D.M. (1994). Ironic processes of mental control. Psychological Review, 101, 34-52.

30.

Wegner, D.M., Ralph, E., & Zanakos, S. (1993). Ironic processes in mental control of mood and mood-related though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093-110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