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간 관계에서 불안정애착과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역할 검증

The Examination about Mediation Effect of Insecure Aattachment and Eearly Mmaladaptive Sschemas in the Relation between Cchildhood Ttrauma and Ddysfunctional Aange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4, pp.841-851
https://doi.org/10.17315/kjhp.2010.15.4.016
이지영 (신생병원)
손정락 (전북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간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과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19명의 남, 녀 대학생이었고, 측정도구로는 정서적 외상 질문지, 성인 애착 질문지, 도식 질문지 및 역기능적 분노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이 제시되었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불안정 애착과 도식이 순차적으로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 사이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치료과정에서 역기능적 분노문제 및 그와 관련된 정서적 외상을 다룰 때에는 안정애착의 요소들과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도식들을 동시에 고려한 치료모형이 필요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keywords
역기능적 분노, 아동기 정서적 외상, 초기 부적응도식, 불안정 애착, dysfunctional anger, insecure attachment, early maladaptive schema

Abstract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ediation model in which insecure attachment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ysfunctional anger. A total of 319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K).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which means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is mediated by insecure attachment and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on dysfunctional anger is mediated by early maladaptive schemas.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the model that deals with elements of secure attachment, schema and childhood emotional trauma all together is useful for dysfunctional anger approa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the true source of dysfunctional anger would be not a current stimulus, but the effect of interaction that current stimulus and traumatic event in store to various memory representations of the past.

keywords
역기능적 분노, 아동기 정서적 외상, 초기 부적응도식, 불안정 애착, dysfunctional anger, insecure attachment, early maladaptive schema

참고문헌

1.

김나리(2002).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 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양미(2000). 아동학대가 아동의 공격성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혜인 (2007).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 정서 인식의 어려움, 정서 표현 억제의 매개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해진(2006). 성인애착유형, 특성분노 및 음주문제의 관계: 분노표현 효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문소현. 박영주(2008). 청소년기 여성의 애착유형에 따른 기질분노와 분노표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4(2), 143-149.

6.

박윤경(2007).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갈등대처전략을 매개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은주(2005).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자녀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독교 교육연구 18(1), 192-229.

8.

송수미, 현명호, 윤미숙(2009). Brennan에 의한 애착유형과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 스트레스 연구, 17(1), 35-44.

9.

이유경(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지영, 손정락(2009).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성인애착유형 및 역기능적 분노표현과의 관계. 스트레스 연구, 17(1), 81-89.

11.

장휘숙(2000). 애착과 사랑유형.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 93-111.

12.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1997). 한국판 STAXI 척도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60-78.

13.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1998). 한국판 상태-특성분노표현 척도(STAXI-K):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18-22.

14.

조성호(2001a).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 177-192.

15.

한동화(2009).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불안, 우울, 자존감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허봉렬(2008). 툭하면 부글부글. 문화일보, 2008. 9. 2. 기사에서.

17.

홍수경(2003). 아동학대가 아동의 부적응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Bernstein, D. P. & Fink, L.(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s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TX: Harcourt Brace, San Antonio.

19.

Briere, J.(1996). A self trauma model for treating adult survivors of severe child abuse. In Briere J, Bulkley JA, Jenny C, Reid T(Eds). The ASPAC Handbook On Child Maltreatment(pp. 140-157), California; Sage.

20.

Deffenbacher, J. L., & McKay, M.(2000). Overcoming situational and general anger. Oakland: New Harbinger.

21.

DiGiuseppe, R, & Tafrate, R. C.(2007). Understanding anger disorders. NY: Oxford University Press.

22.

Fosha, D. (2000). The transforming power of affect: A model for accelerated change, NY:. Basic Behavioral Science.

23.

Fosha, D. (2003). Dyadic regulation and experiential work with emotion and relatedness in trauma and disorganized attachment. In M. F. Solomon & D. J. Siegel(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 (pp, 221-281), NY: Norton.

24.

Greenberg, L. S.(2001). Emotion-focused therapy.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

Hesse, E., Matin, M., Abrams, K. Y., & Rifkin, A.(2003). Unresolved states regarding loss or abuse can have second generation effects: Disorganization, role inversion, and frightening ideation in the offspring of traumatized, non-maltreating parents. In M. F. Solomon & D. J. Siegel(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pp, 57-161), NY: Norton.

26.

Muris P, Meesters C, Morren M.(2004). Anger and hostility in adolscent: Relationships with self-reported attachment style and percevied parental rearing styl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 257-264.

27.

Robin, S & Novaco, R. W. (1999). System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325-337.

28.

Satir, V, Banman, J., Gerber, J., & Gomori M.(1991). The Satir model : family therapy and beyond. Palo Alto, Calif.: Science and Behavior Books,

29.

Schore, A. N.(2003). Early relational trauma, Disorganized attachment & the development of a predisposition to violence. In M. F. Solomon & D. J. Siegel(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pp, 107-167). NY: Norton.

30.

Searle, B. & Meara, N. M.(1999). Affective Dimensions of Attachment Styles: Exploring Self-Reported Attachment Style, Gender, and Emotional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2), 147-158.

31.

Shapiro, F & Maxfield, L.(2003). EMDR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psychotherapy treatment. In Solomon M. F. & Siegel D. J.(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pp, 196-220). NY: Norton.

32.

Siegel. D. J.(2003). The developing mind and the resolution of trauma. In M. F. Solomon & D. J. Siegel(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 (pp. 1-56). NY: Norton.

33.

Spertus, L. I, Yehuda, R, & Wong M. C.(2003). Childhood emotional abuse &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 Neglect, 27: 1247-1258.

34.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l, S., Crane, R. S., Jacobs, G. A., & Worden, T. J.(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M. A. Chesney & R. H. Rosenman(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pp. 5-30). NY: Hemisphere.

35.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pp. 89-108). NY: Springer Verlag.

36.

Tafrate, R. C., Kassinove, H., & Dundin, L.(2002). Anger Episodes in high- and low-trait-anger community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 1573–1590

37.

Teicher, M. H. Polcari, A. Anderson, S. L., & Navalta, C.(2003). Neurobiological effects of childhood stress & trauma. Relational Perspectives book series, 3 ; 211-238.

38.

Young, J., Klosko, J. S., & Weishaar, M. E.(2005). 심리도식치료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권석만, 김진숙, 서수균, 주리애, 유성진, 이지영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3년에 출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