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고생 26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용 강점척도(VIA-Youth)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성격 강점들을 알아본 결과 활력, 감사, 희망, 및 사랑 등의 성격 강점은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활력, 희망, 사랑 및 정직 등은 정서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희망, 사랑, 감사, 학구열, 자기조절 및 용기 등은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마지막으로 희망, 용기, 학구열, 및 공정성 등은 적응적 대처양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와 국내외의 선행연구 결과들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들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를 촉진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함양해야할 성격 강점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the well-being and adaptive coping style among 267 Korean adolescents using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for Youth(VIA-Youth).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 strengths of vitality, gratitude, hope, and love predicted life satisfaction, the character strengths of vitality, hope, love, and integrity predicted emotional well-being, the character strengths of hope, love, gratitude, love of learning, self-regulation, and braver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hope, bravery, love of learning, and fairness predicted adaptive coping style significantly. We discuss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and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haracter strengths that Korean adolescents need to build for enhancing well-being and the adaptive coping were specified and confirm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권경희 (1985). 한국도시주부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석만 (2009). 서울대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성격 강점 검사의 개발. 연구보고서.
권석만, 김지영, 하승수 (2010). 성격 강점 검사. 청소년용.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
김광은, 윤유경, 권석만, 하승수 (2010). 긍정심리학적관점에서 본 사관생도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및 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2(1), 233-248.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김정주 (2010). 청소년의 성격적 강점과 학교생활 적응도 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문성원, 한종철 (1996).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7(2), 233-246.
문원정 (2009). 대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정현, 서은국 (2005). 사람의 내-외적인 모습에 두는 상대적 비중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 19-31.
박혜경 (2010).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경현, 전겸구 (2004).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33-350.
서은국, 성민선 (2006). 일상재구성법(DRM)으로 살펴본 대인관계별 정서경험의 형태.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74-75. 8월 18 일.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안신영 (2010). 성격강점에 대한 청소년의 자기인식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원두리 (2010).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427-443.
이용주 (2010). 청소년의 성격적 강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최은미 (2009). 성격적 강점이 성인의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상철 (2001). 사회적 지원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1-21.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arvey, J. H., & Pauwels, B. G. (2004). Modesty, humility, character strengths, and positive psych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20-623.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a, D. A., Schwarz, N., & Stone, A. A.(2004). A survey method for characterizing daily life experience: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Science, 306, 1776-1780.
Linley, P. A., Maltby, J., Wood, A. M., Joseph, S., Harrington, S., Peterson, C., Park, N., & Seligman. M. E. P. (2007). Character strengths in the United Kingdom: The VIA Inventory of Strength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341-351.
Park, N. (2009). Building strengths of character: Keys to Positive Youth Development. Reclaiming children and youth, 18(2). 42-47.
Park, N., & Pterson, C. (2006a). Character strength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23-341.
Park, N., & Pterson, C. (2006b). Moral competence and character strengths among adolescent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Journal of Adolescence, 29, 891-910.
Park, N., & Peterson, C. (2008).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Application to Strengths-Based School Counseli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2(2), 85-92.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a).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b).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A closer look at hope and modest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28-634.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9). 긍정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성격 강점과 덕목의 분류[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뱃수현, 안선영 역).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원전은 2004년에 출판).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ed.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9, 719-727.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Shimai, S. K., Otake, N.,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6). Convergence of character strengths in American and Japanese young adul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11-322.
Steen, T. A., Kachorek, L. V., & Peterson, C. (2003). Character strengths among youth.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1),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