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Program on depression, im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 Drinking.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K), Problem Drinking Screening Test(PDST),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were used for screening in pre-test. 30 people who satisfies the problem drinking level(AUDIT-K over 12 point, PDST over 3 point) and experiences depress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got a relatively high score in CES-D and BIS. Then, 30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10 weeks MBCT program group(n=15) or control group(n=15). The MBCT program for 9 people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Depression, im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1-month follow-up, and 2-month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ores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in the MBCT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권석만 (2003).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미옥 (2008). 대학생 음주정도와 그 관련 요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상아 (2006). 알코올과 우울증. 서울: 한국학술정보.
김수진 (2003).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독서치료.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진훈, 김길숙, 오동렬, 김종우 (2002). 기질 및 성격 특성과 알코올의존의 관련성. 중독정신의학, 6, 95-101.
박수현 (2008).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서울소재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현주 (2006). 알코올중독 심각도에 따른 우울, 불안및 사회적 지지.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후남, 유숙자 (2005).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4(3), 304-312.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박사학위 청구논문.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보건복지부 (2006).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2006. [PDF 파일]. 보건복지부 자료실 웹사이트, http://library.mw.go.kr
서순아 (2007). 인지행동 치료가 대학생의 우울, 알코올 기대, 부정적 정서완화 대처 및 문제 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신윤철 (2009). 마음챙김명상이 회복중인 알코올 의존자의 부정적 정서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행우 (1999). 성격 특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05-122.
유채영 (2000). 문제음주자의 변화동기에 관한 연구 : 변화전략 수립을 위한 동기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병욱, 이충헌, 이필구, 최문종, 남궁기 (2000).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AUDIT-K: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ion Test)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중독정신의학, 4(2), 83-92.
이수란 (2006). 마음챙김 명상훈련이 알콜 중독자의 부정적 정서와 음주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현수 (1994). 충동성의 유형. 인문학연구, 21, 93-104.
이혜일, 손정락 (2007). 동기화 중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알코올 기대, 금주자기-효능감및 문제 음주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 연구, 17(3), 237-245.
임성범 (2005). 알코올중독 환자의 재발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미연 (2006). 만트라명상이 성폭력 가해자의 공격성 및 충동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연구 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 65-76.
전미애 (2010). 정서조절을 위한 MBCT의 치료적 과정 : 근거이론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정원철 (2006).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5(8), 347-371.
조현섭 (2004). 문제음주 선별검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1990). Broadening the base of treatment for alcohol problem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Kushner, M. G., Donahue, C., Sletten, S., Thuras, P., Abrams, K., Peterson, J., & Frye, B. (2006).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of comorbid anxiety disorder in alcoholism treatment patients: Presentation of a prototype program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Mental Health, 15(6), 697-707.
Lugo, W. A. (2003). Can binge drinking in college be stopped? Lessons learned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Wisconsin. USA.
Mallett, K., Lee, C. M., Turrisi, R., & Larimer, M. E. (2008). Assess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olerance to alcohol using social cues: The social tolerance index. Addictive Behaviors, 33(7), 1-12.
Mason, O. M. & Hargreaves, I. (2001). A qualitative stud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4, 197-212.
Schadé, A., Marquenie, L. A., Balkom, A. J. L. M., Koeter, M. W. J., Beurs, E. D., Dyck, R., & Brick, W. (2007). Anxiety disorders: Treatable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comorbid alcohol dependence. European Addiction Research, 13(2), 109-115.
Schuckit, M. A. Tipp, J. E. (1997). Periods of abstinence following the onset of alcohol dependence in 1,853 men and wome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8(6), 581-589.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년에 출판)
Vogel-Sprott, M. (1997). Is behavioral tolerance learned?. Alcohol Research and Health, 21(2), 161-168.
Williams, J. M. G., & Swales, M. (2004). The use of mindfulness-based approaches for suicidal patients.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8(4), 315-330.
Wilsnack, S. C. & Wilsnack, R. W. (1991). Epidmiology of women's drinking. Journal of Substance Abuse, 3(2), 133-157.
Witkiewitz, K. & Bowen, S. (2010). Depression, Craving, and Substance Use Following a Randomized Trial of Mindfulness-Based Relapse Preven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8(3), 362-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