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 대처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문제해결 대처의 매개역할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Hope and Problem-Solving Cop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Hope and Problem-Solving Cop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2, pp.297-311
https://doi.org/10.17315/kjhp.2011.16.2.004
원두리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 대처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사이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고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가설적인 관계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을 촉진하고 희망은 문제해결 대처를 촉진하여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수용되었다. 즉,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문제해결 대처를 부분매개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적 웰빙에 기여하는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대처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ocial support, hope, problem-solving coping,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사회적지지, 희망, 문제해결 대처, 청소년, 심리적 웰빙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hope and problem-solving cop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using survey method among 267 adolescent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facilitated hope, hope facilitated problem-solving coping, and problem-solving coping facilitate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So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accepted. More specifically, hope and problem-solving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process that social support affec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is specified by the mediating role of the hope and problem-solving cop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social support, hope, problem-solving coping,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사회적지지, 희망, 문제해결 대처, 청소년, 심리적 웰빙

참고문헌

1.

김경옥, 조복희 (2001). 뇌졸중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희망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4(1), 58-72.

2.

김남희 (2006). 희망과 사회적지지,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웰빙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4.

김청송 (2009).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649-665.

5.

김택호, 김재환 (2004).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65-490.

6.

김현준 (2009).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지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주도적 대처를 매개효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문성원, 한종철 (1996).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7(2), 233-246.

8.

박영신, 김의철 (2009). 한국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 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9.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서경현, 전겸구 (2004).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33-350.

11.

장효진, 임정하 (2010).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67-78.

12.

조한익 (2010).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희망 및 우울증의 구조적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24(1), 161-181.

13.

조현주 (2010). 희망이 생활스트레스와 정신병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3), 839-852.

14.

태영숙, 강은실, 이명희, 박금자 (2001). 암환자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희망과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4(2), 219-231.

15.

한상철 (200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1-21.

16.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7.

Chang, E. C. (1998). Hop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ping in a college student population: Som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4(7), 953-962.

18.

Ekas, N. V., Lickenbrock, D. M., & Whitman, T. L. (2010). Optimism,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0, 1274– 1284.

19.

Glass, K., Flory, K., Hankin, B. L., Kloos, B., and Turecki, G. (2009). Are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and hop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hurricane Katrina survivor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8(6), 779-795.

20.

Karademas, E. C. (2006).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1281-1290.

21.

Khan, A., & Husain, A. (2010).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strength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Reports, 106(2), 534-538.

22.

Park, N., & Peterson, C. (2006). Moral competence and character strengths among adolescent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Journal of Adolescence, 29, 891-910.

23.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24.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9). 긍정심리학의 입장에서 본 성격 강점과 덕목의 분류. [Character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문용린, 김인자, 원현주, 뱃수현, 안선영 역).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원전은 2004년에 출판).

26.

Roesch, S. C., Duangado, K. M., Vaughn, A. A., Aldridge, A. A., Villodas, F. (2010). Dispositional hope and the propensity to cope: A Daily diary assessment of minority adolesce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6(2), 191-198.

2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28.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ed.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3, 549-559.

29.

Ryff, C. D., & Singer, B. (2003). Ironies of the human condition: Well-being and health on the way to mortality. In L. G. Aspinwall & U. M. Staudinger (Eds.), A psychology of human strengths: Fundamental qu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a positive psychology. Washington DC: APA.

30.

Snyder, C. R. (2004). Hope and other strengths: Lessons from animal farm.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24-627.

31.

Wang, L., Chang, P., Shih, F., Sun, C., & Jeng, C.(2006). Self-care behavior, hope, and social support in Taiwanese patients awaiting heart transplant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1, 485-491.

32.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56-75.

33.

Wood, A. M. & Joseph, S. (2010). The abs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eudemonic) well-being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A ten year cohort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2, 213-2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