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삶의 의미 수준과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Mental Health, Perceived Social Support &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According to Purpose in Lif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2, pp.363-37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2.008
최명심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삶의 의미,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를 알아보고, 삶의 의미 수준에 따라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6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자존감,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와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 척도를 실시하였다. 삶의 의미 척도 점수를 통해 높은/중간/낮은 집단으로 분류한 후, 각 심리적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의미 수준이 높을수록, 자존감, 정신건강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았으며, 대인관계에서의 불편감과 회피 수준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삶의 의미, 자존감, 정신건강 및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와 불편에서는 모든 변인들이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존감, 정신건강, 사회적 회피와 불편감 변인이 삶의 의미를 설명하는 변량이 60.4%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purpose of meaning, self-esteem, mental health, 삶의 의미, 자존감, 정신건강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eaning of life,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and identify difference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according to meaning of life level. At this study, 632 students completed five questionnaires; purpose in life(PIL), self-esteem,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PIL test if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High/Middle/Low groups are classified from the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igh level of purpose of life was related to high self-esteem,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to low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The correlation of the purpose of life, self esteem,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we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but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was accounting for 60.4% of the variance in the purpose in lif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purpose of meaning, self-esteem, mental health, 삶의 의미, 자존감, 정신건강

참고문헌

1.

고성희 (1989). 한국인의 정신건강 개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순안 (2010). 갱년기 여성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은경 (1995).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 정서 건강상태. 중앙의학, 60(8), 703-714.

4.

김진원 (1995). 종교와 삶의 의미 수준, 불안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찬희 (1991). 의미치료의 이론에 따른 삶의 목적 수준과 부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금자 (1999). 중년기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송정명 (1975). 종교인과 비종교인의 불안에 관한 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신효식 (1993). 노부모-성인자녀간의 결속도, 자아존중감, 심리적 손상간의 관계모형탐색.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심승원 (2000). 아동이 자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청구논문.

11.

안영미 (2002).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 건강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양덕희 (1998). 종교인의 신앙생활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 가톨릭 평신도 수도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유성은 (1997). 완벽주의적 경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윤미경 (19976). 체흡의 <갈매기>에 나타난 니나의 자기신뢰와 그 발견과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순묵 (1998). 한 도시지역 저소득층 주민의 정신건강수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신숙· 이경주 (2002). 노인의 일상적인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1-20.

17.

이영자 (1995).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옥정 (1998). 대인불안에서 주의 방향이 stroop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정지 (1995). 의미간호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생의 목적과 의미발견 및 희망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이훈진, 원호택 (1995). 자기개발과 편집증적 경향. 심리과학4(2). 15-29.

21.

장준배 (2002). 쪽방거주자들의 사회적 연계단절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혜경 (1988). 암환자의 자존감과 가족지지 및 질적 삶과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전지아 (1990). 산후 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동락 (1987). 의미치료의 관점에서 본 중년기 교인의 신앙도와 삶의 의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정욱, 한규석 (2005). 자기고양 현상에 대한 조절변인으로서 자존감.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19(1), 199-216.

26.

정홍주 (1982). 학교상담에 있어서의 Logotherapy적용을 위한 일 연구: 고교생의 의미에의 의지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최명심, 손정락 (2007). 삶의 의미 수준이 자존감, 문제해결인식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51-967.

28.

홍주우 (1999).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홍미혜 (1999).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 수준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Abbey, A., Abramis, D. J., & Coplan, R. D. (1985).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on emotional well-being. Basic & Applied Social Psychology, 6, 111-129.

31.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antional Universities Press.

32.

Buss, A. (1995). Personality, Temperament, Social Behaviour, and the Self.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3.

Cranadll, J. E., & Rasmussen, R. D. (1975). Purpose in life as related to specific valu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 483-485.

34.

Crumbaugh, J. C. (1968). Cross-validation of Purpose in life Test based on Frankl's concepts.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24, 74-81.

35.

Crumbaugh, J. C. & Maholick, L. T. (1964). An experimental study in existentialism The psychometric approach to Frankl's Concepts of noogenic neurosis.

36.

Debats, D. L., Drost, J., & Hansen, P. (1995). Experiences of meaning in Life :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6, 359-374.

37.

Dubois, D. L., & Flay, B. R. (2004). The healthy pursuit of self-esteem: Comment on and alternative to the Crocker and Park(2004) formul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30, 415-420.

38.

Ebersole, P., & Kobayakawa, L. (1989). Bias is meaning in life ratings. Psychological Reports, 65, 911-914.

39.

Farby, J. B. (1980). The Pursuit of Meaning: Logotherapy Applied to Life.

40.

Frankl. V. E. (1995). 죽음의 수용소에서 [Psychotherapy and existentialism: Selected paper on logotherapy]. (김충선 역). 청아출판 사. (원전은 1969에 출판)

41.

Frankl. V. E. (1986). The doctor and the soul. From Psychotherapy to logotherapy. New York: A Vintage Book.

42.

Greenberg, J., et. al. (1991).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Converging evidence that self-esteem serves an anxiety-buffering fun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6), 931-922.

43.

Kahn, R. I., & Antonucci, T. C. (1980). Conveys over life coursel: Attachmnet, role and social support. In P. B. Baltes, & O. Brim(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3(pp. 253-286). Boston: Lexington Press.

44.

Harlow, L. L., Newcomb, M. D., & Bentler, P. M. (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ab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as a mediation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5-21.

45.

McAdams, D. P., Diamond, A., de St Aubin, E., & Mansfield, E. (1997). Stories of commitment: The psychosocial construction of generative l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678-697.

46.

Mascaro, N., & Posen, D. H. (2005). Existential meaning's role in the enhancement of hope and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73(4), 989-1014.

47.

NamKung, Dalwha (1980). Purpose in life among Korean high school sen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48.

Neilson, K. (1980). Linguistic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Life' in The Meaning of Life. S Sanders & D. R. Cheney. Prentics-Hall. Inc.

49.

Penning, M. J. (1995). Health, social support, and the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50B(5), S330-S339.

50.

Pinquart, M. (2002). Creating and Maintaining Purpose in life in old age: A meta analysis. Ageing International, 27(2), 90-115.

51.

Ryff, C. D., & Singer, B. (1998).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 1-28.

5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53.

Rogers, C. R. (1994). 학습의 자유-인간중심 교육, 연문회 역. 서울:문음사. (원전은 1961에 출간).

54.

Salmivalli, C. (2001). Feeling good about oneself, being bad to others? Remarks on self-esteem, host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6, 375-393.

55.

Sayles, M. L. (1995). Adolescent's purpose in life and engagement in risky behaviors: Differences by gender and ethnicit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5, 2727.

56.

Schafer, W. E. (1997). Religiosity, spirituality, and personal di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8, 633-644.

57.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58.

Simmons, R. G., & Van Cleave, E. F. (1979). Entry into early adolescence: The impact of self-esteem.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948-967.

59.

Skrabski, A., Kopp, M., Rozsa, S., Rethelyi, J., & Rahe, R. H. (2005). Life Meaning: An Important of Health in the Hungari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2(2), 78-85.

60.

Thompson, M. G., & Heller, K. (1990). Facets of support related to well-being: Quantitative social isolation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in a sample of elderly women. Psychology and Aging, 5(4), 535-544.

61.

Watson, D., & Friend, R.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448-457.

62.

Wright, L. S., & Frost, C. J., & Wisecarver, S. J. (1993). Church attendance, meaningfulness of religion,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 559-568.

63.

Yalom, I. D. (1980).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64.

Zika, S., & Chamberlain, K. (1992). On the relation between b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3(1), 133-14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