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생각억제와 자기노출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nd Self-disclosure Regarding the Stressful Life Event on Negative Emo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1, pp.271-28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6
박준호 (순천향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선행연구들에서는 생각억제와 자기노출이 각각 독립적으로 정서나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변인이 상호작용하여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즉, 스트레스를 유발한 사건에 관해서 생각을 억제하는 수준에 따라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이원상호작용 가설을 세웠다. 2(생각억제: 고/저)×2(자기노출: 고/저)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대학생 58명이 참가하였다. 지난 1년 동안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사건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억제한 다음에 자기노출하도록 하여 현재 상태에서 경험하는 정서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부정정서에 이원상호작용이 유의한 추세를 보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생각억제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는 자기노출이 낮은 조건보다 높은 조건일 때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에 생각억제 수준이 낮은 조건에서는 자기노출이 낮은 조건과 높은 조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순기능이 생각억제의 수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남을 알아내는 데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스트레스 사건, 생각억제, 자기노출, 부정정서, stressful life event, thought suppression, self-disclosure, negative emotion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emo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emotion would be significant in the condition with high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whereas not significant in the condition with low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To test the hypotheses, a 2×2 ANOVA, with thought suppression (high/low) and self-disclosure (high/low), as between-participants factors was performed on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emotion. Fifty eight undergradu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main hypothesis was suppor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actors was significant, and it showed that, in the higher condition of thought suppression, negative emotion was lower in the higher condition of self-disclosure than in the lower condition. In the lower condition of thought suppression, however, negative emo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negative emotion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indicating that self-disclosure affect the emotion in a positive manner, only when the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is high.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스트레스 사건, 생각억제, 자기노출, 부정정서, stressful life event, thought suppression, self-disclosure, negative emotion

참고문헌

1.

고유미, 현명호, 박지선 (2009). 대학생의 음주억제와 음주행동의 관계에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891-909.

2.

구해경, 김미정, 현명호 (2007). 정서수용과 억제가 정서반응과 피부전도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23-937.

3.

김교헌 (1992). 자기노출의 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11(1), 81-107.

4.

김교헌 (1994). 자기노출과 분노억제경향에 따른 생리,정서 및 자기이해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교헌 (1995). 분노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노출이 생리적 각성, 정서 및 인지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252-267.

6.

김교헌 (2002). 속마음 털어놓기와 노년기 건강. 사회과학연구, 13, 23-40.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김교헌, 태관식 (2001). 자기노출이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6(1), 177-194.

8.

김교헌, 한덕웅 (1996). 자기노출의 목표, 자발성 및 분노억제경향이 생리적 각성, 정화 및 평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66-88.

9.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이 ADHD 경향이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29-445.

10.

김세진, 김교헌 (2005). 이동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분노 반응에 미치는 효과: 적대감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47-65.

11.

김영주, 이인혜 (2010). 도박 중독 취약성과 억제 능력의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817-840.

12.

박준호 (2007).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복생각, 생각억제 및 자기노출이 정서와 주관안녕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준호 (2009).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복생각과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4(1), 125-145.

14.

배하영, 한덕웅, 이민규 (2005). 정서, 섭식억제, 체형 및체중 관련 사적자기주의에 따른 섭식동기 및섭식행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145-165.

15.

오현자, 김교헌 (2009). 가출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침입 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89-106.

16.

이경순, 김교헌 (2000). 분노억제경향과 문제해결이 분노 정서 경험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60-72.

17.

이민규 (2009). 섭식단서가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자기주의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4(4), 831-851.

18.

이선영 (2011). 한국판 사고억제 척도(Thought Suppression Inventory: TSI)의 타당화 연구-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4), 889-906.

19.

이용승, 원호택 (1999). 사고억제(Thought Suppression)와 통제 방략에서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37-58.

20.

이인혜, 김영주, 강성군 (2011). 억제기능 결함과 도박중독의 관계: 카지노 도박중독자들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501-520.

21.

인현정, 김교헌 (2002). 약물남용자의 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신체병리 경험 및 약물에 대한 태도에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1),111-126.

22.

전미애, 김정모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대학생의 사고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795-813.

23.

한덕웅 (1980). 자기노출이 대인매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집, 5-10.

24.

한덕웅 (1981). 자기노출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30, 109-137.

25.

한덕웅 (2004). 간편정서척도(KBAS)에 의한 주관안녕,건강지각 및 신체증상의 예측: 종단연구.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7-62.

26.

한덕웅, 박준호 (2005).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생각억제와 자기노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183-209.

27.

한덕웅, 박준호 (2007).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생각억제 및 자기노출이 정서와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 건강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7-42.

28.

한덕웅, 박준호, 김교헌 (2004).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자기노출, 반복생각 및 정서경험이 신체건강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99-130.

29.

Christensen, A. J., Edwards, D. L., Wiebe, J. S., Benotsch, E. G., McKelvey, L., Andrews, M., & Lubaroff, D. M. (1996). Effect of verbal self-disclosure o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Moderating influence of cynical hostility. Psychosomatic Medicine, 58(2), 150-155.

30.

Harrington, J. A., & Blankenship, V. (2002). Ruminative thoughts and their relation to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 465-485.

31.

Horowitz, M. J. (1986). Stress response syndrome(2nd ed.). Northvale, NJ: Jason Aronson.

32.

King, L. A., Emmons, R. A., & Woodley, S. (1992). The structure of inhibi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6, 85-102.

33.

Lavy & van den Hout (1990). Thought suppression induces intrusions. Behavioral Psychotherapy, 18, 251-258.

34.

Lepore, S. J., Greenberg, M. A., Bruno, M., Smyth, J. M. (2002). Expressive writing and health: Self-regulation of emotion-related experience, physiology, and behavior. In S. J. Lepore & J. M. Smyth (Eds.), The writing cure: How expressive writing promotes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pp. 99-11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5.

Lyubomirski, S., & Nolen-Hoeksema, S. (1995). Effects of self-focused rumination on negative thin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1), 176-190.

36.

Morrow, J., & Nolen-Hoeksema, S. (1990). Effects of responses to depression on the remediation of depress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519-527.

37.

Nolen-Hoeksema, S., McBride, A., & Larson, J.(1997).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among bereaved partners. Journal of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855-862.

38.

Pennebaker, J. W. (1988). Confiding traumatic experience and health. In S. Fisher & J. Reason (Eds.), Handbook of life stress, cognition, and health (pp. 669-682). London, England: John Wiley & Sons.

39.

Pennebaker, J. W. (1989). Confession, inhibition, and disease. In L. Berkowitz (Ed.), Advanced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2, pp. 211-244). Orlando, FL: Academic Press.

40.

Pennebaker, J. W., & Beall, S. K. (1986). Confronting a traumatic event: Toward an understanding of inhibition and disea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 274-281.

41.

Pennebaker, J. W., Kiecolt-Glasser, J. K., & Glasser, R. (1988). Disclosure of traumas and immune function: Health implication for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239-245.

42.

Pennebaker, J. W., & O'Heeron, R. C. (1984). Confiding in others and illness rate among spouses of suicide and accidental death victi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3, 473-476.

43.

Pennebaker, J. W., & Susman, J. R. (1988). Disclosure of traumas and psychosomatic process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6, 327-332.

44.

Petrie, K., Booth, R., & Pennebaker, J. W. (1998). The immunolog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264-1272.

45.

Richards, J. M., & Gross, J. J. (1999). Composure at any cost? The cognitive consequences of emotion supp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5, 1033-1044.

46.

Wegner, D. M. (1994). Ironic processes of mental control. Psychological Review, 101, 34-52.

47.

Wegner, D. M. (1997). When the antidote is the poison: Ironic mental control processes. Psychological Science, 8(3), 148-150.

48.

Wegner, D. M., Schneider, D. J., Carter, S., & White, T. (1987).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5-13.

49.

Wegner, D. M., & Wenzlaff, R. M. (1996). Mental control. In E. T. Higgins & A. Kruglanski (Eds.), Social psychology: Handbook of basic mechanisms and processes (pp. 466-492). New York: Guilfor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