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용전념 치료가 불안사고 및 불안민감성,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발표불안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Anxiety Thought, Anxiety Sensitivity, and Acceptive Attitude: Focused on Public Speaking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2, pp.299-310
https://doi.org/10.17315/kjhp.2012.17.2.001
김혜은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김도연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가 대학생의 발표불안사고와 불안민감성 및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D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발표 불안이 있는 여자 대학생 28명이 최종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4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어 매 회기 2시간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발표불안사고와 불안민감성이 감소되었고, 수용적 태도가 증진되었다. 이는 수용전념 치료가 심리적 수용을 촉진하여 경험을 회피하기보다는 현재 순간에 온전히 접촉하게 함으로써 불안에 대한 주관적 통제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수용전념치료, 발표불안, 불안민감성, 수용적 태도,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ublic speaking anxiety, anxiety sensitivity, acceptive attitud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anxiety thought, anxiety sensitivity, and acceptive attitude in regards to public speaking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wenty-eight female participants who suffer from public speaking anxiety in D female university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consisting of 8 sessions was performed for two hours in every session. Results showed that an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ower anxiety sensitivity and thought for public speaking anxiety and higher acceptive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control in anxiety by facilitating psychological acceptance, which makes participants contact on the moment in themselves fullness instead of avoiding their experiences. Finally, a number of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수용전념치료, 발표불안, 불안민감성, 수용적 태도,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ublic speaking anxiety, anxiety sensitivity, acceptive attitude

참고문헌

1.

김진주 (2009). 심리적 수용촉진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반응감소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승희 (2010).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자기수용 및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노현진, 조용래 (2010). 수용 대 억제처치와 불안민감성이 과잉호흡 도전 절차에 대한 대학생의 불안반응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 29, No. 3, 799-819.

4.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5.

박성신 (2005). 수용처치가 대학생의 발표불안 감소에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이정선, 조용래 (2006). 불안민감성의 사회적 염려차원이 발표상황에 대한 불안반응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 25, No. 1, 187-203.

7.

이선영 (2009). 수용-전념치료에서 과정변인이 불안에미치는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임지연, 이영호, 최영안 (2004). 역기능적 신념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적 자기 효능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Vol. 23, No. 3, 595-609.

9.

윤호균(2005). 심리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10.

전승범 (2009). 불안민감성과 부적정서가 걱정에 미치는영향.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조용래 (2003). 불안민감성 차원: 한국판 개정된 검사의요인 구조.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07-108.

12.

조용래 (2004). 한국판 발표불안 사고검사의 신뢰도와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 1109-1125.

13.

조용래, 원호택 (1997). 대인불안에 대한 인지적 평가: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과 타당도에 관한 연구. 심리학의 연구문제,제 4집, 397-434.

14.

한은경, 조용래, 박상학, 김학렬, 김상훈 (2003).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요인구조: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 22, No. 1, 261-270.

1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Psychiatric Association.

16.

Ascher, L. M. (1989). Paradoxical intention and recursive anxiety. In L. M.

17.

Block. J. (2002). Acceptance or change of private experience: A comparative analysis in college students with publick speaking anxiety: Doctoral dissertation of philosophy,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8.

Eifert, G. H., & Forsyth, J. P., Arch, J., Espejo, E., Keller, M., & Langer, D. (200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Three Case Studies Exemplifying a Unified Treatment protocol.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6(4), 367-484.

19.

Forman, E. M., Herbert, J. D., Moitra. E., Yeomans, P. D. & Geller, P. A. (2007). A randomized controlled effectiveness trial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Behavior Modification., 31(6), 1-28.

20.

Georg H. Eifert, John P. Eorsyth, Joanna Arch, Emmanuel Espejo, Melody Keller, and David Langer(2009). Acceptanced and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 Three Case Studies Exemplifying a Unified Treatment Protocol.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6, 368-385.

21.

Hayes, S. C., & Wilson, K. J., Gifford. E. V., Follette, V. M., & Strosahl, K. (1996).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 1152-1168.

22.

Julie Loebach Wetherell, Nilloofar Afari, Jill A. Stoddard(2011).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Older Adults: A Preliminary Report, Behavior Therapy, 42. 127-134.

23.

Kessler, R. G., McGonagle, K., Zhao, S., Nelson, C., Hughes, M., Eschlemann, S., Wittchen, H. C., & Kendler, K. S. (1994).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II-R psychiatric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1, 8-19.

24.

Necy L. Kocovski, Jan E. Fleming and Neil A. Rector. (2009). Mindfulness and Acceptance-Based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An Open trial.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6, 276-289.

25.

Reiss, S., & McNally, R. J. (1985). The expectancy model of fear. In S. Reiss & R. R. Bootzin (Eds), Theoretical issues in behavior therapy (pp. 107-121). N.Y.: Academic Press.

26.

Stroasahl, K. D., Hayes, S. C., Bergan, J., & Romana, P. (1998). Assessing the field effectivenes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ample of the manipulated training research method, Behavior Therapy, 29(1), 35-6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