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금주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대학생의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Alcoho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2, pp.311-32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2.002
박상규 (꽃동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 정도를 알아보고 금주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음주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7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AUDIT와 금주자기효능감, 마음챙김 척도 등을 실시하였다. AUDIT를 사용하여 문제성 음주 정도를 알아본 결과, 문제성 음주자(AUDIT 12점 이상)는 전체의 24.2%(177명)로 나타났다. 문제성 음주 대학생을 대상으로 금주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관계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금주자기효능감은 문제성 음주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성 음주 대학생의 경우는 금주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음주문제가 심각하였다. 마음챙김은 음주 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마음챙김이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지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마음챙김은 문제성 음주 대학생의 금주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alcohol problems, college students,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mindfulness, 문제성 음주자, 대학생, 금주자기효능감, 마음챙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gree of alcoho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f alcoholics as well as mindfulness to alcohol problems. Seven hundred twenty eight college students were subjects of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The results show that 24.2% (177) of the subjects had alcohol problems (AUDIT: more than 12). For the study, a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 of alcohol problems, the level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the mindfulness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lcohol problems. Moreover, a stepwise regression was used for find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lcohol problem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alcohol problems. However, the mindfulness factor had an insignificant effect to the alcohol problem. Also,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is positively related to mindful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alcohol problems, college students,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mindfulness, 문제성 음주자, 대학생, 금주자기효능감, 마음챙김

참고문헌

1.

권선중, 김교헌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척도(K-MA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269-287.

2.

권영란, 이정숙 (2002).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알코올중독자의 삶의 의미와 금주자기효능감에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1(3), 336-351.

3.

김교헌 (2006). 도박행동의 자기조절모형: 상식모형의확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243-274.

4.

김교헌 (2008). 마음챙김과 자기조절 그리고 지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285-306.

5.

김교헌, 최훈석 (2008).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51-569.

6.

김민석, 이형석 (2008). 대학생의 여가스포츠 참가가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션학회지, 32(3), 5-11.

7.

김복남, 김홍근 (2011).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전두엽-관리기능의 차별적 결손.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0 (2). 433-459.

8.

김성재 (1996). 알코올리즘의 재발에 관한 이론적 모형구축: 정신병원에 입원한 남성 알코올리즘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10.

김정호 (2010). 마음챙김과 긍정심리학 중재법의 통합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5(3), 369-383.

11.

김종규, 김중순 (2010). 대구지역 남자 대학생의 음주실태와 음주 행동에 관한 연구: 1999년과 2009년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577-588.

12.

김종성, 오미경, 박병강, 이민규, 김갑중, 오장균 (1999).한국에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test(AUDIT)를 통한 알코올리즘의 선별 기준.가정의학회지, 20(9). 1152-1159.

13.

김천석, 강현숙, 정문용 (1996). 만성 주정중독 환자의뇌전산화 단층촬영상 뇌위축 소견 및 임상병인들과의 연관성. 신경정신의학지, 35(4), 820-828.

14.

남경아 (2009).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와 사회심리적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8(4), 501-511.

15.

박상규 (2009). 행복 4중주. 서울: 이너북스.

16.

박상규 (2010). 마음챙김이 행복과 중독예방에 미치는영향. 2010년도 한국건강․여성심리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7.

박수현 (2008).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후남, 유숙자 (2005).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4(3), 304-312.

19.

신영주, 김유숙 (2009).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중독과정-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683-710.

20.

신정연, 손정락 (201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문제음주 대학생의 우울,충동성 및 문제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79-295.

21.

이경희, 배성우 (2010). 알코올의존자를 위한 단주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6, 35-63.

22.

이병욱, 이충헌, 이필구, 최문종, 남궁기 (2000).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AUDIT-K: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중독정신의학,4(2), 83-92.

23.

장승옥 (2001). 대학생 음주행위와 문제음주 인지도의추이, 1996-2000. 청소년학연구, 8(2), 259-278.

24.

장현갑 (2011). 스트레스는 나의 힘. 서울: 불광출판사.

25.

전영민 (2005). 자발적으로 입원한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 하위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311-326.

26.

전혜연, 현명호, 전영민 (2011).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전두엽 실행기능의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6(1), 215-229.

27.

정슬기 (2007).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176-198.

28.

정원철 (2006).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58(1), 347-372.

29.

최송식, 이솔지 (2008).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2,418-448.

30.

최이순 (2005). 알코올 중독자의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475-493.

31.

채숙희, 오수성 (2005). 알코올 의존의 회복을 예측하는심리적 요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452-453.

32.

한소영, 이민규, 신희천 (2005). 남녀 대학생의 음주문제위험요인: 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의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1003-1019.

33.

Alterman, A. I., Koppenhaver, J. M., Mulholland, E., Ladden, L, J., & Baime, M. J. (2004). Pilot trial of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substance abuse patients. Journal of Substance Use, 9(6), 259-268.

34.

Blowers, J. (2009). Common issues and collaborative solutions : a comparison of student alcohol use behaviors at the community college and four-year institutional levels. Journal of Alcohol & Drug Education, 53(2). 65-82

35.

Bowen, S., Witkiewitz, Dillworth, T. M., Chawla, N., Simpson, T. L., Ostafin, B. D., Larimer, M. E., Blume, A. W., Parks, G. A., & Marlatt, A. (2006). Mindfulness meditation and substance use in an incarcerated population.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 20(3), 343-347.

36.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37.

Capuzzi, D., & Stauffer, M. D. (2008). Foundations of addictions counselling. Boston: Person Education, Inc.

38.

Chiesa, A. (2010). Vipassana mediation: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6, 37-46.

39.

Chitwood, D. D., Weiss, M. L., & Leukefeld, C. G.(2008).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literatureon religiosity and substance use.Journal of Drug Issues, 653-688.

40.

Cicognani, E & Zani, B. (2011). Alcohol use among Italian university students: The role of sensation seeking, peer group norms and self-efficacy. Journal of Alcohol & Drug Education, 55(2), 17-36.

41.

Dicemente, C. C., Carbonari, J. P., Montgomery, R. P. G., & Hughes, S. O. (1994).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5, 141-148.

42.

Forcehimes, A. A., Tonigan, J, S. (2008). Self-efficacy as a factor in abstinence from alcohol/ other drug abuse; A meta-analysis.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26(4). 480-489.

43.

Iwamoto, D, K., Corbin, W., & Fromme, K. (2010). Trajectory classes of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Addiction, 105(11), 1912-20.

44.

Lutz, A., Slagter, H. A., Dunne, J. D., & Davidson, R. J. (2008). Attention regulation and monitoring in medita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 12(4). 163-169.

45.

Neal, D, J., & Fromme, K . (2007). Event-level covariation of alcohol intoxication and behavior risks during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5(2), 294-306.

46.

O'Neil, S. E., Parra, G. R., & Sher, K. J. (2001). Clinical relevance of heavy drinking during the college years: Cross-sectional and prospective perspective. Psychology Addictive Behaviors, 15(4), 350-359.

47.

Simpson, T. L., Kaysen, D., Bowen, S., MacPherson., Chawla, N., Blume, A., Marlatt, G. A., & Larimer. M. (2007). PTSD Symptoms, substance use, and vipassana meditation among incarcerated individual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3), 239-249.

48.

Usdan, S, L., Moore, C. G., Schumacher, J. E. Talbott, L. (2005). Drinking locations prior to impaired driving among college student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4(2), 69-7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