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긍정 심리치료가 사회 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Social Anxiety,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ocial Phobia-prone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3, pp.573-588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2
최유연 (전북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사회 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0명에게 사회적 불안 및 회피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2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긍정 심리치료 집단에 12명, 통제 집단에 12명씩 배정하였다.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8주 추적 검사에서 사회적 불안 및 회피 척도, 낙관성, 한국판 정적 및 부적 정서 척도, 삶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사회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낙관성, 긍정 정서 및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부정 정서는 치료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 불안, 낙관성은 그 효과가 추적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사회 공포증,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 긍정 심리치료, Social Phobia, Optimism,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 Psychotherapy(PP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Program on social anxiety,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phobia-prone. Four hundred college students who live in Jeonbuk province completed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The 24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by the scale were assigned to 12 in the positive psychotherapy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PP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SADS, 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at 8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cial anxiety of the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ptimism,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anxiety, optimism,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control group weren't significantly changed.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ptimism were maintained up to follow-up.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emotion between the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사회 공포증,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 긍정 심리치료, Social Phobia, Optimism,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 Psychotherapy(PPT)

참고문헌

1.

강교민 (2011). 사회 불안이 신체증상과 웰빙에 미치는영향: 관계의 질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3.

김경미, 송현주 (2009). 사회 불안과 긍정적 정서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고찰. 심리치료, 9(2), 79-93.

4.

김진영,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 심리치료(positivepsycho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15(1), 155-168.

5.

김초록, 신희천 (2011).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의종단적 인과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23(2), 451-469.

6.

김태승 (2011).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고학년 학생의 시험불안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류연지 (1996).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주하 (2010).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박찬빈 (2011).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정윤, 최정훈 (1997). 한국판 사회 공포증 척도(K-SAD, K-FN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51-264.

11.

이주영, 김지혜 (2002). 긍정적 사고의 평가와 활용: 한국판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utomaticThought Questionnarire Positive:ATQP)의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647-664.

12.

이지영 (2010).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낙관성 및 사회 불안의 관계.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4), 935-946.

14.

임가영 (2010). 사회 불안집단의 자기상에 따른 해석편향의 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임승락, 김지혜 (2002). SOM(State of Mind) 모형에 따른 긍정적/부정적 사고의 인지적 균형Ⅰ : 일반성인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1(1), 124-146

16.

임영진 (2010). 긍정 심리치료: 우울증에의 적용. 한국임상심리학회 가을 학술대회 자료집, 2, 71-79

17.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조하나 (2003).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호/적대상황에서의 대인관계도식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it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 Revised). Washington, DC: Author.

20.

Aspinwall, L. G. & Taylor, S. E. (1992). Modeling cognitive adaptiation: A longitudinal of the impac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1003.

21.

Carver, C. S., Scheier, M. F., & Segerstrom, S. C.(2010). Optimism. Clinical Psychology, 30,879-889.

22.

Compton, W. C. (2005).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Stamford, Ct; Thomson.

23.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4.

Eysenck, H. J. (1994). Genius-The natural history of creativit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Fredrickson, B. L. (2000). Cultivating positive emotions to optimize health and well-being. Prevent and Treatment, 31(3), 1-25.

26.

Heimberg, R. G. & Becker, R. E. (2007). 사회 공포증의 인지행동집단치료: 이론과 실제[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ocialPhobia Basic Mechanisms and ClinicalStrategies]. (최병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7.

McCullough, M. E. & Emmons, R. A.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28.

Moscobitch, D. A., Suvak, M. K., & Hofmann, S. G.(2010). Emotional response patterns duringsocial threat in individuals with generalizedsocial anxiety disorder and non-anxiouscontrol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4,785-791.

29.

Öztürk, A. & Mutlu, T.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 subjective well-being, happiness and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 1772-1776.

30.

Rodebaugh, T. L. (2009). Social phobia and perceived friendship quali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3, 872-878.

31.

Scheier, M. F., Carver, C. S., & Breidges, M. W.(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neo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and self-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32.

Seligman, M. E. P. (1996). 낙관성 훈련[LEARNED OPTIMISM]. (박노용, 김혜성 역). 서울: 오리진.

33.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35, 5–14.

34.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2006). Positive psychohterapy. AmericanPsychologist, 61(8), 774-778.

35.

Spokas, M. E., Rodebaugh, T. L., & Heimberg, R. G.(2004). Cognitive biases in social phobia.Psychiatry, 3(5), 51-55.

36.

Watson, D., Clark, L.,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37.

Watson, D. & Friend, R.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448-457.

38.

Welwood, J. (2008). 깨달음의 심리학[Toward a Psychology of Awakening]. (김명권, 주혜명 역). 서울: (주)학지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