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어판 소아용 삶의 질 검사(PedsQL <sup>TM</sup>) 4.0 일반형-자기보고판 표준화 연구

A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PedsQLTM) 4.0 Generic Core Scales, Self-Repor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3, pp.677-695
정경미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양슬기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소아용 삶의 질 검사(PedsQL<sup>TM</sup>) 4.0 일반형의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8-18세 정상발달 아동 및 청소년(N=3353) 및 소아암 치료 후 서울 소재대학병원에 방문한 아동 및 청소년(N=178)에게 PedsQL<sup>TM</sup> 4.0 일반형, 자기보고판을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해 일부에게 척도를 반복 실시하였고(N=96), 타당도를 위하여 CDI(N=2410)와 RCMAS(N=2450)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5요인 구조가 한국어판 PedsQL<sup>TM</sup> 4.0 일반형에서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정서, 사회, 학교 1, 학교 2.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의해, 그리고 타당도는 CDI 및 RCMAS와 PedsQL<sup>TM</sup> 총점의 상관관계, 그리고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정상집단간의 PedsQL<sup>TM</sup>의 점수 차이를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그 결과 PedsQL<sup>TM</sup>가 아동 및 청소년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지각하는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규준 작성에 반영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따른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건강관련 삶의 질, 표준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TM) 4.0 generic core scales. A total of 3353 school-bas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ades 3-12 and their 178 age-matched cancer survivors have completed the PedsQL.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oretically-based 5-factor structure of the PedsQL fits the data well. The PedsQL scores were also associated with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supporting the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s score. The validity of the PedsQL scores is also supported. Specifically, the total score of PedsQL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hild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The PedsQL total score also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school-based sample and the cancer survivor sample. One-way ANOVA examining the PedsQL score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s well as across grade level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PedsQL scale scores are provided for each gender and grade level.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keyword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edsQL, standardiz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12-05-3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2-09-0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