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Body Image Satisfaction, Anxiety, and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4, pp.823-840
https://doi.org/10.17315/kjhp.2012.17.4.004
임명철 (전북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불안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전 조사에서 신체 존중감 검사, 신체 만족 척도, Beck 불안 항목표, 자아 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24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에 12명, 대기통제집단에 12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치료집단에 대해 총 8회기에 걸쳐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신체상 만족도(신체 존중감 검사, 신체 만족 척도), 불안 및 자아 존중감 수준은 사전, 사후 1개월 추적 기간 동안 검사를 통해 18명의 참가자(MBCT 프로그램 9명, 대기통제집단 9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통제집단보다 신체상 만족도와 자아 존중감이 증가되었고 불안이 감소되었으며 그 수준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Body Image, Anxiety, Self Esteem, University Student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대학생,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신체상, 불안, 자아 존중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Body Image Satisfaction, Anxiety, and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Five hundred ten university students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Body Esteem Test, Body Cathexis Scale, Beck Anxiety Inventory Scale and Self Esteem Scale. Eighteen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9 in the MBCT group, and 9 in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Body Esteem Test, Body Cathexis Scale, Beck Anxiety Inventory Scale and Self Esteem Scale at pretreatment, end of treatment, and at 4 weeks follow-up periods. MB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ody Image Satisfaction(Body Esteem, Body Cathexis), Self-Esteem of therapy group were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nd Anxiety was decreased in the therapy group.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keywords
Body Image, Anxiety, Self Esteem, University Student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대학생,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신체상, 불안, 자아 존중감

참고문헌

1.

강정주 (2001).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나영, 김민정, 김진경, 박민주, 박민지, 이다솜, 이민경,이지영, 전양지, 정하은 (2010). 남녀 대학생의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대한 비교연구. 이화간호학회지, 44, 47-57.

3.

김도연 (2006). 마음챙김 명상 및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가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감소에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동경 (2011). 마음챙김 명상이 알코올 의존환자들의부정적 정서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애, 이기학 (2003). 고등학생의 성격 특성 및 신체상과 대인관계 효능감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469-470.

6.

김미옥, 은종극, 장은재 (2009). 여대생들의 체중에 대한인식과 신체 부위별 만족도. 한국 식품영양학회지, 22(2), 205-214.

7.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89-204.

8.

김정모, 전미애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759.

9.

김정호 (2004).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함의. 인지행동치료, 4(2), 27-44.

10.

김지연, 손정락 (2012).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 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가진사람들의 걱정, 소화불량 증상 및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27-42.

11.

김진철, 손정락 (2010).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행동집단치료가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스트레스 연구, 18(2),59-68.

12.

박경애 (2002). 청소년의 신체상, 자존감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누리 (2005). 인지행동집단치료가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자아존중감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박민경 (2008). 남자 청소년들의 신체 이미지, 완벽주의와 체형변화전략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민석 (201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가 역기능적태도, 스트레스대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효과: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방지연 (2009). 여자 대학생의 완벽주의, 자아존중감 및사회적 지지가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673-688.

18.

보건복지부 (2010). 제 5차(2009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통계. http://www.bokjiro.go.kr/data/statusView.do?board_sid=297&data_sid=215461에서 2010, 01, 28 인출.

19.

손진주 (2007). 남자대학생의 체중과 체형지각에 따른신체 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의 차이.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시사저널 (2010, 8, 25). 누가 학생들을 막다른 길로 내몰고 있나. 1088호

21.

신정연, 손정락 (201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문제음주 대학생의우울,충동성 및 문제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79-295.

22.

안소연, 오경자 (1995). 폭식행동집단의 신체불만족과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4(1), 29-40.

23.

양계민 (1993). 자신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인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육성필, 김중술 (1997).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t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1), 185-197.

25.

이계원 (1993). 청년기의 신체상이 자기만족, 불안 및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봉건 (2008).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이 대학생의 우울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임상, 27(1),333-345.

27.

이상선 (2004). 거식 행동과 폭식 행동에 자기 평가의신체 비중, 신체불만족, 완벽주의, 충동성이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상선, 오경자 (2004). 몸매와 체중에 근거한 자기 평가와 신체 불만족이 대학생의 이상섭식 행동에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3(1),91-106.

29.

이우경 (2008).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여자중학생을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31.

이훈진, 원호택 (1995). 자기개발과 편집증적 경향. 심리과학, 4(2), 15-29.

32.

정은실, 손정락 (2011).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숙대회 논문집, pp.424-425.

33.

조지숙 (1992). 청소년의 신체상· 신체적 매력, 신체상의 왜곡과 자아존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최미례 (2009).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31-44.

35.

최윤선 (2006).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을 위한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과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최유영, 손정락 (2011). 수용전념 치료(ACT)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존중감, 회피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657-673.

37.

한미영 (2009). MBCT프로그램이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한진숙,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1041-1060.

39.

허동규 (2009). 노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명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정신장애의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 서울: 하나의학사.

41.

Baer, R, A., Fischer, S., & Huss, D. B. (2005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pplied to binge eating: A case study.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2, 351-358.

42.

Baer, R. A., Fischer, S., & Huss, D. B. (2005b). Mindfulness and acceptance in the treatment of disordered eating.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23, 281-330.

43.

Bardone-Cone, A. M., Harney, M. B., & Sayen, L.(2011). Perceptions of parental attitudestoward body and eating: Associations withBody image among Black and White collegewomen. Body Image, 8, 186-189.

44.

Beck, A. T., Epstein, N., Brown, G., & Steer, R. A.(1988). An inventory measuring clinicalanxiety: psychometric properities. Journal of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893-897.

45.

Cash, T. F. & Grant, J. R. (1996).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dy image disturbances. In V. Van Hasselt & M. Hersen (Eds.), Sourcebook of psychological treatment manuals for adults (pp. 567-614). New York: Plenum Press.

46.

Cash, T. F. & Pruzinsky, T. (2002). Body image: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ew York: Guilford.

47.

Ehntholt, K. A., Salkovskis, P. M., & Rimes, K. A.(1999). Obsessive-compulsive disorder,anxiety disorders, and self-esteem: Anexploratory study. Behaviour Research andTherapy, 37, 771-781.

48.

Evans, S., Ferrando, S., Findler, M., Stowell, C., Smart, C., & Haglin, D. (2008). Mindful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 716-721.

49.

Finucane, A. & Mercer, S. W. (2006).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study of the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f patients with active depression and anxiety in primary care. Biomed Central Psychiatry, 6, 1-14.

50.

Garner, D. M. & Garfinkel, P. E. (1979). The eating attitude test: and index of the symptoms of anorexia nervosa. Psychological Medicine, 9, 272-279.

51.

Garner, D, M., Olmsted, M. P., Bohr, Y., & Farfinkel, P. E. (1982). The eating attitude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ogical Medicine, 12, 871-878.

52.

Glass, C. R. & Furlong, M. (1990). Cognitive assessment of social anxiety: Affective and behavioral correlat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4), 365-384.

53.

Johnson, F. & Wardle, J. (2005). Dietary Restraint, Body Dis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4(1), 119-125.

54.

Kabat-Zinn, J. (2005).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상.(장현갑, 김교헌, 김정호 옮김). 서울: 학지사(원전은 1990년에 출판).

55.

Mendelson, B. K. & White, D. R. (1982). Relation between body-esteem and self-esteem of obese and normal childre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4, 899-905.

56.

Schmitz, N., Kugler, J., & Rollnik, J. (2003). On the relation between neuroticism, self-esteem, and depression: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Comprehensive Psychiatry 44(3), 169-176.

57.

Secord, P. E.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7, 343-347.

58.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옮김).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년에 출판).

59.

Semple, R. J., Lee, J., & Miller, L. (2006).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children. In R Baer (Eds.), Mindfulness-based treatment approaches: Clincan's guide to evidence base and applications (pp. 143-166). San Diego: Elsevier.

60.

Smith, A., Graham, L., & Senthinathan, S. (2007).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recurring depression in older people: A qualitative study. Aging and Mental Health, 11, 346-357.

61.

Stein, K. F.(1996). The self-schema model: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self-concept in eating disorder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2), 96-109.

62.

Stice, E. (1994).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a sociocultural model of bulimia nervosa and an exploration of the mechamism of act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4, 633-661.

63.

Tiggemann, M., Polivy, j., & Hargreaves, D. (2009). The processing of thin ideals in fashion magazines: A source of social comparison or fantas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8(1), 73-93.

64.

Thompson, J. K., Heinberg, L. J., Altabe, M., & Tantleff-Dunn, S. (1999). Exacting beauty: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body image disturban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65.

Thompson, J. K. & Thompson, C. M. (1986). Body size distorition and self-esteem in asymptomatic normal weight males and fem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5, 1061-1068.

66.

Rodin, J., Silberstein, L., & Striegel-Moore, R. (1984). Women and weight: A normative discontent.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32, 267-307.

6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versity Press.

68.

Williams, J. M. G., Alatiq, Y., Crane, C., Barnhofer, T., Fennell, M. J. V., Duggan, S., Hepburn, S., & Goodwin, G. M. (2008).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in bipolar disorder: Preliminary evaluation of immediate effects on between-episode functioning.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7, 275-27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