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알코올 중독자에게 적용한 심리사회적 중재효과의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n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Alcohol Addic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4, pp.911-92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4.008
연영란 (삼육대학교)
이경순 (삼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알코올 중독자에게 적용한 심리사회적 중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향후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10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495편의 연구 중 31편의 연구를 최종 선택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재방법은 음악요법, 미술요법, 동기강화 프로그램, 인지행동요법, 문제해결 훈련 프로그램, 재발방지 프로그램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종속변수들의 효과크기는 분노(d=-1.95, 95% CI: -4.01, 0.11), 사회적 문제해결(d=1.69, 95% CI: 1.14, 2.25), 우울(d=-1.66, 95% CI: -2.53. -0.79), 자기효능감(d=0.94, 95% CI: 0.39, 1.50), 스트레스(d=-0.89, 95% CI: -1.30, -0.47), 자아존중감(d=0.39, 95% CI: -0.11, 0.89)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심리사회적 중재는 알코올 중독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증가시키고, 우울, 분노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lcohol, addiction, psychosocial intervention, meta-analysis, 알코올, 중독, 심리사회적 중재, 메타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alcohol addiction. For meta-analysis, electronic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for PubMed, CINAH, RISS, Naver academic, KISS, NDSL, Nanet, Kci, DBpia, and KoreaMed. Of the 495 studies identified, 31 we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with the RevMan 5.0 program of Cochrane library. The kinds of intervention were music therapy, art therapy, motivational program, cognitive behavior therapy, solution-focused program and relapse prevention program.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studies that showed higher effect size were in the following order: anger (d=-1.95), social problem solving (d=1.69), depression (d=-1.66), self-efficacy (d=0.94), stress (d=-0.89), and self-esteem (d=0.39). This study suggest that psychosocial interventions can increase social problem solv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nd decrease anger, depression and stress.

keywords
Alcohol, addiction, psychosocial intervention, meta-analysis, 알코올, 중독, 심리사회적 중재, 메타분석

참고문헌

1.

권구영 (2002). 우리나라 알코올 중독 치료 현황의 이해를 위한 기술적 연구. 사회복지리뷰, 7,77-110.

2.

권기주 (2007).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우울 및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수 (2008). 음악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분노조절에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혜성 (2006). 즉흥연주 음악치료가 남성 알코올 중독자들의 분노 및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혜정 (2005).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중독자의 우울에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도은영, 정복례, 도복늠 (2001). 중독에 대한 개념 분석.지역사회간호학회지, 12(1), 261-268.

7.

민성길 (2006). 제5판 최신 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8.

박상규 (2004). 마약류 의존자의 심리적 특성. 상담학연구, 5(4), 899-910.

9.

박후남, 유숙자 (2005).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4(3), 304-312.

10.

보건복지부 (2012).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요약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11.

성상경, 문황선, 김한오, 이규항 (2003). 알코올리즘 입원 치료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퇴원 후 단기경과. 중독정신의학회지, 7(7), 2.

12.

신차선 (2010). 알코올 중독자에 대한 한국형 내면아이치유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자기수용, 대인관계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3.

이경희, 배성우 (2010). 알코올의존자를 위한 단주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6, 35-63.

14.

임성범 (2005). 알코올중독 환자의 재발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조현 (2008). 인지행동적 음악치료활동이 알코올 중독환자의 분노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 10(2), 20-39.

16.

차유진, 박수현 (2011).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심리사회적 치료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4), 51-67.

17.

최병철, 김영식 (2006). 음악 심리치료의 역동성. 서울:학지사.

18.

최이순 (2005). 알코올 중독자의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475-493.

19.

최하식 (2005). 알코올 중독. 서울: 하나의학사.

20.

한귀원, 김명정, 김성곤, 변원탄 (1996). 알콜의존 환자에서 음주욕구를 유발하는 조건화자극에 대한연구. 신경정신의학, 133, 809-819.

2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22.

Barlow, J., Smailagic, N., Huband, N., Roloff, V., & Bennett, C. (2012). Group-based parent training programmes for improving parental psychosocial health.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3.

Bertholet, N., Daeppen, J. B., Wietlisbach, V., Fleming, M., & Burnand, B. (2005). Reduction of alcohol comsumption by brief alcohol intervention in primary car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5(9), 986-995.

24.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5.

Dennis, C. L., & Hodnett, E. D. (2009). Psycho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treating postpartum depression.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26.

Higgins, J. P., Thompson, S. G., Deeks, J. J., Altman, D. G.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The British Medical Journal, 327, 557-560.

27.

Jadad, A. R., R. A. Moore, et al. (1996).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7(1), 1-12.

28.

Kendler K, G. C., Neale M, Prescott C. (2001). Genetic risk factors for major depression in men and women: Similar or different heritabilities and same or partly distinct genes? Psychological Medicine 31(4):605– 616.

29.

Khantzian, E. J. (1986). Psychodynamic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drug dependence.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9(3), 399-412.

30.

Levenson, R. W., Sher, K. J., Grossman, L. M., Newman, J., & Newlin, D. B. (1980). Alcohol and stress response dampening: Pharmacological effects, expectancy, and tension reduc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9(4), 528-538.

31.

Litman, G. K., Eiser, J. R., Ranson, N. S. B., & Oppenheim, A. N. (1984). Difference in relapse percipitants and coping behavior between alcohol relapsers and survivors. Behavior Therapy, 17, 89-94.

32.

Rooke, S., Thorsteinsson, E., Karpin, A., Copeland, J.,& Allsop, D. (2010). Computer-deliveredinterventions for alcohol and tobacco use: ameta-analysis. Addiction, 105(8), 1381-1390.

33.

Sullivan, L. E., Tetrault, J. M., Braithwaite, R. S., Turner, B. J., & Fiellin, D. A. (2011). A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nonphysician brief interventions for unhealthy alcohol use: implications for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20(4), 343-35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