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남성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le Inmates and the General Public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4, pp.763-781
https://doi.org/10.17315/kjhp.2013.18.4.010
한수연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정구철 (삼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에 수감 중인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와 차이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수형자들의 출소 후 사회복귀를 돕기 위한 심리적 지원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재 교도소에 수감 중인 성인 남성 수형자 150명과 법적 처벌 경험이 없는 성인 남성 일반인 150명이었다. 연구 결과 일반인들이 수형자보다 유의하게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과 수용여부 간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수형자와 일반인 간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가 없었으나,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일반인의 심리적 안녕감이 수형자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범죄자로 분류될 확률(Odds ratio)이 2.04배 높았고,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범죄자로 분류될 확률이 3.40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수형자들은 일반인과 같은 수준의 심리적 안녕감을 경험하고 있었으므로, 수형자들의 회복탄력성 증진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강한 상관관계와 일반인과 수형자 간 차이를 고려하여, 출소 후 적절한 사회복귀에 회복탄력성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수형자,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prisoner, inmate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differenc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imprisoned inmates and the general public. Moreover, this research studies the psychological support to help inmates’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after they are released from prison. The target subjects include male adults(n=150) who are currently imprisoned in jail and male adults(n=150) who are of the general public and have not received any legal punishment b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general public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inmate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es that there a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both the inmate and the general public group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silience and imprisonment is statically significant. The groups with high resilience do not show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inmates and the general public. On the other hand, the groups with low resilience indicate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general public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mates. The probability(odds ratio) to be classified as a criminal shows that the group with low resilience is 2.04 times higher than that with high resilience. Moreover, the group with a low psychological well-being has 3.40 times higher probability to be classified as a criminal than that with a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se results indicate inmates with high resilience experience the sam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general public hence, it is crucial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inmates. In light of both the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the inmates, the study discusse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resilience for the appropriate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after the inmates are released from prison.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are also suggested.

keywords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수형자,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prisoner, inmate

참고문헌

1.

강선경 (2003). 약물중독재활을 위한 집단교육 프로그램이 마약관련 수형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7-241.

2.

김경민, 임정하 (2012). 대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추구경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1), 89-101.

3.

김동희, 유일영 (2010). 만성질환아의 극복력 측정도구개발. 대한간호학회지, 40(2), 236-246.

4.

김명소, 김혜원 (2000). 우리나라 기혼 여성들의 심리적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5.

김명소, 김혜원, 임지영, 차경호,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6.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7.

김석현, 배준성, 창훈, 혀태균 (2009). 교정상담이 수형자의 적응과 수용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2), 273-290.

8.

김종수 (2008). 범죄청소년의 성격차원 성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10), 268-277.

9.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고양: 위즈덤하우스.

10.

김혜성 (1998). 회복력(Resilience)개념 개발. 대학간호학회지, 28(2), 403-413.

11.

남경아, 임지영, 송희영 (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향요인. 아동간호학회지, 12(2),244-252.

12.

민수홍 (2011). 수형자의 교도소 내 규율위반: 교도소화의 적용과 자기통제이론에 근거한 재해석. 형사정책연구, 22(2), 67-87.

13.

박기환, 서민재 (2013), 전위 공격성과 심리적 안녕감,자아존중감, 신체화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163-162.

14.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32(1), 123-139.

15.

박지현, 이명조 (2012).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 1-19.

16.

배임호 (2008). 교정시설 내 종교프로그램이 재소자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41,115-140.

17.

서경현, 김정호, 유제민 (2009). 성격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Big 5 성격요인과 BAS/BIS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69-186.

18.

서우경, 김도연 (2013).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어머니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1), 121-136.

19.

서혜석 (2008). 교도소 수형자의 특성불안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교정연구, 38, 83-105.

20.

성상율, 최태영, 이종훈 (2012). 한국인 청소년 수형자들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도파민 수송체 유전자다형성의 연관성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18(1), 63-74.

21.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105-131.

22.

오승아, 이양희 (1999). 장애아동가족의 Resilience 관련요인척도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21-48

23.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25-145.

24.

이규휘, 이봉건 (2012). 우울-반사회적 성향 수형자의기질 및 정서특성과 자살생각. 사회과학연구,29(1), 231-252.

25.

이옥형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청소년학연구, 19(1), 29-57.

26.

이형룡, 강윤지, 권기준 (2009). 호텔직원들의 직장-가족갈등, 가족-직장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웰빙 간의 구조적 관계. 호텔경영학연구, 18(6),177-197.

27.

조윤오 (2012). 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재복역율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14(4),187-216.

28.

조호운, 김영희 (2011).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3), 143-165.

29.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30.

최영신 (2009). 우리나라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와지원 방안. 형사정책연구, 20(1), 997-1018.

31.

통계청 (2011).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www. kosis.kr에서 검색.

32.

홍은숙 (2006).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33.

Alim, T. N., Feder, A., Graves, R. E., Wang, Y., Weaver, J., Westphal, M., Alonso, A., Aigbogun, N., Smith, B. W., Doucette, J. T., Mellman, T. A., Lawson, W. B., Charney, D. S. (2008). Trauma, Resilience, and Recovery in a High-Risk African-American Popul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5(12), 1566-75.

34.

Benard, B. (1993). Fostering resilience in kids. Educational Leadership, 51, 444-498.

35.

Clarke, P. J., Marshall, V. W., Ryff, C. D., & Rosenthal, C. J. (2000). Well-Being in Canadian Seniors: Finding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Canadian Journal on Aging, 19(2), 139-159.

36.

Diener, E., & Suh, M. E. (1997). Subjective well-being and age: An international analysis.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17, 304-324.

37.

Din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8.

Fava, G. A. (1999). Well-being therapy: Conceptual and technical issue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8, 171-179.

39.

Fontaine, K. R., & Manstead, A. S. R., & Wagner, H. (1993). Optimism, perceived control over stress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7(4), 267-281.

40.

Jackson, R., & Eatkin, C. (2004). The resilience inventory: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obstacles and determining happiness. Selection & Development Review, 20(6), 13-17.

41.

Keyes, C. L. M. (2000). Subjective change and its consequences for emotional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24(2), 67-84.

42.

Keyes, C. L. M., Shmotkin, D., & Ryff, C. D. (2002).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82(6), 1007-1022.

43.

Logue, A. W. (1995). Self-control: waiting until tomorrow for what you want today. Prentice-Hall, New Jersey.

44.

Luthar, S. S. (1991).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2, 600-616.

45.

McGregor, I., & Little, B. R. (1998).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494-512.

46.

Ming, L., Chao, L., Xiao, X., Jiang, Q., Yan, D., & Qinglin, Z. (2012).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Resilience Scale in Wenchuan earthquake survivors. Comprehensive Psychiatry, 53(5), 616-22.

47.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acceptance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48.

Reivich, K., & Shatté,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49.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50.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51.

Ryff, D. D., & Singer, B.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research.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5, 14-23.

52.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549-559.

53.

Smider, N. A., Essex, M. J., & Ryff, C. D. (1996). Adaptation to community relocation: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sources and contextual factors. Psychology and Aging, 11, 362-371.

54.

Waters & Sroufe, 1983. Social competence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Dvelopmental Review, 3(1), 79-97.

55.

Werner, E. & Smith, R. (1992).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5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48). World Health Organization constitution. In Basic documents. Geneva, Switzerland: Autho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